5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헌-
dc.date.accessioned2024-04-17T02:06:15Z-
dc.date.available2024-04-17T02:06:15Z-
dc.date.issued2023-03-
dc.identifier.citation한국방송학보en_US
dc.identifier.issn2983-1717en_US
dc.identifier.issn1229-0254en_US
dc.identifier.urihttps://information.hanyang.ac.kr/#/eds/detail?an=edskci.ARTI.10212772&dbId=edskci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823-
dc.description.abstract메타버스는 소셜미디어와 함께 사회자본을 형성하는 의미 있는 온라인 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메타버스의 주요 특성들이 메타버스 사회자본을 매개하여 오프라인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메타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원격 실재감은 결속형 사회자본에, 사회적 실재감은 교량형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과 비교하여 메타버스의 상대적 이점은 교량형과 결속형 사회자본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결속형 사회자본은 신뢰와 시민 참여에, 교량형 사회자본은 친교 활동과 시민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메타버스에 대한 실재감과 상대적 이점에 대한 인식은 메타버스 내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더 나아가 오프라인 사회자본으로 확대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내 사회자본과 오프라인 사회자본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en_US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metaverse-related factors on social capital formation by applying the main 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as independent variabl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Korean users of Metaverse. Telepresence and social presence were appli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the metaverse’s relative advantages to social media were considered.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on the metaverse were set as mediating variables, and trust, social activities, and civic participation as offline social capital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elepresence affects bonding social capital, and social presence affects bridging social capital. Relative advantages were found to partially affect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bonding social capital affects trust and civic participation, and bridging social capital affects social activities and civic participa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we paid attention to the metaverse beyond games or social media, which were considered virtual environments for online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confirm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offline social capital in the metaverse.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2S1A5A8051126)en_US
dc.languagekoen_US
dc.publisher한국방송학회en_US
dc.subject메타버스en_US
dc.subject결속형 사회자본en_US
dc.subject교량형 사회자본en_US
dc.subject실재감en_US
dc.subject상대적 이점en_US
dc.subjectMetaverseen_US
dc.subjectbonding social capitalen_US
dc.subjectbridging social capitalen_US
dc.subjectpresenceen_US
dc.subjectrelative advantageen_US
dc.title메타버스의 실재감과 상대적 이점이 오프라인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메타버스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en_US
dc.title.alternativeThe Impact of Metaverse’s Presence and Relative Advantages on Offline Social Capital: Focusing on Metaverse Social Capitalen_US
dc.typeArticleen_US
dc.identifier.doi10.22876/kab.2023.37.2.002en_US
dc.relation.journal한국방송학보-
dc.relation.code2023030248-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COMMUNICATION[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MEDIA & SOCIAL INFORMATICS-
dc.identifier.pidkimhun630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