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 0

서울시 고령인구 기반 도시활력의 공간적 특성과 영향요인 분석

Title
서울시 고령인구 기반 도시활력의 공간적 특성과 영향요인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Urban Vibrancy Induced by Older Adult Population in Seoul, Korea: Focusing on Intensity, Diversity, and Stability Indicators
Author
조서연
Alternative Author(s)
Cho, Seo Yeon
Advisor(s)
이수기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도시활력은 도시 공간에서 사람의 존재와 활동,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빅데이터의 다양성으로 도시활력을 측정하고 연구하는 접근이 확대되고 있으며, 도시활력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생동감, 다양성, 지속성 등 다양한 요소가 요구된다. 급속한 속도로 고령화가 이뤄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인구의 활동에 의한 도시활력의 패턴과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초고령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도시활력 제고 전략 구축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휴대폰 위치기반 생활이동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시활력 지표를 강도, 다양성, 안정성 관점에서 분석지표를 제안하고, 고령인구를 세분화하여 지표별 도시활력 패턴 및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 과정은 크게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생산가능인구에 의한 도시활력을 강도, 다양성, 안정성 관점에서 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LISA) 분석을 통해 공간적 특성을 조사하는 것과 그 영향요인을 공간회귀분석을 통해 도출하여 비교·분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시활력 지표는 도시활력의 개념을 처음 제시한 Jacobs(1961)에 근거하여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는 고령인구 기반 도시활력에 관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후기노인의 이동이 주거지 인근으로 집중되며, 이는 도시활력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며, 고령인구의 특성을 고려한 도시계획과 교통 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둘째, 의료시설 접근성과 독거노인 활동의 중요성이 도시계획에 핵심 요소로 작용함을 발견하였다. 이는 독거노인의 활동 다양성이 도시활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노인복지환경이 고령인구 기반 도시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고령인구의 사회·경제활동 참여와 노인복지환경이 복잡한 상호작용을 보이며, 이는 지역별로 맞춤형 노인복지 서비스와 인프라 제공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상업·업무시설지의 다양성이 도시활력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주택지 밀도와 주거·상업 혼합지 밀도는 고령인구의 활동에 기반한 도시활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특정 연령 집단의 요구를 고려한 토지이용 계획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다섯째, 생활권공원은 다양한 연령대의 주민들을 끌어들이는 장소로서 도시활력 증진에 기여하지만, 휴식과 여가 활동에 집중되어 있어 활동 다양성을 제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생활권공원을 활용한 도시공간의 설계와 관리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령인구 기반 도시활력과 생산가능인구 기반 도시활력 간에 강도, 다양성, 안정성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고령사회에서 고령인구 기반의 도시활력을 이해하고, 고령인구의 생활 패턴과 요구를 반영한 도시계획이 중요함을 강조하며, 고령인구의 내부적 다양성을 고려한 접근법의 중요성을 입증한 데서 의의가 있다.|Urban vibrancy reflects social interactions and the presence and activities of people in urban spaces. Recently, big data has expanded its approach to measuring and researching urban vibrancy, which includes elements such as vitality, diversity, and sustainability. South Korea’s rapidly aging population is motivating the analysis of patterns and influencing factors of urban vibrancy driven by the older adult pop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enhance urban vibrancy in an aging society. This study examines intensity, diversity, and stability as indicators of urban vibrancy using mobile phone location-based daily mobility big data and aims to compare and analyze urban vibrancy patterns and influencing factors by segmenting the older adult population. The analysis investigat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vibrancy influenced by the young-old, old-old, and working-age popu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nsity, diversity, and stability, comparing and analyzing their influencing factors. This investigation examines spati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LISA) analysis. The influencing factors are then deduced via spatial regression analysis. The urban vibrancy indicators are based on Jacobs(1961) original concep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or urban vibrancy related to older adult populations. First, as aging progresses, the mobility of the old-old population concentrates around residential areas, impacting diversity and highlighting the need for urban planning and transportation policie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population. Second, it revealed the importance in urban planning of healthcare facility accessibility and the activities of solitary older adults, suggesting the need to provide stable and accessible healthcare options and showing that activity diversity of solitary older adults positively affects urban vibrancy. Third, analyzing the impact of the senior welfare environment on the older population’s urban vibrancy revealed a complex interaction between this population's social and economic participation and the senior welfare environment,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providing customized senior welfare services and infrastructure. Fourth, while the diversity of commercial and business facilities plays a crucial role in enhancing urban vibrancy, the density of residential areas and mixed-use areas may negatively impact urban vibrancy based on the activities of the older population, suggesting the need for land use planning that considers the needs of specific age groups. Fifth, neighborhood parks attract residents of various ages enhancing urban vibrancy, but their focus on rest and leisure activities may limit activity diversit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urban space design and management for neighborhood parks. Fin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urban vibrancy based on the older adult and working-age populations in terms of intensity, diversity, and stability, providing insights for developing sustainable and inclusive urban development strategies and suggesting that tailoring strategies to the older population will contribute to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d improve residents' quality of life. Thes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urban vibrancy based on the older population in a super-aged society, reflect the life patterns and needs of the older population in urban planning, and prove the significance of approaches that consider the internal diversity of the older population.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435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97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