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 0

조기유학생의 미래기대형성과정과 유형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Title
조기유학생의 미래기대형성과정과 유형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Other Titles
A Grounded Theoretical Study on the Process and Types of Aspirations for Early Study Abroad Students
Author
오혜린
Alternative Author(s)
Oh Hyerin
Advisor(s)
김병수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Korean society, English functions as a credential for the success, not just a communication tool. Having high English proficiency is advantageous in korea for entering University and getting a job. Based on the recogni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ocess of forming future expectations of people who are fluent in English and have a degree abroad. In particular, I seek to examine future expctations of young people in their 20s who have returned to korea after studying abroad to United states and Canada early.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took into consideration not only their future aspiration types but also the process making future aspirations. In order to finding out the process, this study chose qualitative methodolog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analyzed through Grounded theor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followed. First, Early study abroad students experienced social benefits and rewards after returning to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social benefits and rewards were evident in the process of entering university and getting their occupation. In the background, there was a specific view to Early study abroad students that they are man of great ability. That facts made Early study abroad students have positively aware of their status. Early study abroad students were understanding social benefits and rewards by using four types of strategies: Hoping for higher rewards, justify, acknowledging excessive benefits, and thinking that they had benefited from their ability. Second, meaningful others such as parents and friends were influencing the formation process of future expectations of those who experienced early study abroad. Parents' high educational enthusiasm affect forming high expectations of Early study abroad students. They set their life standard by their parents’ desire. In addition, friends who had studied abroad together played a role of reference group by presenting the life position that early study abroad students should acquire. As a result, early study abroad students have an optimistic awareness of their future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benefits and rewards gained from the status of early study abroad students in the past. That result is consistent with precedent studies that show that perception of one's ability and belief in oneself affect aspiration formation. Specifically, the types of aspiration formation were divided into ‘cultural competency-based optimism’, ‘value change-based optimism’, and ‘conditional optimism’. The type of ‘cultural competency-based optimism’ is expecting to live a better life than others in the future due to their abilities formed from their study abroad experience. The type of ‘values change-based optimism’ is optimistic about the future due to the positive values of life formed from their study abroad experiences. The type of ‘conditional optimism’ is having an optimistic perspective for the future, bu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abilities. They recognized that they need to fulfil more conditions for future suc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shows that the experiences of achievement are related to the formation of optimistic future expectation, I make a suggestion that korean youth have optimistic perspective by providing experience of achieve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an in-depth look at the formation mechanism of aspirations and that it has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lives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early study abroad, which have been limitedly studied so far.|본 연구는 인간의 상호작용이 개인과 사회에 관한 의미를 창출해낸다는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관점을 기반으로 개인의 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조기유학을 경험한 이들의 포부형성과정을 살펴보고자 진행된 질적연구로, 심층면접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근거이론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기유학에 관한 선행연구는 조기유학 중이거나 귀국 직후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조기유학에 대한 장기적인 영향을 파악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본 연구 이전의 자료를 이용해 조기유학을 마친 이들의 미래기대를 살펴 보는 것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였거나, 제한적 자료에 의존하는 수준에서만 가능 한 일이었다. 본 연구는 조기유학을 마친 이들의 조기유학 이후의 삶에 대해 다루며, 조기유학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서 나아가 그것이 현재 자신의 삶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형성하도록 하는지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점이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포부형성 과정을 파악함으로써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도모하였다. 포부형성 과정 속에서 상황을 인지하는 개인의 성찰을 살피어 개인의 능동성을 강조하였다는데 차별점을 가진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유학을 경험한 이들은 한국사회로 귀국한 이후 사회적 혜택과 보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혜택과 보상은 진학 및 취업과정에서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었다. 이러한 경험은 글로벌 헤게모니가 존재하는 한국사회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유학생에 대한 우호적인 평가는 유학생으로 하여금 유학생이라는 자신의 지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있었다. 이에 유학생들은 자신이 경험하는 사회적 혜택과 보상에 대해 4가지 유형의 전략-더 높은 보상 바라기, 정당한 것으로 생각하기, 과분한 혜택을 인정하기, 자신의 능력이라 생각하기-을 사용하여 이러한 상황을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부모, 친구와 같은 의미있는 타자는 조기유학을 경험한 이들의 미래기대 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자녀에 대한 부모의 높은 교육열과 이로 인해 형성된 큰 기대, 부모로부터 설정된 삶의 기준은 연구대상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지위를 높게 평가하도록 하였다. 또한 유학을 함께 다녀온 주변 친구들은 연구대상자들에게 행동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준거집단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기유학을 경험한 이들은 과거 유학생의 지위로 얻은 사회적 혜택과 보상의 경험을 기반으로 자신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인식과 이로 인한 자신에 대한 믿음이 포부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이들의 미래기대 형성유형은 문화적 역 량기반 낙관주의, 가치관 변화기반 낙관주의, 조건적 낙관주의로 구분되었다. 문 화적 역량기반 낙관주의로 구분된 이들은 유학경험으로부터 형성된 자신의 능력으로 인해 미래에 타인보다 더 나은 삶을 살 것이라 예상하고 있었다. 가치관 변화기반 낙관주의로 구분된 이들은 유학경험으로부터 형성된 삶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관으로 인해 미래를 낙관적으로 그리고 있었다. 조건적 낙관주의로 구분된 이들은 기본적으로 미래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었으나, 현재의 능력 이나 지위에 만족하지 못해 미래 성공을 위한 조건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지금껏 제한적으로 연구되어왔던 조기유학 경험자들의 조기유학 이 후의 삶을 과거와 미래를 연결지어 통합적으로 이해하였다는 점, 미래기대의 형성과정에서 개인의 능동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교육학, 사회학의 기여도는 다음과 같이 평가해볼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교육불평등이 지속되는 우리사회의 모습을 파악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학적으로 의미 가 있다. 연구의 결과는 조기유학의 긍정적인 영향을 강조하는 동시에 우리사회 내 교육불평등이 지속되는 현실을 여실히 드러낸다. 조기유학이 보편적인 현상으로 자리 잡았으나 여전히 유학을 경험하는 이들은 소수라는 점에서, 조기유학은 불평등한 교육의 출발선을 나타내는 상징적 현상이다. 본 연구의 결과, 부모의 경제적 배경에 따라 교육의 출발선이 달라지며, 이러한 차이는 미래기대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조기유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 상황을 고려할 때 본 논문이 교육불평등 연구에 미치는 학문적 기여도는 앞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는 현재 구직을 단념한 니트(NEET: Not in Education, Employ ment or Training)청년이 증가하는 현 상황에 대한 깊은 고민거리를 제시한다. 니트청년이란 교육을 받거나 직업훈련에 종사하지 않는 청년층으로 이들은 자아효능감이 낮은 편이며 자신의 미래를 비관적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설정한 조기유학을 경험한 이들은 니트청년과 다르게 낙관적 미래기대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연 동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어떠한 차이가 있었기에 이 들은 이토록 상반된 미래기대를 가지게 되었는가? 본 논문은 이에 대한 중요한 담론 거리를 제시한다. 셋째, 본 연구는 개인의 삶에 대한 의미있는 타자의 영향력을 파악하였다는 점 에서 사회학적으로 의미가 있다. 연구에서 유학의 경험은 단순히 개인적인 경험 이 아니라, 개인의 자아를 변화시키고 이후의 사회적 혜택과 보상의 근거가 되는 중요한 현상으로서 해석되었다.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 는 의미있는 타자와의 상호작용이었다. 부모, 친구 등 가까운 주변인과의 상호작용이 사회적 혜택과 보상의 경험에 대한 개인의 성찰을 이끌어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개인이 자신의 삶에 대한 가치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가까운 주변인의 역할이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사회적 관계 속 개인간의 상호작용을 보다 심도있게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사회학적으로 의미를 가진다. 핵심어: 근거이론, 미래기대, 미래포부, 조기유학, 질적연구.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830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26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OCIAL SCIENCE(사회과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