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0

아동과 청소년 성학대 및 성폭력 예방개입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Title
아동과 청소년 성학대 및 성폭력 예방개입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Other Titles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Sexual Abuse and Sexual Violence Prevent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uthor
왕쿤
Alternative Author(s)
WANG KUN
Advisor(s)
김현수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아동과 청소년 대상으로 진행한 성학대 및 성폭력 예방개입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종속변인과 조절변인에 따라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연구논문 동향을 살펴보고자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PICOS(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Study design) 기준에 따라서 15편을 최종 선정하고, Comprehensive Meta Analysis (CMA) Version 4를 사용해서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과 청소년 대상으로 진행한 성학대 및 성폭력 예방개입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79로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났다. 둘째,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결과, 일반적 성지식 관련 변인(ES=1.01)은 큰 효과크기 보였으나, 성태도 관련 변인(ES=.77), 위험상황인식 관련변인(ES=.75), 성학대 및 성폭력 기반 성지식 관련 변인(ES=.69), 대처기술 관련 변인(ES=.65) 순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났다. 셋째,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결과, 학교 급에 따른 효과크기는 혼합(ES=1.35), 중학생(ES=1.11), 미취학 아동(ES=.87)순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았으며, 초등학생(ES=.46)의 경우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났다. 참가자 특징에 따른 효과크기를 보면, 일반 아동·청소년(ES=.71)의 경우 중간 효과크기로 장애 아동·청소년(ES=1.37)의 경우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회기 수에 따른 효과크기를 보면, 10회기 이상 20회기 미만(ES=1.59)으로 진행된 프로그램은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9회기 미만(ES=.56)으로 진행한 프로그램은 중간 효과크기를 보았다. 1회기 당 진행시간의 효과크기 분석 결과, 40분 초과(ES=.93), 40분 미만(ES=.76)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그 중에 40분 초과의 경우 큰 효과크기를 보았다. 인원수에 따른 효과크기결과는 50명 미만(ES=1.06)의 경우 큰 효과크기를 보았으며 100이상(ES=.57)의 경우는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났다. 넷째, 종속변인을 학교 급별 비교한 결과, 미취학 아동의 경우 일반적 성지식(ES=1.60)과 위험상황 발생 시 대처기술 관련 변인(ES=1.02) 순으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났고, 위험상황인식 관련 변인(ES=.58)이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경우 성태도 관련 변인(ES=.75)에서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났으나, 다른 변인에 대한 연구가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중학생의 경우는 일반적 성지식 관련 변인(ES=1.42)이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성태도 관련 변인(ES=.74)이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났다. 혼합 집단의 경우는 위험상황인식 관련 변인(ES=1.99), 일반적 성지식 관련 변인(ES=1.57), 성학대 및 성폭력 관련 변인(ES=1.20) 순으로 모두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성태도 관련 변인(ES=.75)은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다섯째, 종속변인을 참가자 특징별 비교한 결과, 일반 아동·청소년의 경우 일반적 성지식 관련 변인(ES=.93)이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성태도(ES=.72), 성학대 및 성폭력 기반 성지식(ES=.61), 위험상황인식(ES=.60)과 위험상황 발생 시 대처기술 관련 변인(ES=.59) 순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반면, 장애 아동·청소년의 경우 위험상황인식(ES=1.99), 일반적 성지식(ES=1.65), 위험상황 발생 시 대처기술(ES=1.28), 성학대 및 성폭력 기반 성지식(ES=1.20)과 성태도 관련 변인(ES=.91) 순으로 모두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성학대 및 성폭력 예방개입 프로그램은 아동·청소년에게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예방개입 프로그램의 종속변인과 조절변인 등의 다양한 변인들 고려하여 추후 아동·청소년 대상으로 진행한 성학대 및 성폭력 예방개입 프로그램의 설계에 유익한 임상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어 의의가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367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65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LD PSYCHOTHERAPY(아동심리치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