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 0

한국 근대 피리 음악 연구

Title
한국 근대 피리 음악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usic of Piri in Korea's Modern Period
Author
박지영
Alternative Author(s)
Park Ji Young
Advisor(s)
임혜정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In the modern period, our people went through an unstable transition period due to the threats of Western powers and Japanese imperialism, the fall of feudal society, and the collapse of Neo~Confucian values. Not unrelated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as such, Korean music also went through a transformation of a terrain different from that of pre~modern music society due to the influx of Western and Japanese music, the emergence of mass media, and the influence of modern stage art. In this paper, an attempt was made to discuss the changes in Korean music that appeared during this period,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piri music.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ime and elements that distinguish the pre~modernity and modernity of piri music from a perspective of music history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modern history of the piri, which has established itself as a representative Korean wind instrument today as a performance instrument of various genres such as court music, folk music, and creative music. To that e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esence aspects of piri music separately for the period until the Korean Empire from the 19th century, which was the time during which the turning point to modern times came, and fo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was the period of full~scale modernization, and thereafter underst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piri music throughout this period. The time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was a time when piri music divided into court music and folk music could be seen, and the relevant records could be found in ritual music and banquet music in the royal court, and it was found that piri music was performed both in the music of art appreciation rooms and the popular music. In ritual music, the piri did not have a large musical weight as it was used to provide assortment, but it played a major role in leading the music in banquet music. In the private sector, art appreciation room music included piri playing and this means an expansion of the area of piri players' activities. In addition, through the foregoing, it is assumed that exchanges between court music and folk music took place through piri music. Also, by the time of the Korean Empire, pre~modernity and modernity coexisted in piri music. While piri was played as court music that maintained its original function, piri music was formed in a new environment targeting unspecified music enjoyers with the advent of modern theaters and gramophone records. However, the piri music played at this time was existing banquet music, or folk music, and based on this, it can be said that although modernization was attempted in the environmental aspect of piri music during this period, the piri music per se still maintained its pre~modernit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more concrete presence aspects of piri musi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analysis of historical records with substances such as music and scores. This was a time when the boundary between court music and folk music began to collapse. That is, as the existing piri music, which had existed as incidental music, was played as pure music, it was transformed into music for gramophone records, radio broadcasts, and stages, performed in the same performance space and by the same performer.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spects of transformation by the use of piri music until the Korean Empire period. While ritual music still existed as ritual music, banquet music advanced to the stage to become performance repertoires. In addition, beginning with the recording of gramophone records and the beginning of radio broadcasting at Gyeongseong Broadcasting Station, the places of piri performance activities increased dramatically. At this time, in the midst of attempts to organize various instruments as accompaniment instruments for vocal music such as newly created new folk songs and popular songs, piri came to be established as an instrument that played a major role. In addition, piri was established as an essential instrument in the instrumentation for dance accompaniment, and it seems that at this time, the tradition of the three~string six horns organization, which was also an instrumentation for dance accompaniment in traditional society, had an influence. Through the analysis as such,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of the aspects of modern transformation in Korean modern piri music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an be cited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piri in instrumental music ensembles was established. Whereas piri tended to be organized as one of the wind instruments in traditional society, a tendency for piri to be recognized as an essential wind instrument in the case of certain genres or specific instrumental pieces appeared in modern period. Second, in the process of taking a leap from incidental music to pure music, piri music received more attention as the preferences of music consumers and enjoyers were considered. As piri was recognized as a very suitable instrument for imitating the human voice, not only it was organized into accompaniments to vocal music, which was popular at the time, but also it was popular as an instrument that plays the melody of a song as it is. Third, as a new environment called mass media was created for music performance and enjoyment, an appropriate response was mad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djust the tone and volume by selecting hyangpiri or sepiri to suit radio broadcasts or gramophone records was utilized. Fourth, flute solo pieces that reveal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iri began to be formed, and the performance music genre of piri at this time had parts that were different from other instruments. While gayageum, geomungo, and daegeum proceed with the formation or development of Sanjo as solo music during this period, piri attempted folk song melodies or dance accompaniment melodies as instrumental piri music. This development of instrumental piri music in the modern period was related not only to the structure of the piri instrument but also to the aspects of music enjoyment at the time. As such,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piri music in the Korean modern period, pre~modern musical elements that could still be selected and played among existing traditions despite the modernization of the musical environment, and the search for independent development plans that distinguish them from other instruments were very closely related. Korean modern piri music was not left behind in the process from the Joseon Dynasty, but preserved and maintained its form well, and was at the center of a new leap forward in traditional music while responding flexibly to the changing times. Keywords: piri, piri music, Japanese colonial period, modern period, gramophone record, court music, folk music |근대기에 우리 민족은 서구 열강과 일본 제국주의의 위협, 봉건사회의 몰락, 성리학적 가치관의 붕괴 등으로 불안정한 전환기를 겪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과 무관하지 않게 국악 또한 서구 및 일본 음악의 유입, 대중매체의 등장, 근대식 무대예술의 영향으로 전근대 음악사회와는 다른 지형의 변모를 겪게 된다. 본 고에서는 이 시기에 나타난 우리 음악의 변모 중 특히 피리 음악에 주목해서 논의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목표는 피리의 근대사 서술을 통해 오늘날 대표적인 한국의 관악기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피리 음악의 전근대성과 근대성을 구분 짓는 시점 및 요소 등에 관해 음악사적인 관점에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근대로의 전환기를 맞이하는 시점인 19세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둘째, 본격적인 근대화의 시기인 일제강점기로 구분하여 피리 음악의 존재 양상을 살펴본 후 이 시기를 관통하는 피리 음악의 역사적 전개 과정과 변모를 파악하고자 했다. 19세기에서 대한제국기까지는 궁중음악과 민간음악으로 구분되는 피리 음악을 볼 수 있는 시기로 궁중에서는 제례악, 연례악에서 기록을 찾을 수 있었고, 민간음악에서는 풍류방의 음악과 서민음악에 두루 연행된 사실을 확인하였다. 피리는 제례악에서 구색을 갖추는 용도로 음악적 비중이 크지 않았으나 연례악에서는 음악을 이끌어가는 주요한 역할이었다. 민간에서는 풍류방 음악에 피리 연주가 포함되는데, 이는 피리연주자의 활동 영역 확대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피리 음악을 매개로 한 궁중음악과 민간음악의 교류가 이루어졌으리라 짐작할 수 있다. 대한제국기의 피리 음악은 전근대와 근대적 음악 특성이 공존하고 있었다. 전통적 기능을 그대로 유지한 궁중음악으로서 피리 연주가 이루어지는 것과 동시에 현대식 극장과 유성기음반의 등장으로 불특정 음악향유자를 대상으로 한 새로운 환경에서의 피리 음악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때 연주된 피리 음악은 기존의 연례악, 또는 민속 음악이었으며 이에 근거해서 이 시기 피리 음악의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근대화가 시도되고 있었지만 피리 음악 자체에서는 여전히 전근대성을 유지했던 상태라고도 할 수 있겠다. 일제강점기의 피리 음악은 이전 시기와 달리 음악과 악보 등 실체가 있는 사료 분석으로 더욱 구체적인 피리 음악의 존재 양상에 관한 규명이 가능했다. 이 시기는 궁중음악과 민간음악 사이의 경계가 무너지기 시작했다. 즉 부대음악으로 존재하던 기존의 피리 음악이 순수음악으로 연주되면서 유성기음반, 라디오방송, 무대를 위한 음악으로 변모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까지의 피리 음악은 용도별로 변모 양상에 차이가 나타나는데, 제례악은 여전히 제례악으로 존재했던 반면 연례악은 공연 레퍼토리화의 단계로 나아갔다. 또한, 유성기음반의 녹음과 경성방송국 라디오방송의 시작을 기점으로 피리 연주 활동의 장이 비약적으로 증가했다. 이때 새롭게 창작되는 신민요, 유행가요 등 성악곡의 반주 악기로 다양한 악기편성이 시도되는 가운데 특히, 세피리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악기로 자리 잡게 되었다. 여기에 덧붙여 무용 반주를 위한 기악 편성에도 피리가 필수적인 악기로 자리매김하는데, 이때에는 전통사회에서 역시 무용 반주를 위한 기악 편성이었던 삼현육각 편성의 전통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19세기에서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한국 근대기 피리 음악에 나타나는 근대적 변모 양상의 특징과 영향은 첫째, 기악 합주에서 피리의 역할이 확립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전통사회에서 피리는 관악기 중의 하나로서 편성되었다고 한다면 근대기에 피리는 특정 장르 또는 특정 기악곡의 필수적인 관악기로서 인식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피리의 악기 구조적 특징이 드러나는 피리 독주곡이 형성되기 시작했는데 이때의 연주 음악 장르에 있어서 다른 악기와는 구별되는 부분이 있다는 점이다. 가야금·거문고·대금 등이 이 시기 독주 음악으로서 산조의 형성 또는 발전을 진행해 나갔던 반면에 피리는 민요 선율 또는 무용 반주 선율을 피리 기악곡으로서 시도했다. 셋째, 음악 연주 및 향유에 대중매체라는 새로운 환경이 만들어지면서 이를 위한 적절한 대응을 펼쳤다는 점이다. 라디오방송이나 유성기음반 등의 환경에 적합하게 향피리, 세피리 등을 선택해서 음색과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활용되었던 것이다. 넷째, 무대예술의 시작과 더불어 부대음악에서 순수음악으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음악 소비자이자 향유자들의 선호가 고려되면서 피리 음악이 주목받게 되었다는 점이다. 피리는 사람의 목소리를 모방하기 매우 적절한 악기로 인식되면서 당시 유행했던 성악곡의 반주와 무용 반주에 편성되는 물론이고 노래 선율을 그대로 연주하는 독주 악기로서 인기가 있었다. 이러한 근대기 피리 기악곡의 전개는 피리의 악기 구조는 물론이고 당시 음악 소비자들의 향유 양상과도 관련이 있었다. 한국 근대기 피리 음악의 전개와 변모는 음악 환경의 근대화에도 불구하고 기존 전통 중 여전히 선택되어 연주될 수 있었던 전근대적인 음악적 요소, 그리고 다른 악기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발전 방안의 모색 등이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한국 근대 피리 음악은 조선 시대로부터 이어지는 과정에서 도태되지 않고 그 형태를 잘 보존하고 유지한 음악이자 시대적 전환기에 유연하게 대처하면서 전통음악의 새로운 도약의 중심에 있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3052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89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