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 0

AHP 및 사례분석을 통한 시설물 입찰제도의 안전진단 Pre-Qualification 개선방안 연구

Title
AHP 및 사례분석을 통한 시설물 입찰제도의 안전진단 Pre-Qualification 개선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Diagnosis Pre-Qualification of the Facility Bidding System through AHP and Case Analysis
Author
김지용
Alternative Author(s)
Kim, Jiyong
Advisor(s)
배성철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long with great economic growth called miracle on the Han river since the 1960s, many buildings proliferated but monitoring their safe management and facility maintenance has been neglected so that there have been frequent building collapses.   On January 5 in 1995, the Special Act on Safety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was revised, and the legislation mandates compulsory safety inspections and diagnostics for first and second-class facilities. Specialized safety assessment agencies implemented diagnosis and inspection.   In 2023, 2,073 safety assessment companies were registered. For conducting precision safety diagnosis and detailed inspection exceeding 100 million won, the order implementation proceeds through PQ(Pre-Qualification).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safety assessment PQ, the evaluation criteria on the assessment PQ and the bidding system are just described into very comprehensive content, and they are not specific. In addition, even though a lot of effort to resolve the problems including the existing PQ and bidding system has been going, there is a lack of practical improvements.    Therefore, in order to deduce improvements of safety assessment market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this study is to derive improvements by analyzing problems of abroad safety assessment through reviewing preliminary research on the PQ and bidding system and case studies on pros and cons of foreign safety assessment market, based on various objective data from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ublic Procurement Service, and bidding sites Info.  To achieve the objective, this study surveys the problems of safety assessment PQ and bidding system with 47 practitioners working in the field of safety assessment PQ and bidding system, and it secures data for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By utiliz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which is hierarchical analysis, this study divides them into major categories LEVEL1, Subcategories LEVEL2, and minor categories LEVEL3. In the major category, a functional issue is ranked first with 39.988%, an institutional issue is ranked second with 28.336%, and an environmental issue is ranked third. Among the 30 subfactors, the first rank is monopoly of dominant companies, which is the most significant problem. The second rank is the recognition range of new employment. The third rank is the impossible bidding system when they cannot meet standards of local companies. The fourth rank is the relieved scoring system of new technologies. The fifth is the restriction on the number of bids. This study identifies that the most significant problem of the safety assessment PQ and bidding system is the monopoly of predominant companies.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s by roughly dividing them into LEVEL1, Environmental, Institutional, and Functional improvements. It presents measures focusing on significant improvements with first and second ranked items within each category.   In case of the environmental problems in LEVEL1, in order to prevent the monopoly of dominant companies, this study suggests disallowance of joint supply and demand between specific companies that have contracts over 300 billion won or more, and in order to resolve problems of links with ordering organizations, this study proposes that, if there is a affiliated person like a former director of the ordering organization, the interested party cannot be allowed to participate in PQ. In case of the institutional problems in LEVEL1, in order to resolve problems on qualification standards, this study suggests that qualification criteria under the Special Act should be standardized and a separating department for safety management within the public agencies that order safety management of facilities should be designated.   In case of the functional problems in LEVEL1, this study presents that PQ scoring should be strengthened and relieved, job redundancy should be calculated only for outsourcing projects as business responsibility technical professionals and responsible technical professionals, and new technologies and patents should be arranged into a bonus scoring item.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that it only surveys professionals engaged in the safety assessment so that it does not cover every problem and solution on the field. Therefore, it suggests that follow-up research has to deal with ordering problems from professionals engaged in public institutions for facility safety management maintenance by surveying related parties. Based on it, the future study should secure credible data on problems from professionals engaged in the safety management assessment and the other professionals engaged in the facility safety management maintenance in public institutions, by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on the problems between the two interested parties. Then, based on the data,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in-depth research on establishing national guidelines due to increased demands for active and voluntary maintenance management, developing policies and technologies to correspond with environmental changes in advance, and optimizing the maintenance management. Howev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stablishes data on practical problems of PQ and bidding processes related with professionals engaged in the safety assessment and provides a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safety assessment market through improvements. |1960년대 이후 한강의 기적이라 불린 고도의 경제 성장에 발맞추어 우후죽순 생겨난 건축물의 안전관리 및 시설물 관리가 소홀히 되고 있어 노후화된 건축물의 붕괴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1995년 1월 5일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에 관한 업무를 체계화하는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개정되어 1,2종 시설물에 대한 안전점검 및 진단을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전문적인 안전진단수행기관을 통하여 진단 및 점검을 수행한다. 2023년 기준 전국에 안전진단전문기관은 2,073개 업체가 등록되어 있으며 1억원 이상의 정밀안전진단 및 정밀점검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PQ(입찰참가자격사전심사)를 통하여 발주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안전진단 PQ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안전진단 PQ 및 입찰제도에 대한 평가기준은 매우 포괄적인 사항에 대해 기술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다. 또한 기존 PQ 및 입찰 제도에 대한 문제점을 위한 노력은 지속적으로 하고 있으나 현실적인 개선사항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안전진단 시장의 향상과 기술개발을 유도하기 위해 국토교통부, 조달청, 입찰사이트 Info 등의 다양한 객관적 자료를 근거로 하여 PQ 및 입찰제도에 대한 사전연구 검토, 국외 안전진단 시장의 장단점을 사례 조사를 통한 현 국외 안전진단의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안전진단 PQ 및 입찰의 실무자 47명을 대상으로 안전진단 PQ 및 입찰제도의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설문조사를 통해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데이터 확보를 하였고, 계층적 분석 과정 방법인 AHP 기법을 활용하여 대분류 LEVEL1, 중분류 LEVEL2, 하분류 LEVEL3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대분류에서는 39.988%로 기능적인 문제점이 1순위, 32.676%로 제도적인 문제점이 2순위, 28.336%로 환경적인 문제점이 3순위로 나왔으며, 총 30개의 하위요소 중 상위업체독점이 1위로 가장 큰문제점이라는 결과가 나왔고, 다음으론 신규고용율의 인정범위가 2위, 지역업체 불충족 시 입찰참여 불가 3위, 신기술배점의 완화가 4위, 낙찰건수 제한이 5위로 안전진단 PQ 및 입찰제도의 문제점은 평균적으로 상위업체 독점이 가장 큰 문제점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개선방안으로는 크게 LEVEL 1. 환경적, 제도적, 기능적으로 나누어 정리하였고, 가장 중요시 여기는 항목 내 1,2순위를 중점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LEVEL 1 환경적인 문제점은 상위업체 독점을 막기 위해 300억 이상 수주한 업체끼리 공동수급 불가, 발주처와의 유착관계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발주처 출신 임직원이 회사에 소속되어 있을 시 그 인원이 PQ에 참여하지 못하게 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LEVEL 1 제도적인 문제점에서는 자격기준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시특법 자격기준 획일화, 시설물의 안전관리를 발주하는 공공기관의 안전관련 부서를 별도로 지정해야한다는 개선방안이 나왔다. 또한 LEVEL 1 기능적인 문제점은 PQ 배점의 강화 및 완화, 사업책임기술자 및 책임기술자로 수행하고 있는 용역건에 대해서만 업무중복도로 산정, 신기술 및 특허는 가점 항목에 배치해야한다는 개선방안이 나왔다. 연구의 한계로는 안전진단을 수행하고 있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만 설문을 돌려 안전진단 문제점 및 개선방안의 문제점을 모두 분석하였다고는 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향 후 연구는 안전진단 종사자뿐만 아닌 시설물 안전관리의 유지관리 기관 즉 발주자인 공공기관 시설물 안전관리 종사자들의 현재 시행되고 있는 발주의 어려움 또한 설문을 통한 데이터를 확보하여 안전진단을 수행하고 있는 종사자들과 공공기관 시설물 안전관리 종사자들의 문제점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가 구축되어 이를 통한 적극적이며 자발적인 유지관리의 필요성 증대로 국가적 가이드라인 구축, 환경변화에 선제 대응할 수 있는 정책 및 기술개발의 필요성, 유지관리의 최적화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안전진단 종사자들의 PQ 및 입찰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점을 데이터를 구축하고 개선방안을 통한 안전진단 시장의 발전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시사점을 가질 수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365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20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CIVIL AND LANDSCAPE ENGINEERING(건축ㆍ토목ㆍ조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