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 0

근린 내 생활업종의 밀도와 주거침입 범죄의 연관성 연구

Title
근린 내 생활업종의 밀도와 주거침입 범죄의 연관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nsity of Life-Related Businesses in the Neighborhood and Housebreaking crime - Using Crime Reporting Data -
Author
안영환
Alternative Author(s)
Ahn YoungHwan
Advisor(s)
박진아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While the crime rate in Korea has been decreasing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housebreaking crimes continues to increasing.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housebreaking crimes have been surveyed as the most feared crimes by people, and it is a crime that can develop into a violent crime, causing mental trauma and threatening body or life. Previously, the concept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has been proven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crime through environmental changes in cities, such as the installation of crime prevention facilities, street improvements,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However, there is a need for customized prevention that takes into account populati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relying on simple installation of facilities and budget injections. Until now, areas with high commercial density have been shown to be vulnerable to crime due to high floating population. Currently in Seoul, various buildings are intermixed beyond designated purposes, and there is a social phenomenon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are becoming ambiguous, accompanied by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is can positively impact residents' convenience but may lead to an influx of non-residents and a decline in residential stability. Additionally, residential commercialization often leads to a transformation of housing units into cafes or restaurants. The expansion of specific businesses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city, and the crime rate vari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se businesses. Such changes are likely to amplify environments vulnerable to housebreaking crimes. Previous studies exhibited varying results due to the analysis of fear of crime through surveys and secondary data or a focus on specific target areas and types of crimes. Moreover,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ercial environments and the occurrence of housebreaking crime based on changing social phenomen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commercial environments on housebreaking crime, utilizing crime reporting data capable of assessing occurrences of housebreaking crime within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eoul, without restriction to specific buildings or zoning areas. Subsequently, the objective is to deline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nsity of various neighborhood life-related business types and occurrences of housebreaking crime for a more detailed derivation of influencing factor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act of commercial environments, it was found that areas characterized by a higher density of single-person households, higher commercial density, and the presence of aged buildings, multi-family and townhouses tend to represent vulnerable environments for housebreaking crime. Conversely, it was observed that areas with a diverse distribution of businesses tended to inhibit housebreaking crime. The analysis of each type of life-related business density revealed that areas with higher densities of chicken & drinking place, cafe & bakery were more vulnerable to housebreaking crimes. It is determined that such an environment significantly impacts the occurrence of housebreaking crime by encouraging nighttime passage, drinking, and the influx of population into residential areas, fostering interaction between residents and non-residents. However, personal services and retail businesses were found to be a deterrent to housebreaking crimes. This could be due to their lack of impact on the influx of non-residents or by strengthening informal controls in the neighborhood. The accommodation business, which provides temporary housing, was found to be an business that causes housebreaking crimes in the region, and it was suggested that this also has an impact on the occurrence of housebreaking crimes targeting non-resident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occurrence of housebreaking crime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popula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within a locality, as well as environments that result in substantial population influx. Moreover, it was revealed that these influences could vary depending on the density of each life-related business. For effective prevention of housebreaking crime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to focus on the excessive concentration or proliferation of businesses that create vulnerable environments.|최근 우리나라의 범죄율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인 반면, 주거침입 범죄의 발생은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다. 주거침입 범죄는 사람들에게 가장 높은 두려움을 주는 범죄로 조사되어왔으며, 강력범죄로 발전되어 정신적 외상에 더하여 신체나 생명이 위협당할 수 있는 범죄라는 점에 주목해야한다. 기존에는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의 개념이 활용된 방범 시설 설치, 가로 개선, 커뮤니티 활성화 등이 도시의 환경적 변화를 통해 범죄의 사전적 방지에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해왔다. 그러나 단순한 시설 설치 및 예산 투입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인구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예방이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전부터 높은 상업 밀도를 가진 지역은 많은 유동인구로 인해 범죄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왔다. 현재 서울시는 지정된 용도와는 달리 다양한 건축물들이 고루 혼합되어 있으며, 1인가구 증가와 주거 및 상업지역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사회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거주민의 생활 편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나, 비거주민의 유입이 촉진되어 주거지 안정성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주거지 상업화로 인해 주택이 카페나 음식점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특정 업종의 무분별한 확산은 도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범죄의 발생 역시 업종의 입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들은 주거침입 범죄에 취약한 환경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설문조사 및 이차자료를 통해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분석하거나 특정 대상지 및 범죄 유형 등에 집중해온 것에 따라 연구 간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변화하는 사회적 현상을 기반으로 상업 환경과 주거침입 범죄 발생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정 건축물과 용도지역에 한정하지 않은 서울시 행정동을 대상으로 주거침입 범죄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는 범죄 신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업 환경이 주거침입 범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보다 구체적인 영향요인 도출을 위해 근린 내 생활업종별 밀도와 주거침입 범죄 간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업 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높은 1인가구와 상업 밀도, 그리고 노후된 건축물과 다세대 및 연립주택이 다수 입지하고 있는 지역일수록 주거침입 범죄에 대한 취약 환경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업종이 다양하게 분포된 지역일수록 주거침입 범죄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활업종별 밀도를 통해 분석을 진행한 결과, 치킨 및 주점과 카페 및 제과점 업종이 밀집할수록 주거침입 범죄에 취약함이 나타났다. 야간 통행 및 주취를 유발하고, 주거지 내 인구가 유입되기 쉬운 환경이 거주민과 비거주민의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게 되어 주거침입 범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서비스업과 소매업은 주거침입 범죄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거주민의 유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지역의 비공식적 통제 강화를 통해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일시적인 주거를 제공하는 숙박업 또한 지역에 주거침입 범죄를 유발하는 업종으로 나타났으며, 비거주민을 대상으로 한 주거침입 범죄 발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는 주거침입 범죄의 발생이 지역 내 인구 및 물리적 특성과 많은 인구 유입을 초래하는 환경에 큰 영향을 받으며, 이는 각 생활업종의 밀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추후 주거침입 범죄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서는 취약 환경을 초래하는 업종의 과다 밀집 또는 확산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574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96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