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 0

Storytelling Between Self and Community in Toni Morrison’s Novels

Title
Storytelling Between Self and Community in Toni Morrison’s Novels
Other Titles
토니 모리슨 소설 연구: 스토리텔링이 자아형성과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Author
변지완
Alternative Author(s)
변지완
Advisor(s)
유재은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the way storytelling affects the formation of selfhood in community in The Bluest Eye, Jazz, and Beloved. In Morrison’s works, community plays a role in protecting members and reaffirming African American values. This is possible when the bond of the members is secure. However, the three novels highlight the fragmented self that can harm oneself and others. Characters lack a coherent sense of self due to internalization of racialized gaze. This precludes chances of communal support. The Bluest Eye accentuates the destructive impact of the absence of support from others through Pecola. In an attempt to establish a coherent self, characters such as Cholly, Joe, and Paul D have difficulty settling at one place and they wander endlessly. Morrison displays storytelling as a linkage between the self and community. The possibility of finding a self is suggested through the process of storytelling. Through storytelling, one is capable of narrating one’s story and face wounds of the past. By gaining a stable sense of self, characters show the possibility of reconnecting to the community. Storytelling is therefore a vital way to complement the fragmented self and broaden the potential for personal and cultural regeneration.|본 논문은 토니 모리슨(Toni Morrison)의 『가장 푸른 눈』(The Bluest Eye), 『재즈』(Jazz), 『빌러비드』(Beloved)에서 스토리텔링이 자아 형성과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탐구한다. 모리슨의 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공동체는 구성원들을 보호하고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가치를 재확인하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세 소설에서 나타나는 몇몇 인물들은 내면화된 인종적 시선(racialized gaze)으로 인하여 분열된 자아의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인물들은 공동체 내에서 어울리지 못하고 심한 경우 폭력적인 성격을 형성하게 된다. 촐리(Cholly), 조(Joe), 폴 디(Paul D)는 온전한 자아를 형성하지 못하여 끊임없이 배회하고 한곳에 정착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끊임없는 방황은 공동체 내에서의 연대를 불가능하게 하고 공동체의 다른 일원으로부터 도움을 받는 것을 어렵게 한다. 모리슨은 『가장 푸른 눈』의 피콜라(Pecola)를 통하여 분열된 자아에 정서적인 도움을 주는 이가 없을 때 얼마나 파괴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는지 보여준다. 이에 대해 모리슨은 분열된 정체성에 대하여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이라는 대안을 제시한다. 스토리텔링을 통해서 인물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하면서 서구의 서술 기법(white narrative)에 대항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텔링을 하면서 과거의 아픔을 완전히 치유할 수는 없어도 과거를 직면하는 것을 통해 스스로 자아를 정립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756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68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NGLISH LANGUAGE & LITERATURE(영어영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