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 0

군 병사의 사회불안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의해 조절된 군 집단응집력의 매개효과

Title
군 병사의 사회불안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의해 조절된 군 집단응집력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ldiers’ social anxiety and adaptation to military lif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military group cohesion moderated by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uthor
박경희
Alternative Author(s)
Bark Kyounghee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군 병사의 사회불안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의해 조절된 군 집단응집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서 군 병사의 사회불안이 어떠한 경로로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 군 집단응집력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구체적인 역할을 확인하여 학술적 연구 범위를 확장하고,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육군 부대에 복무 중인 병사 231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은 한국판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척도, 군 집단응집력 척도,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군 생활 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과 SPSS PROCESS Macro v.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절차는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사회불안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군 집단응집력의 매개효과, 사회불안과 군 집단응집력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를 검증 후, 사회불안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의해 조절된 군 집단응집력의 매개효과 확인을 위해 SPSS Process Macro 7번을 통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인 사회불안, 군 생활 적응, 군 집단응집력,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변인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사회불안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군 집단응집력이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사회불안과 군 집단응집력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사회불안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군 집단응집력의 매개효과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불안이 군 생활 적응으로 이어지는 심리적 경로를 규명함으로써 사회불안 및 군 생활 적응에 대한 이해와 이론적 범위를 확장하였다. 둘째, 군 병사의 사회불안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군 집단응집력의 부분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사회불안의 인지적, 행동적 특성이 어떠한 양상으로 개인이 지각하는 군 집단응집력과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불안 증상에 대한 관심과 대처의 중요성에 관한 논의를 제공하였다. 더불어 군 집단응집력을 개인내적 심리 과정의 연속선상에서 살펴보면서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것은 군 집단응집력의 연구 범위 확대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셋째, 사회불안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의해 조절된 군 집단응집력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군 병사의 사회불안 완화 및 군 생활 적응 수준 제고를 위한 군 집단응집력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역할을 논의하고, 효과적 방안 마련을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함의가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375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00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LEARNING SCIENCE(러닝사이언스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