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 0

주한 외국인의 한국 관광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Title
주한 외국인의 한국 관광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Other Titles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ourism Experiences of Foreigners in South Korea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ve tourism and acculturation by travel stage.
Author
김혜리
Alternative Author(s)
KIM HYE RI
Advisor(s)
신학승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number of foreign nationals residing in South Korea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a phenomenon attributed to globalization. In the recent five years, although there was a temporary decline of foreign nationals in South Korea from 2020, the year when the COVID-19 pandemic began, to 2021, as global infection rates began to reduce in 2022, international students, foreign workers, marriage immigrants, and permanent resident foreigners all together showed an increasing trend. Currently, South Korea is facing challenges of a low birth rate and an aging population, leading to concerns about population decline and rural depopulation becoming significant societal issues. As population decline trends and aging issues persist, immigration policies are being discussed as a solution to address these demographic challenges. To prevent economic decline due to the decreasing population,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domestic migration of foreigners who fall within the working-age population. Establishing a dedicated institution such as an immigration ministry is essential to contemplate and institutionalize concerns for their rights and status, thereby providing policy considerations for advancing towards becoming a global nation. The tourism experiences of foreign nationals in South Korea differ significantly from those of ordinary foreign tourists. The satisfaction level of foreign tourists' experiences in Korea influences their intentions to revisit and recommend the country.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tourism experience of foreign nationals in South Korea involve not only their intention to revisit and recommend but also intrinsic self-reflection as active participants of society through travel, transformative tourism to overcome cultural differences, and cultural adaptation by changing attitudes and behaviors to bridge cultural gaps. To date, research on foreign nationals in South Korea has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cultural adaptation of foreign students, while domestic studies on cultural adaptation primarily revolve around cases of immigrant women under marriage visa stat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transformative tourism and cultural adaptation experienced by various groups of foreign nationals residing in South Korea, including those with different residency statuses, durations, and nationaliti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analysis, the study was divided into five stages and structured into six categories, 16 theme clusters, and 33 themes, considering the stages before, during, and after travel. Specifically, themes such as pre-travel “difficulty accessing information”, during-travel "change in perception based on kindness”, “impact of identity, confusion and overcoming cultural differences”,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with travel”, and after-travel “disdain for conservative culture” and “admiration for a country with rich history preservation” were some foundational questions assessed. Furthermore, based on the comprehensive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during the stage of deciding to travel, there was a common experience of difficulty accessing information, utilizing foreign language information, and encountering challenges accessing reservations functions and information through mobile devices. Additionally, individuals perceiv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pth of their travel experiences based on their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During the travel stage, the tourism activities of foreign nationals in South Korea appeared as a form of experiential tourism with multiple motives, primarily for relaxation and diversion from daily life, without necessarily abandoning their existing lifestyle. In this process, they encountered non-routine experiences, such as interactions with local residents. Throughout this process, individuals went through stages of self-reflection, such as discovering new preferences through comparison with their own culture, embracing new cultures, accepting only certain aspects of a culture, or resisting new cultures. Among the four forms of acculturation proposed by Berry, the “integration" form was the most predominant, where individuals developed a new identity based on the amalgamation of cultures. Simultaneously, there were instances of the “segregation” form, where individuals held onto their familiar culture while rejecting the acceptance of new cultures. This resistance towards accepting new cultures was noted as a rejection of Korea’s conservative culture and society that contrasts with a more liberal culture, and from which various social issues can stem, while at the same time being a positive influencing factor to the commitment of the country’s historical preservation. Conclusively, this study suggests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engaged in studies related to foreign nationals in South Korea,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s involved in promoting Korean tourism and immigration policies for foreign nationals residing in South Korea based on their tourism experiences.|국내에 거주하는 주한 외국인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화의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최근 5년간 주한 외국인의 현황분포에서도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부터 2021년에 잠시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2022년 코로나가 다시 회복세를 보이며 유학생, 취업 자격 외국인, 결혼이민자, 영주 자격 외국인 모두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한국은 저출산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며 인구감소, 지방 소멸은 사회적으로 큰 화두이다. 이러한 인구절벽과 고령화 문제가 지속됨에 따라 인구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으로 이민정책이 거론되고 있다. 인구감소로 인한 경제적 위축을 방지하고자 생산연령 인구로 편입이 가능한 외국인의 국내 이주를 확대하고 전담 조직인 이민청을 설립하여 이들의 권익과 지위를 위해 고민하고 제도화가 필요하며 글로벌 국가로 나아감에 있어 정책적인 고민도 필요한 실정이다. 주한 외국인의 관광경험은 외래 관광객이 경험하는 감정의 폭에 큰 차이가 있다. 외래 관광객의 한국 관광경험의 만족도 증가는 재방문 의도 및 추천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주한 외국인의 한국관광 경험은 재방문 의도 및 추천 의도에 더해 여행 참여를 통한 주체로서의 내면적 자기성찰, 문화차이 극복을 위한 전환관광, 문화차이 극복을 위해 태도와 행동을 바꾸어 가는 문화변용이라는 독특한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현재까지 주한 외국인에 대한 연구는 주로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문화적응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문화변용에 대한 국내 연구는 결혼 이주여성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본 연구는 주한 외국인을 체류자격(유학생, 연수, 구직, 특정활동, 결혼이민, 재외동포 등), 거주 기간, 국적별로 다양한 대상층을 심층 인터뷰를 통해 그들이 경험하는 관광경험 속 전환관광, 문화변용의 개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 연구를 사용하여 5단계로 분석하였으며 관광경험을 여행 전, 여행 중, 여행 후 단계에서 6개의 범주, 16개의 주제 모음, 33개의 주제로 구조화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여행 전 단계의 '정보 접근의 어려움', 여행 중 단계의 ‘친절도에 따른 인식의 변화’, ‘ 정체성 혼란 및 문화차이 극복의 영향’, ‘ 여행에 대한 기대 및 만족도’ 여행 후 단계의 ‘보수적 문화에 대한 거부감’, ‘역사적 보존이 우수한 나라’로 구조화되어 나타났다. 또한 종합된 결과를 바탕으로 여행 전 여행 결정의 단계에서는 공통적으로 “정보의 접근”의 단계를 거치며 외국어 정보 접근 및 모바일을 활용을 통한 예약 및 정보 접근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또한 본인의 한국어 활용 능력에 따라 여행의 깊이에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스스로 지각하였다. 여행 중 단계에서는 주한 외국인의 관광은 주로 여행 기간이 짧고 일상에서 벗어나는 목적의 기분전환 관광 또는 기존의 생활양식을 포기하지 않으며 복합적인 관광 동기를 갖는 체험형 관광의 형태로 나타났다. 그 과정에서 지역주민과의 상호작용 등의 비일상적 경험에 직면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기존에 자신이 가진 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취향의 발견, 문화의 수용, 또는 일부의 문화만을 받아들이는 태도, 또는 새로운 문화 거부와 같은 자기 성찰의 단계를 경험하였다. 이 단계에서 베리가 제시한 4가지 문화변용의 형태 중 ‘통합(integration)’형태가 주로 나타났으며 새로운 정체성을 바탕으로 본인의 개성과 정체성 확립시켜 나갔다. 이와 함께 본인에게 익숙한 기존의 문화를 지키고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기를 거부하는 문화변용의 ‘분절(segregation)’ 형태도 종종 나타났다. 이는 본인이 기존에 가진 문화에 높은 만족도와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상태로 굳이 이를 변경하면서까지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일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자유로운 문화와 대비되는 한국의 ‘보수적’문화에 대한 거부감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보수적 사회 분위기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는 원인으로 인지하였으며, 보수적인 문화의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역사 보존의 우수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주한 외국인 관련 연구의 연구자와 외국인 대상 한국관광 홍보 및 이민정책을 담당하는 실무자들에게 주한 외국인의 관광 경험 속 나타난 정체성 변화 등의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619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27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TOURISM[S](국제관광대학원) > INTERNATIONAL TOURISM(국제관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