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0

개입시계열분석을 활용한 소방·경찰공무원 안전보건정책의 효과 평가

Title
개입시계열분석을 활용한 소방·경찰공무원 안전보건정책의 효과 평가
Other Titles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Safety and Health Policy for Firefighters and Police Officers Using Interrupted Time Series
Author
전지영
Alternative Author(s)
Jeon Ji Yeong
Advisor(s)
이석환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부터 시행해 온 「소방(경찰)공무원 보건안전 및 복지 기본법」에 따른 안전보건정책의 효과를 평가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개입시계열 모형을 활용하여 「소방·경찰 보건안전 및 복지 기본법」 제정 전후 재해발생률과 사망만인율의 수준 및 추세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통계자료를 구득할 수 있는 1983년부터 2021년까지로 하였고, 공간적 범위는 우리나라 전국이다. 공무원 안전보건 정책의 경우 직종 단위로 정책이 시행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분석단위는 직종으로 하였다. 정책 효과를 추정함에 있어 결과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을 통제하기 위해 안전보건정책이 시행되지 않은 일반직과 교육직을 비교집단으로 설계하였다. 개입시계열 분석결과, 정책 시행 이후 소방경찰의 재해발생률 수준은 일반직과 교육직에 비해 큰 폭으로 낮아졌으나, 유의미하지 않았다(z_x2012=-0.1234, p=0.112). 반면, 정책 시행 이후 소방경찰과 비교집단 간의 재해발생률 기울기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z_x_t2012=-0.0739, p=0.000). 사후추세 분석 결과에 따르면, 소방경찰의 선형회귀계수는 -0.0249683로, 부(-)의 방향을 보이나, 비교집단인 일반직과 교육직은 정(+)의 회귀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소방 및 경찰공무원 안전보건정책은 재해발생률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고 결론을 낼 수 있다. 사망만인율의 경우 정책 시행 이후 소방경찰의 수준(z_x2012=0.1774, p=0.852)과 기울기 변화(_z_x_t2012=0.0861, p=0.246)는 일반직 및 교육직과 비교하여 유의미하지 않았다. 사후추세 분석에 따르면, 정책집단인 소방경찰의 선형회귀계수는 -0.0488725로, 부(-)의 방향을 보이나, 비교집단인 일반직과 교육직은 정(+)의 회귀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이러한 추세의 차이가 결과적으로 유의미한 것은 아니었다(p=0.130). 따라서 소방경찰 안전보건정책이 사망만인율을 감소시킬 만큼 충분하지 못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무상 안전보건정책의 효과 평가를 최초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안전보건정책 및 활동이 재해발생률을 낮춘다는 기존의 선행이론 및 연구결과를 공공부문에 확장·적용하여 검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olicies targeting firefighters and police officers under the 「Act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nd Welfare for Firefighters(Police Officers)」 implemented since 2012. To achieve this, the study utilizes interrupted time series analysis to examine the levels and trend changes in injury rates and mortality rates before and after the enactment of the act. The temporal scope of this study spans from 1983 to 2021, encompassing nationwide data in South Korea. Given tha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olicies are often implemented at the occupational level, the analysis focuses on occupations such as firefighters and police officers. To control for factors influencing the outcome variables, comparison groups consisting of general and educational officers, for whom safety and health policies were not implemented, are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e interrupted time series analysis indicate that the post-implementation level decrease was substantial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z_x2012=-0.1234, p=p=0.112).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slope of injury rates between firefighters/police officers and the comparison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z_x_t2012=-0.0739, p=0.000). According to the post-trend analysis for Hypothesis 1, the linear regression coefficient for firefighters/police officers is -0.0249683, indicating a negative direction, while the general/education officers show positive regression coefficient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afety and health policies for firefighters and police officers were effective in reducing injury rates. Regarding mortality rates, post-implementation rates and slope changes for firefighters/police office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the general/education officers(z_x2012=0.1774, p=0.852; _z_x_t2012=0.0861, p=0.246). Post-trend analysis reveals a linear regression coefficient for the policy group as -0.0488725, showing a negative direction. However, the comparison group exhibits positive regression coefficients. Nevertheless, these trend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30).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afety and health policies for firefighters and police officers were not sufficient to significantly reduce mortality rate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the first attempt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olicies in the public sector. By extending and applying existing theoretical and research findings on the impact of safety and health policies on injury rat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olicy effectivenes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050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18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PUBLIC ADMINISTRATION(행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