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 0

온라인 미술치료 상호작용성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Title
온라인 미술치료 상호작용성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Other Titles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interactivity in online art therapy :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an art therapist
Author
박한울
Alternative Author(s)
박한울
Advisor(s)
김선아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With new digital devices that allow people to drift between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nd the global pandemic situation caused by COVID-19, psychological treatment has come to take a new turn. This is even more true for art therapy which has previously been studied continuously but now has critically expanded so that we must focus on not only its activities taking place online but also the basic interactions of numerous relationships established online. The objective of the following research is to identify the meaning of interactive experiences art therapists go through during the process of online art therapy. In this study, the art therapists are defined as therapists who have experienced both offline and online art therapy. In order to identify thi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made. First, what structure does the interaction within an online therapy have? Second, What process establishes the identity of the online art therapist during therapy? Third, How does the art therapist experience the process of finding his place during the online art therapy? And based on these questions the following study utilized interpretiv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The preliminary research took place and tests were conducted on 3 participants from January to April in 2023. Based on the results, the main research was planned and the main research was conducted on 9 participants and 2 in-depth interviews from April to September in 2023. The results analyzed from the data are as follows. The interactivity shown during online art therapy has been analyzed as the therapist’s process of establishing pluralistic identity through multi-layered structure of relationship. First there are 3 structures of relationship show during online art therapy and the first is the cooperation from the dyadic relationship between ‘therapist-client’. The cooperation between therapist and client is characterized by the therapist’s subtle and detailed efforts and client’s active reaction due to their limited means of nonverbal communication. Second is the triangular relationship between ‘therapist-client-art’. In previous art therapies, art was a source of communication, but in the case of online art therapy, digital devices serve as another medium for communication and both the liberty of clients and the restrictions of therapists have been identified. Third, as a place for communication has been established within the online boundaries, the separation between personal space and mutual space was created. And research proceeded with analysis of interactivity related to psychological composure and concentration. ‘The process of becoming’ is not being fixed as a being but forming something new by ‘becoming’ something new after meeting someone different( Kim Jae Chun, Bae Ji Hyeon 2012). Therefor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art therapist’s pluralistic identity related to the interactivity of online art therapy is identified as ‘like a novice therapist’, ‘something that can be seen only after resignation’, ‘a life corresponding to individual’ and ‘identity as an art therapist’. In order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interactivity within online art therapy and the basic meaning of interactivity based on the art therapist’s experience, analysis of the 4 fundamental existentials was conducted and showed to be ‘a process of adjusting one’s own place’. This means that under the same condition of online environment, the therapist and the client establishes relationships as existing beings and through the process of forming a creative clinical environment and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contact, the therapist continues to find his own place and this shows that within online art therapy interactivity is meaningful in itself as a process. The following research provides data for further development of online art therapy by examining the interactivity within online art therapy experienced by therapists in this continuously changing COVID-19 pandemic age. Furthermore b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art therapists, this research allows assessment of the current situation of online therapy in social and cultural terms. We hope that in the future, if online environments are added to art therapy this research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manual for online art therapy. key words: online art therapy, art therapist, interactivity, interpretiv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디지털 기기를 통해 현실과 가상을 넘나들며 시공간이 깨진 시대적 상황과 COVID-19라는 전 세계적인 팬데믹 속에서 심리치료 분야 또한 새로운 차원의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특히 이전부터 조금씩 연구되어 온 온라인 미술치료의 영역이 크게 확장되면서 단순히 온라인 공간으로의 이동이 아닌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관계들의 근본적인 상호작용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오프라인 미술치료와 온라인 미술치료를 모두 경험한 미술치료사가 온라인 미술치료에서 경험하는 상호작용성 체험의 의미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온라인 미술치료에서 상호작용성은 어떤 구조로 나타나는가?, 둘째, 미술치료사는 온라인 미술치료에서 어떤 과정으로 정체성이 형성되는가?, 셋째, 미술치료사가 온라인 미술치료에서 자신의 위치를 규정해나가는 과정은 어떻게 경험되는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질적 연구방법 중 해석학적 현상학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023년 1월부터 4월까지 3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한 후,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를 설계하였으며, 본 연구는 2023년 4월부터 9월까지 연구참여자 9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2차례에 걸쳐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온라인 미술치료에서 나타난 상호작용성은 다층적 관계구조를 통한 치료사의 다원적 정체성 형성과정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온라인 미술치료에서 나타난관계구조는 총 세 가지로 첫 번째 ‘치료사-내담자’ 이원관계로서의 협력성이 드러났다. 온라인 미술치료에서 치료사와 내담자의 협력성은 비언어적 소통 제한에 따른 치료사의 섬세하고 구체적인 노력과 내담자의 적극적인 반응과 소통이 특징으로 보여졌다. 두 번째 ‘치료사-내담자-미술’이라는 삼원관계는 자율성과 통제성으로 전통적인 미술치료에서 미술이 하나의 소통 매개였다면 온라인 미술치료에서는 디지털 기기가 또 하나의 소통 매개로 등장하면서 내담자의 자율성과 치료사의 통제성이 상반되게 나타났다. 세 번째 온라인 환경이라는 틀 안에서의 의사소통은 공간을 매개로 소통의 장이 형성됨으로써 개인의 공간과 공동의 공간이 분리되었다는 점에서 심리적 안정 및 몰입에 따른 상호작용성이 분석되었다. 온라인 미술치료에 대한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은 다원적정체성 형성과정으로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서 오는 거부감에서부터 치료적 성취감을 경험하기까지 많은 시도와 부딪힘이 있었는데 그 과정에서 생겨난 주관적인 경험들은 연구참여자로 하여금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켰다.‘되어가기’는 하나의 존재가 ‘임(being)’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다른 존재와 만나 무언가가 ‘되기(becoming)’로서 새로운 것으로 생성된다는 의미이다(김재춘, 배지현, 2012). 이에 온라인 미술치료 상호작용성에 관한 미술치료사의 다원적 정체성 형성과정은 ‘마치 초보 치료사처럼’, ‘내려놓아야 비로소 보이는 것’, ‘개인으로서 일치되는 삶’, ‘미술치료사라는 정체성’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미술치료 상호작용성의 구조와 미술치료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온라인 미술치료 상호작성의 본질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네 가지 실존체에 따른분석결과 ‘자신의 위치를 규정해나가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환경이라는 동일한 전제조건 안에서 치료사와 내담자가 실존적 존재로서 개별적인관계를 맺고 심리적 접촉을 통한 그들만의 창조적인 치료적 환경과 관계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치료사는 자신의 위치를 계속해서 규정해나감으로써 온라인 미술치료에서의 상호작용성은 하나의 과정으로서 본질적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변화하고 있는 시대적 흐름과 COVID-19의 팬데믹 상황 속에서미술치료사가 경험한 온라인 미술치료의 상호작용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온라인 미술치료의 발전에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 또한 미술치료사가 가지고 있는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미술치료의 현주소를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미술치료가 온라인 환경과 결합되어 나아갈 때 온라인 미술치료에 대한 실질적인 매뉴얼 및 지원 방안이 마련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온라인 미술치료, 미술치료사, 상호작용성, 해석학적 현상학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594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95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LTICULTURAL EDUCATION(다문화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