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 0

김춘수 시의 지평 연구

Title
김춘수 시의 지평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Horizon of Kim Chun-su’s Poetry
Author
권준형
Advisor(s)
유성호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고는 김춘수 시에 나타난 지평의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김춘수는 50년이 넘는 활동시간 동안 자신의 시세계를 끊임없이 갱신하고 치열한 언어실험을 시도한 점에서 한국 시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김춘수의 활동 시기에 따라 변모한 지평은 시인의 내면과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을 용해하여 작품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다양한 모습을 살피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것은 불확실한 세계를 바라보려는 시인의 노력이다. 하여 현실에 대한 경험과 문학적 상상력이 상호작용하는 접근방식이 요구된다. 지평은 단순한 공간을 의미하는 것을 넘어, 세계를 인식하는 관점에 따라 형성된다. 김춘수의 시를 지평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나는 왜 여기서 이러고 있는가.”라는 그의 화두에서 비롯된다. 이 화두를 문장 단위로 쪼개어보면 김춘수의 시세계의 형성과 긴밀히 연결됨을 살필 수 있다. 2장을 중심으로 한 “나는”은 김춘수가 관념적, 형이상학적 사유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자기 체험을 노래하는 과정을 초기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작품이 가진 추상성을 제거하기 위해 시인은 기억과 관련된 시를 상당수 집필한다. 이것은 단순히 체험에서 비롯된 기억이 아니다. 기억은 자서전적 기억, 망각, 트라우마로 분류되어 문학적 형식으로 기능한다. 먼저 자서전적 기억은 실제 체험을 토대로 한 기억이다. 과거 경험을 회상하면서 발화 현재와의 충돌을 통해 실제 기억과 단절을 이루며 미래로 뻗어가는 시간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망각은 기억된 것이 없지만 기억의 일부이다. 망각은 경험하지 않은 비자의적 기억을 통해 상상력으로 작품을 재구성하면서 새로운 서사를 생성한다. 그리고 트라우마와 관련된 기억은 다양한 사물과 감각을 통해 제시된다. 이는 이후 김춘수의 시세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기억지평이 생성되면서 김춘수는 자신의 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해 환상을 도입한다. 그것은 다양한 이미지에 대한 실험과 관련이 있다. 초기에서 나타나는 이미지는 감정과 사유를 최대한 배제한 ‘서술적 이미지’의 실험으로 이어진다. 현실의 맥락에 포함되지 않는 이미지를 통해 김춘수는 트라우마의 상흔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시도를 이어간다. 그러나 그 이미지의 이면에는 시인의 상실이 나타난 돌발 표시가 있다. 돌발 표시는 시인이 의식하지 못한 트라우마의 외상을 표시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외상의 부분을 추적함으로써 시인이 가진 역사와 이데올로기에 대한 의식이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추측할 수 있다. 3장에서는 “왜”라는 질문에서 촉발된 잠정적 응답으로 ‘무의미시’를 개진한 중기를 분석한다. “왜”는 역사는 왜, 이데올로기는 왜로 연결되며 본격적으로 이와 직면하는 과정으로 이어진다. 본고에서 집중적으로 살필 부분은 중기의 대표작인 『처용단장』이다.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는 이 시집을 토대로 1, 2부를 미학에, 공백기 동안 쓰인 시편을 윤리, 3부를 정치 그리고 4부를 주체의 문제로 바라본다. 1부에서 김춘수는 이전에 시도된 ‘서술적 이미지’를 ‘무의미시’의 주요 기법으로 정착시킨다. 여기에는 어떤 역사와 이데올로기의 폭력을 드러내기 위한 의도가 이면에 깔려 있다. 따라서 ‘무의미시’는 단순한 도피의 성격을 갖지 않는다. 1부의 이미지에는 선형적인 시간과는 다른 순수시간이 흐르고 있으며, 이 시간을 다양하게 전도시키며 역사를 다시 쓰는 시도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미지의 수많은 파편화는 몽타주와 관련된다. 몽타주는 시간뿐 아니라 분리와 절단의 강력한 파토스를 내재한다. 따라서 1부의 이미지는 특수한 시간성과 몽타주를 통해 역사지평의 윤곽을 그린다. 2부에서는 시인의 리듬을 살핀다. 김춘수의 리듬은 정형시에서 벗어나 독특한 형태를 갖고 있다. 그리고 그 이면에는 시인의 심리가 짙게 베여있다. 이는 2부의 리듬이 역사와 이데올로기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는 무력감에 대한 울음과 같은 것으로 들리게 한다. 2부에서 끊임없이 반복되는 “-다오.”라는 어미와 동사의 변주는 하나의 무조음악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리듬의 형태는 하나의 리토르넬로를 이루면서 영토화되어 역사공간을 드러낸다. 리토르넬로의 효과는 리듬이 단순한 음악성에 그치는 것을 넘어서 심리적 궤적을 그리며 1부의 이미지와 같이 역사와 이데올로기에 대항하는 지평을 형성한다. 또한 “-다오.”의 수신자는 드러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수신자의 부재는 곧 대상과 접촉을 이루지 못하는 공백이다. 메시지의 전달 불가능성으로 인해 시인은 이 모든 리듬이 자신에게 들려오는 것을 경험한다. 따라서 수신자의 부재로 생긴 공백은 마치 유령과 같은 비실재적 대상이 등장할 호명의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이러한 미적 시도로는 이데올로기를 극복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은 시인은 이에 대항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을 고안하게 된다. 4장에서는 타자들로 이뤄진 역사지평의 영토를 고안하는 김춘수의 시도를 분석한다. 2부를 마치고 공백기 동안 쓰인 예수 시편은 내면에 갇힌 틀을 깨고 타자를 발견하기 위한 시선의 전환을 의미한다. 작품 속 예수는 김춘수의 의식 속에 언제나 어떤 주제를 강요하는 시선의 압박으로 다가온다. 이러한 예수의 초자아적 응시는 그에게 타자를 향해 눈을 돌릴 것을 요구하는 역할을 한다. 김춘수가 가진 예수의 응시는 천사와 대비되어 설명된다. 천사는 환상 이미지를 출현시키는 스크린으로써 시인에게 시선의 자유를 부과하는 반면, 예수는 역사공간을 보게끔 하는 스크린으로써 그에게 명령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점은 예수 시편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타자의 발화를 상상하여 구성하기, 타자의 고통과 자신의 고통을 중첩시키는 등의 다양한 문학적 형식으로 나타난다. 공백기 이후 3부를 다시 연재하면서 변화한 특징은 수많은 역사적 인물의 등장이다. 이는 타자를 향한 시선의 이동에 의한 것이다. 이들 인물은 역사로부터 핍박받은 자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갖는다. 시인 자신과 마찬가지로 인물 역시 역사와 이데올로기에 의한 희생자의 위치에 놓인다. 그러나 인물과 시인 사이에는 시간의 전도, 삶과 죽음의 교차에 의해 양자의 동일시를 이루지 않는다. 인물은 어떤 추방자의 형상으로 나타난다. 그들은 역사에 기입되지 못하는 ‘몫 없는 자’의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역사지평에서 이뤄지는 소외된 인물의 행위는 역사의 상흔을 드러내면서 그들의 고유한 주체화를 이룬다. 이러한 ‘몫’이 없는 그들의 특성으로 인해 하나의 공동체가 형성된다. 그것은 역사에 대항할 수 없는 무력한 공동체로 무위의 성격을 가진다. 인물은 역사를 전복하기 위한 어떤 혁명주체로 상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그저 눈물을 흘릴 뿐이다. 그러나 이러한 눈물의 무위적 특성으로 인해 역사의 상처는 극대화된다. 또한 3부에서 임의 설정된 괄호라는 공간은 이들 인물과 시인의 기억 및 체험을 모두 삼키면서 어떤 무화를 이루는 과정을 보여준다. 나아가 괄호는 『처용단장』의 주요 설정인 신화마저 사라지게 한다. 시집의 가장 중요한 인물인 처용이 어디에도 등장하지 않는 신화의 부재로 인해 다양한 인물이 무위로 소통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다. 4부에서는 이전에 시도했던 형식들이 반복된다. 이러한 반복은 한계를 자각하여 힘을 잃은 것이 아니라, 자신의 실패를 등록하기 위한 끊임없는 고투 과정이다. 이것은 이데올로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설정된 역사지평이 결국 또 다른 이데올로기일 수밖에 없다는 자각에 따른 것이다. 이어서 자신이 설정한 모든 문학적 지평을 모두 폐기하게 된다. 먼저 꿈이라는 배경으로 현실과 그 사이에서 갈피를 잡지 못하는 화자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가상적인 성격을 가진 역사지평의 한계를 드러냄과 동시에 이데올로기가 가진 가상을 재생산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김춘수는 역사지평이라는 문학적 공간을 폐기함과 동시에 주체마저 소진시킨다. 이 또한 주체를 재생산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소진된 주체는 타자화된 주체로 변모한다. 이러한 가상과 현실 사이의 붕괴 이후 시인이 마주한 것은 일상이다. 한 개인에서 타자로 그리고 세계로 확장되는 김춘수의 시세계는 후기에 이르러 일상지평으로 접근할 수 있다. “여기서”라는 화두를 통한 일상의 발견을 통해 실제의 시간이 흐르기 시작한다. 일상을 구성하는 요소는 언어, 타인, 사물로 분류할 수 있다. 후기의 시집마다 흐르는 일상지평의 구성 양상은 환상 및 가상을 경유하지 않고 일상의 직접적 실체와 마주하는 것으로 변화한다. 먼저 일상에서 이뤄지는 언어의 사용과 잡담의 양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일상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특정 계기를 포착함으로써 일상에는 균열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무심코 지나치는 일상은 새로운 의미로 다가온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속 인물로 그려지는 일상의 모습은 타인으로 해석된다. 비록 소설 속 인물이지만 시인의 세계관에 따라 인물은 현재의 일상에 처한 인간의 다양한 비극성을 드러낸다. 사물 또한 일상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일상을 둘러보면서 발견된 사물은 시인의 기억이나 감각을 통해 사물이 가져다주는 인간 존재의 변모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고 있는가.”는 김춘수가 일관되게 관통한 질문인 인간은 무엇인가와 연결된다. 아내의 죽음 이후 시인은 일상에서 수많은 부재의 자리를 발견한다. 아내가 있던 자리에 생긴 부재를 천사의 눈을 빌려 응시함으로써 일상은 슬픔이라는 정서로 물든다. 그러나 이때 정서는 흔한 서정주의의 의미가 아니라, 시간의 뒤엉킴, 시각장의 교란 등의 변증법적 과정으로 이뤄지는 정서의 지평을 형성한다. 부재를 발견하는 ‘눈짓’을 통해 김춘수는 자신의 일상 속 모든 존재를 비극적으로 바라보게 된다. 이러한 비극적 일상의 지평은 사방세계로써, 인간이 가진 고유한 삶과 죽음 사이의 의미를 되찾고, 인간이 처한 터전을 통해 자신을 사유하는 인간 존재 자체의 비극성을 그리는 것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긴장감은 모두 “비가”라는 주제를 관통하면서 심화된다. 따라서 “이러고 있는가.”는 김춘수 자신에게 던지는 질문에서 비극을 인식케 하는 모든 존재의 질문으로 확장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horizons shown in Kim Chun-su's poetry. Kim Chun-soo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Korean poetry in that he constantly updated his poetic world and attempted intense language experiments during his more than 50 years of activity. The horizon that has changed depending on the period of Kim Chun-su's activity requires a process of examining the various aspects of space that appear in his works by dissolving the poet's inner self and perspective on the world. It is the poet's effort to look at an uncertain world. Therefore, an approach where experience of reality and literary imagination interact is required. Horizon goes beyond simply meaning space and is formed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from which we perceive the world. The reason why it is necessary to approach Kim Chun-su's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orizon comes from his topic, “Why am I doing this here?” If we break this topic down into sentences, we can see that it is closely connected to the formation of Kim Chun-su's poetic world. “Am i”, centered around Chapter 2, examines the early stages of Kim Chun-su's process of singing about his experiences in order to escape from conceptual and metaphysical thinking form. In order to remove the abstractness of his work, the poet writes many poems related to memory. This is not simply a memory derived from experience. Memories are classified into autobiographical memories, forgetting, and trauma of function in literary form. First, autobiographical memory is memory based on actual experiences. While recalling past experiences, the conversation collides with the present, creating a break with actual memories and forming a time that extends into the future. Next, forgetting is something that is not remembered but is a part of memory. Forgetting creates a new narrative by reconstructing a work with imagination through involuntary memories that have not been experienced. And memories related to trauma are presented through various objects and senses. This had a great influence on Kim Chun-su's later poetic world. As the memory horizon is created, Kim Chun-su introduces fantasy to overcome his trauma. It involves experimentation with various images. The images that appear in the beginning lead to experiments with ‘descriptive images’ that exclude emotions and thoughts as much as possible. Kim Chun-su continues his attempts to escape the scars of trauma through image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context of reality. However, behind the image, there is an unexpected sign of the poet's loss. The sudden sign is the part that marks the trauma of trauma that the poet was not conscious of. By tracing these parts of trauma, we can guess how much influence the poet's consciousness of history and ideology has. Chapter 3 analyzes the middle period in which ‘meaningless poetry’ was developed as a tentative response triggered by the question “Why?”. “Why” is connected to why history and why ideology, and leads to the process of confronting this in earnest. The part that this paper will focus on is 『Cheo-yong fragment literature』, a representative work of the mid-period. Based on this collection of poetry, which consists of a total of four parts, Parts 1 and 2 look as aesthetics, Part 3 looks as ethics at the poetry written during the gap period, Part 3 looks as politics, and Part 4 looks as issues of subjectivity. In Part 1, Kim Chun-su establishes the previously attempted ‘descriptive image’ as the main technique of ‘meaningless poetry’. The intention behind this is to reveal the violence of a certain history and ideology. Therefore, ‘meaningless poetry’ does no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imple escape. In the images in Part 1, pure time, different from linear time, flows, and this leads to an attempt to rewrite history by inverting this time in various ways. And the numerous fragmentation of images is associated with montage. Montage contains strong pathos not only of time, but also of separation and cutting. Therefore, the images in Part 1 outline the historical horizon through special temporality and montage. Part 2 examines the poet's rhythm. Kim Chun-su's rhythm has a unique form that breaks away from regular poetry. And behind it all, the poet's psychology is deeply felt. This makes the rhythm of Part 2 sound like a cry about the helplessness of not being able to escape history and ideology. In Part 2, the endlessly repeated ending “-dao” and the variations of the verb form a form of atonal music. This form of rhythm forms a ritornello and is territorialized to reveal historical space. The effect of the ritornello goes beyond the simple musicality of the rhythm and draws a psychological trajectory, forming a horizon that opposes history and ideology, as shown in the image in Part 1. Also, the recipient of “-dao.” has the characteristic of not being revealed. The absence of the recipient is a void that prevents contact with the object. Due to the impossibility of conveying the message, the poet experiences all these rhythms being heard to himself. Therefore, the space created by the absence of the recipient creates a space for an unreal object, such as a ghost, to appear, rather than a real object. Meanwhile, the poet, realizing that ideology cannot be overcome through these aesthetic attempts, devises another method to combat it. Chapter 4 analyzes Kim Chun-su's attempt to devise a territory of the historical horizon made up of others. The Jesus Psalms, written during the gap after Part 2, signify a change of perspective to break the frame trapped within and discover others. Jesus in works always appears in Kim Chun-su's consciousness as a pressure of gaze that forces a certain theme. This superegoic gaze of Jesus serves to require him to turn his eyes toward others. Kim Chun-su's gaze on Jesus is explained in contrast to that of an angel. While the angel imposes freedom of gaze on the poet as a screen on which fantasy images appear, Jesus functions as a screen that allows him to see historical space and as a command to him. This appears in various literary forms, such as imagining and composing the utterances of others, which are characteristic of Jesus' psalms, and overlapping the pain of others with one's own. A feature that has changed in the re-serialization of Part 3 after the hiatus is the appearance of numerous historical figures. This is due to the movement of gaze towards the other. These characters have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being persecuted throughout history. Like the poet himself, the characters are also placed in the position of victims of history and ideology. However, there is no identification between the character and the poet due to the inversion of time and the intersection of life and death. The character appears as an outcast. The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art without a share’ who cannot be recorded in history. Therefore, the actions of marginalized characters in the historical horizon reveal the scars of history and form their own unique subjectivization. A community is formed due to their characteristic of not having a ‘share’. It is a powerless community that cannot stand against history and has the character of inaction. The character is not assumed to be a revolutionary agent seeking to overthrow history. They just shed tears. However, the wounds of history are maximized due to the inactive nature of these tears. Additionally, the arbitrarily set space of parentheses in Part 3 shows the process of forming a certain emptiness by swallowing up all the memories and experiences of these characters and the poet. Furthermore, the parentheses even make disappear the myth, the main setting of 『Cheo-yong fragment literature』. The absence of myth, in which Cheo-yong, the most important character in the poetry collection, does not appear anywhere, provides an opportunity for various characters to communicate in vain. In Part 4, previously attempted formats are repeated. This repetition is not a loss of power due to awareness of limitations, but a constant struggle to register one's failure. This is due to the realization that the historical horizon established to overcome ideology must ultimately be another ideology. Subsequently, he discards all literary horizons he had set. First, against the background of a dream, it shows the speaker who is unable to decide between reality and reality. This reveals the limitations of the historical horizon, which has a virtual space, and at the same time leads to reproducing the virtuality of ideology. Kim Chun-su abolishes the literary space of historical horizon and at the same time exhausts the subject. This is also a way to reproduce the subject. In this way, the exhausted subject is transformed into an otherized subject. After this collapse between virtuality and reality, what the poet faces is everyday life. Kim Chun-su's poetic world, which expands from an individual to others and to the world, can be approached as an daily horizon in his later years. Through the discovery of daily life through the topic “here,” real time begins to pass. The elements that make up daily life can be classified into language, other people, and objects. The compositional aspect of the daily horizon that flows through each collection of later poems changes to facing the direct reality of daily life rather than going through fantasy and virtuality. First, we analyze the use of language and small talk in daily life. By capturing specific moments in the language used in daily life, a crack occurs in daily life. As a result, daily life that we pass by inadvertently takes on new meaning. The daily life portrayed by the characters in Dostoevsky's novels are interpreted as other people. Although they are characters in a novel, according to the poet's world view, the characters reveal various tragedies of humans in their current daily life. Objects are also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that make up our daily life. Objects discovered while looking around daily life bring about the transformation of human existence brought about by the objects through the poet's memories or senses. “Is it like this?” is connected to the question Kim Chun-su consistently asks, “what is a human being?”. After his wife's death, the poet discovers numerous absences in his daily life. By looking at the absence of his wife through the eyes of an angel, his daily life is colored with the emotion of sadness. However, at this time, emotion is not in the sense of common lyricism, but forms an emotional horizon made up of dialectical processes such as the entanglement of time and disturbance of the visual field. Through the ‘glance’ that discovers absence, Kim Chun-su tragically looks at all the beings in his daily life. This tragic horizon of daily life is a four-way world, and it leads to recovering the meaning between life and death that is unique to humans, and depicting the tragedy of human existence itself, which thinks about itself through the ground in which humans life. All of these tensions deepen as they run through the theme of “Elegy.” Therefore, “Is it like this?” can be expanded from a question to Kim Chun-su himself to a question for all beings who recognize the tragedy.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710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89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