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 0

연극성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연구

Title
연극성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teractive Storytelling using Theatricality
Author
마은우
Alternative Author(s)
Ma EunWoo
Advisor(s)
권용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bstract The concept of 'Theatricality' is imbued with value-laden characteristics that cannot be succinctly defined in a single phrase. This study focuses on the theatrical traits of symbolism, presence, and performativity to explore the inherent uniqueness contained within the medium of theater. Since the 20th century, the notion of theatricality began to be discussed in earnest as part of a movement to move away from literature-centric and realistic representations. Among the wide and varied characteristics of theater, such as entertainment, ritualistic, realism, immediacy, and materiali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actical direction of interactive storytelling in contemporary theater, emphasizing signification, presence, and performativity. By meticulously examining the distinctive and inherent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ater as a medium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petitive edge of theater. It aims to contemplate the reasons behind theater's ability to maintain its vitality and evolve within the diversified and varied trends of the contemporary art world by focusing on the essence of 'theatricality.' Since the advent of postmodernism, theater has shown an active movement to break away from simply representing texts written by authors on stage and presenting one-way artistic messages for the audience to read and interpret. This shift is towards experiencing, sensing, and immersing in reality, rather than just learning through representation. To understand thes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theater, it's necessary to examine the basic background that initiated postmodernism. The linguistics and semiotics of Saussure, Wittgenstein, Umberto Eco, and Peirce in this paper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empowering the audience in the theatrical medium and establishing the basis for 'interactive storytelling.' Language and semiotics present a theoretical basis for the practice of sign acts and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performative language. This signifies not just providing an analytical and objective perspective and academic background for consuming and understanding theater but establishing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using active language acts as a source of theatricality, moving beyond the 'text' written by the author. Furthermore, theater, often referred to as a comprehensive art form, is vigorously attempting integration and combination with other genres and media in contemporary art experiments more than any other era. In the midst of numerous genres and descriptors being intermixed, such as post-drama, devising theater, immersive, new media art, and digital performance, research must first be conducted to understand how the deconstruction of boundaries between performance and media, and between the audience and actors, began from a historical demand and what form it has taken today. Based on this, the study aims to re-recognize that these artistic or socio-cultural trends are not complete in the present, and to propose future directions and possibilities. This study, addressing the demands and direction exploration of contemporary theater, is expected to be highly significant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for the future of theater studies. ◈ Keywords: Interactive Storytelling, Sign, Performativity, Presence, Post-drama|국 문 요 지 ‘연극성(Theatricality)’이란 한마디로 정의내릴 수 없는 가치 함축적인 특성을 지닌 개념이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기호성, 현존성, 수행성이라는 연극적 특성에 착목하여, 연극매체가 함유하고 있는 고유성을 집중 탐색하고자 했다. 20세기 이후, 문학 중심적이고, 사실적 재현을 탈피하고자 하는 움직임에서 연극성이란 개념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오락성, 제의성, 실재성, 순간성, 물질성(corporeality) 등 광범위하고, 다양한 연극의 특성 가운데, 기호성, 현존성, 수행성을 중점으로 동시대 연극에서의 상호작용적 스토리텔링의 실천적 방향성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이에 연극이 매체로써 갖는 타 매체와의 차별적이고 고유한 본질적 특성을 다각적 차원의 접근으로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연극의 경쟁력을 연구한다. 이를 통해 다변화되고 다양해진 동시대 예술계의 흐름 속에서 연극이 현재까지 생명력을 지켜내고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를 ‘연극성’이라는 연극 고유의 본질에 착목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도래 이후, 연극은 작가에 의해 쓰여진 텍스트를 무대 위에 재현(Representation)해 창작자가 소비자에게 일방적인 예술적 메시지를 제시하고 그 의미를 읽고 해석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경험하고 체험하며, 감각하는 것, 즉, 재현의 학습이 아닌 현실적 체험이자, 삶 속으로의 진입으로 전환을 시도한 것이다. 이러한 동시대 연극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단초를 제시하는 기초적 배경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소쉬르, 비트겐슈타인, 움베르토 에코, 퍼스 등의 언어 및 기호학은 연극매체에서 관객에게 능동성을 부여하고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에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이론이다. 즉, 언어와 기호학은 기호와 대상, 그리고 기호의 의미가 실천되는 언어행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수행적 언어의 가용범위의 확장을 시도하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이는 단순히 연극을 소비하고 이해하는데 있어서 분석적이고 객관적인 관점과 학술적인 배경을 제공하기 위함이 아님을 밝힌다. 즉, 작가에 의해 쓰여진 ‘텍스트’에서 벗어나, 능동적인 주체로써 실천적 언어행위가 연극성의 원천으로 활용되는 것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종합예술로 불리는 연극은 동시대 예술 실험에서 그 어느 시대보다 타 장르 및 매체와의 융·복합을 활발하게 시도하고 있다. 포스트드라마, 디바이징 시어터, 이머시브, 뉴 미디어 아트, 디지털 퍼포먼스 등 수많은 장르와 수식어들이 혼용되고 있는 가운데 동시대 연극의 본질을 꿰뚫어 보기 위해서는 공연과 미디어의 경계 해체, 관객 또는 객석과 배우와의 경계 해체 등 전복과 재구성이 어떤 시대적 요구로부터 시작되어 어떤 양상으로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는지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토대로 이러한 예술적 혹은 사회·문화적 흐름이 현재에 있어 완료형이 아니란 것을 재인식하고, 향후 방향성과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동시대 연극에서 요구와 그에 따른 방향성 탐구를 다루는 본 연구가 향후 연극계의 학술적·실천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 주제어 :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기호, 수행성, 현존, 포스트드라마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905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67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