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 0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메타분석

Title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메타분석
Other Titles
Meta-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dependence of early adulthood –Focusing on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factors-
Author
오나경
Alternative Author(s)
OH NA KYEONG
Advisor(s)
김현수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메타분석 –개인, 가족, 사회 요인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성인초기 대상의 스마트폰 의존와 관련된 요인들을 메타분석하 기 위해 2010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총 117편을 수집하였고 376개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었다.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을 살펴보기 위해서 수집한 데이터를 개인 요인, 가족 요인, 사 회 요인으로 나눈 뒤 각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으로 재분류하여 각 요인의 전 체 효과크기 및 세부요인들의 효과크기를 확인하였다. 자료의 코딩과 분석은 Excel과 CMA 4.0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과 관련된 개인의 보호요인 전체 효과크 기는 ESr=-0.296으로 나타나 작은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개인 보호 세부요인 들의 효과크기는 자기조절 (ESr=-0.363), 심리적 적응(ESr=-0.320), 긍정적 자 기인식(ESr=-0.299), 긍정적 정서 기능 (ESr=-0.236), 자기결정성 (ESr=-0.23 6)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위험요인 전체 효과크기는 ESr=0.310으로 중 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개인 위험 세부요인들의 효과크기는 스트레스(ESr=.35 6), 불안정 성인애착(ESr=.313), 기질(ESr=.319) 부정적 정서 기능(ESr=.292), 외현화 문제(ESr=.286), 내현화 문제(ESr=.280)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 다. 둘째,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과 관련된 가족의 보호요인 전체 효과크기 는 ESr=-0.200로 작은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가족 보호 세부요인들의 효과크기 는 다음과 같다. 긍정적 부모자녀 의사소통 (ESr=-0.267), 가족유대감 (ESr=- 0.185) 긍정적 양육환경 (ESr=-0.144)은 순서대로 작은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기능은 이질성이 0으로 나타나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에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는다고 나타났다. 가족 위험요인의 전체 효과크기는 ES r=0.225으로 작은 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가족 위험 세부요인들의 효과크기는 부정적 부모자녀 의사소통 (ESr=0.343), 부정적 양육환경 (ESr=0.195) 의 순으 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과 관련된 사회의 보호요인 전체 효과크기 는 ESr=-0.145로 작은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사회의 보호 세부요인들은 긍정적 대학 경험 (ESr=-0.191), 사회적 지지 (ESr=-0.144), 대인관계 긍정적 경험 E Sr=-0.135)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사회의 위험요인 전체 효과크기는 ESr=0.273으로 작은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사회 위험 요인의 세부요인들의 효 과크기는 대인관계 부정적 경험 (ESr=0.277), 부정적 대학 경험 (ESr=0.264)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와 관련한 요인별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개 인 위험 요인(ESr=.310)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그 다음 사회 위험 요인 (ESr=.273), 개인 보호 요인 (ESr=-.296), 가족 위험 요인 (ESr=.225), 가족 보호 요인 (ESr=-.200), 사회 보호 요인 (ESr=-.145)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에 대해 진행 되어온 기존의 개별연구물을 종합하여 개인 대상으로 연구가 한정되었던 것을 개인이 속한 가족에서 더 나아가 사회로 구분짓고 세부영향도를 구체화시킨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다양한 요인들 중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와 관련하여 보다 의미 있는 요인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으므로 의존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왔다. 또한 청소년 대상으로 진행된 기존 스마트폰 의존 메 타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대상의 연령에 따라 스마트폰 의존에 있어 다른 접근 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의 연구방향을 안내하며 성인 초기를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의존에 따른 심리적 지원이나 예방프로그램, 의 존에 빠지기 쉬운 대상군의 선제적인 선별 등 적절한 개입의 필요한 심리적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620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65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LD PSYCHOTHERAPY(아동심리치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