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 0

초현실주의 무용 작품의 그로테스크 표현성 연구

Title
초현실주의 무용 작품의 그로테스크 표현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Grotesque Expression in Surrealist Dance Works - Focusing on Peeping Tom, Dimitris Papaioannou, Marcos Morau -
Author
당정문
Alternative Author(s)
TANG JINGWEN
Advisor(s)
손관중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최근 전세계에서 초현실주의 무용 스타일이 주목받고 있다. 피핑 톰, 디미트리스 파파이우아누, 마르코스 모라우의 무용 예술은 감정의 중요한 표현 방식으로, 다양한 그로테스크 표현성을 통해 연극적인 요소와 짙은 비주얼 충격을 담는 무용 작품을 만들어낸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피핑 톰, 파파이우아누, 모라우의 초현실주의 작품에 담긴 몸의 파편화, 확장, 변형과 왜곡 등 그로테스크 표현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로테스크 토론과 현대적 의미를 살펴보고, 현재 무용계에서는 활발하게 토론되고 있는 그로테스크 현상이 초현실주의와 어떻게 상호 관계를 갖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피핑 톰, 디미트리스 파파이우아누, 마르코스 모라우의 철학 세계에 대한 학술적 연구와 논의를 위하여 다양한 그로테스크 표현성을 융합한 대표적인 작품 <Triptych>(2020), <The Great Tamer>(2017), <Sonoma>(2021)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먼저, 무용 작품의 시각적 요소(무대 세트, 의상, 오브제 요소)와 움직임 요소에 대해 분석한다. 또한 초현실주의 무용 작품에 나타난 그로테스크한 표현성들(파편화, 확장, 왜곡, 변형)을 전체적으로 고찰하여 피핑 톰, 디미트리스 파파이우아누, 마르코스 모라우의 안무 공통점을 근거하여 3 가지 다원적 메커니즘(예술융합, 그로테스크, 시각적)을 제시하고 종합적으로 분석하자 한다. 이러한 만들어내는 그로테스크 표현성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된다 첫쩨, 시각적 이중성을 통해 잘 알려진 물리적인 무대 공간은 현실과 허구를 대비시켜 익숙한 공간에서 환상적인 공간으로, 즉 현실과 환상이 대립됨으로써 현실과는 다른 장소로 전도된다. 둘째, 정서적 감성을 표현하는 연상성을 통해 공포감, 잔혹함, 충격적, 파괴적인 감정을 조성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초현실주의 작품은 특히 신체의 각도, 꺾임과 같은 동작을 이용하여 기이하고 무서운 분위기를 연출한다. 셋째, 형태의 모방성은 상식을 벗어나 기존 모습의 형태를 왜곡하거나 재현하고 모방함으로써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문학, 회화, 종교 등 다양한 소재를 재현하면서도 원본의 질감을 완전히 다르게 표현하는 태도는 현실을 뛰어넘는 초현실주의 정신으로 비추어진다. 피핑 톰, 디미트리스 파파이우아누, 마르코스 모라우의 그로테스크는 초현실주의를 기반으로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에서 나타나는 괴리감, 신체의 분리와 결합, 재구성을 통한 탈형식화, 그리고 관능성이 공존하면서 만들어지는 모순을 통해 표현된다. 그러나 그들의 그로테스크 표현성이 시각적 충격을 통한 미학적 접근을 시도하거나, 단지 현실의 모순에 관한 모방과 재현을 목적으로 두고 있는 것은 아니다. 앞서 분석된 내용을 종합하여 초현실주의 무용 작품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그로테스크 표현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신체를 주로 활용하며 무대세트, 이미지와 더불어 움직이는 초현실 과정과 안무가의 의도에서도 그로테스크 표현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초현실주의라는 특성 때문에 작품이 정체되어 있지 않지만 오히려 관객이 그 과정을 생동감 있게 느끼며 그로테스크가 갖는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렇게 표현되는 그로테스크는 고정된 인식과 사회적 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저항과 비판의 의지로 간주된다. 그들의 작품에 나타난 다양한 그로테스크 기법, 표현성은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창작을 추구하는 현대무용계에 독창적인 영감을 제공하며 현대사회가 당면한 문제점, 인간내면의 파괴적인 본능 등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대의 그로테스크한 특성이 단순히 혐오스럽고 파괴적인 의미만을 갖는 형태로 해석되는 것에서 벗어나, 초현실주의와 결합하여 미학적 가치를 부여하고 다양한 표현 방법을 확장함으로써, 그것을 독창적인 안무 방법 중 하나로 인식하고자 하는데 긍정적 효과를 논의할 수 있으면 한다.|Recently, the surrealistic dance style has been gaining attention worldwide. The dance art of Peeping Tom, Dimitris Papaioannou, Marcos Morau serves as a significant means of expressing emotions, creating dance works with intense visual impact through various grotesque expressions and theatrical elements. To explore the grotesque expressiveness inherent in the surrealistic works of Peeping Tom, Dimitris Papaioannou, Marcos Morau,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ragmentation, expansion, transformation, and distortion of the body. The study delves into the grotesque discussions and contemporary significance, seeking to clarify how the current discourse on the grotesque in the dance world relates to surrealism.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analyzes representative works such as <Triptych>(2020), <The Great Tamer>(2017), <Sonoma>(2021), integrating various grotesque expressions for academic research and discussion of the philosophical worlds of Peeping Tom, Dimitris Papaioannou, Marcos Morau. The visual elements (stage set, costumes, props) and movement elements of dance works are first analyzed. Furthermore, by examining the grotesque expressions (fragmentation, expansion, distortion, transformation) found in surrealistic dance works, the study aims to identify commonalities in the choreography of Peeping Tom, Dimitris Papaioannou, Marcos Morau. Based on this, three multifaceted mechanisms (artistic fusion, grotesque, visual) are proposed and comprehensively analyzed. Through the study of these grotesque express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irstly, through visual duality, well-known physical stage spaces are transformed from familiar to fantastical, contrasting reality and fantasy, leading to a departure from familiar spaces to imaginative ones. Secondly, through associative expressions that convey emotional sentiments, feelings of fear, brutality, shock, and destruction are confirmed. Surrealistic works, especially through movements such as angles and bends of the body, create eerie and frightening atmospheres. Thirdly, the mimesis of forms involves distorting or reproducing existing forms, transcending common shapes, and expressing various approaches. The attitude of reproduc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literature, painting, and religion while completely altering the texture of the original reflects the transcendence of surrealistic thought beyond reality. The grotesque of Peeping Tom, Dimitris Papaioannou, Marcos Morau, based on surrealism, is expressed through the juxtaposition of reality and unreality, the alienation appearing at the boundary, the separation and combination of the body, metamorphosis through reconstruction, and the coexistence of contradiction through sensuality. However, their grotesque expressiveness is not merely an attempt to approach aesthetic values through visual shock or a mimicry and reproduction of contradictions in reality. By synthesizing the analyzed content, various grotesque expressions in surrealistic dance works are discussed. Grotesque expressiveness is found not only in the use of the body but also in the choreographic intentions of the moving surreal processes and the choreograph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 the works are not fixed, allowing the audience to vividly experience the process and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grotesque. This type of expressed grotesque is considered a resistance and criticism of the desire to break free from fixed perceptions and societal norms. The various grotesque techniques and expressiveness in their works provide creative and experimental inspiration to the contemporary dance world, reflecting the meanings of the problems facing modern society and the destructive instincts of human inner selves. This study aims to move beyond the interpretation of the modern grotesque as a form that only has repulsive and destructive meanings. By combining it with surrealism, assigning aesthetic value, and expanding various expression methods, it seeks to recognize it as one of the innovative choreographic methods and discuss its positive effect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219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01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