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 0

스페이스 브랜딩의 전략적 요소를 적용한 특화도서관 연구

Title
스페이스 브랜딩의 전략적 요소를 적용한 특화도서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pecialized Libraries Applying Strategic Elements of Space Branding
Author
김수아
Alternative Author(s)
Kim Su A
Advisor(s)
황연숙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도서관 환경이 변화됨에 따라 보다 전문적이며 차별화된 특화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이용자들과 정부의 관심이 고조되며 특화주제에 따른 차별화된 커뮤니티형 도서관인 특화도서관 육성지원사업을 추진하였다. 하지만 아직까지 특화도서관의 운영은 소극적으로 진행되며 명확한 발전방안 제시가 부족한 실정으로 특화도서관의 정체성을 강화하며 공간의 활성화를 추진하는 브랜딩 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도서관의 브랜드을 강화하기 위한 브랜딩 전략 중 하나로 스페이스 브랜딩이 대두되었으며 스페이스 브랜딩을 통한 특화도서관 연구는 도서관의 정체성을 구축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페이스 브랜딩 전략적 요소를 도출하여 특화도서관의 사례분석을 통해 특화도서관의 개선방안과 공간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발전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공간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의 특화주제에 따른 유형을 예술 디자인, 자연 환경, 문학 역사, 사회 생활로 분류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토대로 스페이스 브랜딩의 전략적 요소를 ‘시각적 요소’, ‘체험적 요소’, ‘관계적 요소’. ‘상징적 요소’, ‘정보적 요소’ 5가지로 추출하였다. 이후 체크리스트의 내용을 바탕으로 서울·경기권 내 특화도서관 사례대상지 12곳의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스페이스 브랜딩 전략적 요소를 분석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의 특화유형을 예술 디자인, 자연 환경, 문학 역사, 사회 생활로 분류하였다. 예술 디자인 유형의 도서관은 음악, 미술, 디자인, 웹툰, 작곡, 영상 등의 예술을 주제로 자료 및 예술 프로그램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을 의미한다. 자연 환경 유형의 도서관은 생태, 꽃, 환경, 생명과학, 농업, 자연 친화 등의 자연과 환경을 주제로 한 서적 및 정보와 생태 텃밭과 같은 외부공간을 활용한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을 의미한다. 문학 역사 유형의 도서관은 시문학, 철학, 역사, 향토자료 등의 문학과 역사를 주제로 지역의 역사와 향토자료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사회 생활 유형의 도서관은 마을자료, 육아, 한방, 교육 등의 사회와 교육, 생활을 주제로 자료 및 생활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을 의미한다. 둘째, 특화도서관은 예술 디자인, 자연 환경, 문학 역사, 사회 생활 각 특화유형에 따라 차이점이 존재하였다. 예술 디자인 유형에서는 예술 관련 정보제공 및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특화 정체성을 표현하는 상징적인 시각요소가 강조되었다. 이에 따라 예술 이미지, 작품, 특색 있는 가구, 강조된 원색 등을 활용하는 시각적 요소 중심의 디자인적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 환경 특화유형에서는 자연 친화와 생태 유형 특성상 다른 유형에 비하여 외부공간과의 연계된 체험공간이 활성화되었다. 이러한 자연 환경 유형의 특징을 토대로 식물 오브제, 생태 텃밭, 에코 서가 등을 활용한 체험적 요소 중점의 전략과 자연을 표현하는 푸른 색상과 우드 마감재를 사용하여 자연 친화적 분위기를 연출하는 시각적 요소 중점의 전략이 필요하다. 문학 역사 유형에서는 문학 자료의 정보제공을 주요 목적으로 하여 이미지 보드, 문학 문구 보드, 역사적 상징물과 같은 상징적 요소를 활용하여 공간의 정체성을 담은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에 대비 색상과 조명을 활용하여 문학 문구를 강조하는 상징적 요소와 시각적, 청각적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하는 정보적 요소 중심의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생활 유형의 특화도서관은 가장 지역적 특성이 많이 반영된 유형으로 지역주민들을 중심으로 교육과 이용자 간의 교류를 통한 문화적 소통공간이 주요공간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령대에 따라 맞춤형 콘텐츠와 지역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다양한 연령대와 지역주민 간의 교류를 촉진하는 관계적 요소 중점의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의 공간구성을 특화정보공간과 특화경험공간으로 분류하였는데 이에 따른 차이점이 나타났다. 특화정보공간의 경우 특화주제와 관련된 서적 및 정보를 제공하는 특화자료실 및 열람실로 구성되어 정보적 요소와 시각적 요소가 잘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이용자 간의 정보교류 공간이 부족하여 관계적 요소가 미흡하게 나타났다. 공간의 관계적 요소를 높이는 방안으로 열람실 및 자료실 내부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거나 이용자에 따른 열람실을 구획하여 이용자 맞춤형 교류 공간을 기획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특화경험공간은 특화주제에 알맞은 소통과 교류가 가능한 체험공간과 특화 유형에 따른 프로그램 공간으로 구성되어 체험적 요소와 관계적 요소가 잘 나타났으나 외·내부에 특화 정체성을 인지할 수 있는 상징적 요소가 미흡하였다. 공간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방안으로 외관의 입구에 특화주제를 연상할 만한 요소를 계획하여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여야 하며, 내부공간에서도 특화유형을 기반으로 한 시각적 형태의 디자인이 적용되는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특화도서관의 스페이스 브랜딩 전략적 요소를 ‘시각적 요소’, ‘체험적 요소’, ‘관계적 요소’. ‘상징적 요소’, ‘정보적 요소’로 추출하였으며 5가지 요소 중에서 ‘체험적 요소’가 가장 잘 나타났다. 체험적 요소 측면에서는 특화주제를 기반으로 다양한 프로그램과 콘텐츠를 운영하였으며 이용자층을 넓히거나 명확하게 구분한 사례가 이용자들의 자발적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지속적으로 매달 새로운 프로그램이 기획되어 운영된 사례는 프로그램 사이의 기간이 일정하지 못한 사례에 비하여 다음 프로그램을 예측가능하게 하며 체험공간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었다. 따라서, 특화도서관에서는 이용자들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공간을 특화주제에 따라 전시 중심의 참여공간, 외부공간과 연계된 체험공간, 교육과 이용자 교류 중심의 소통공간과 같이 세부적인 공간으로 기획하여 핵심공간의 차별성을 나타내야 한다. 다섯째, 특화도서관의 스페이스 브랜딩 전략적 요소 중에서 가장 미흡한 요소는 ‘상징적 요소’로 나타났다. 특화도서관의 상징적 요소 측면에서는 특화주제를 연상할 수 있는 인지적 요소를 통해 공간 연출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대부분의 사례의 내부공간에서 특색있는 디자인과 상징물을 배치하여 특화주제를 강조하였지만, 외부공간의 입구에서는 특화주제를 인지할 수 있는 요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부 사례에서는 공간의 특화요소가 충분히 드러나지 않으며 배치가 불명확한 사례도 존재하였다. 이에 공간의 외관 파사드에서 특화주제를 연상할 수 있는 요소를 공간의 진입로에 배치하거나 상징물을 활용하여 특화도서관의 정체성을 인지할 수 있는 디자인이 계획되어야 한다. 내부공간에서도 각 실의 중심공간에 상징적 조형물과 오브제, 미디어 디스플레이 등 특화주제에 따른 특화요소를 배치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시선을 이끄는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특화도서관의 핵심공간의 벽, 바닥, 천정, 가구 등에 특화주제에 부합하는 독특한 색채와 마감재를 적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스페이스 브랜딩의 전략적 요소를 도출하여 특화도서관의 경쟁력 있는 공간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4가지 특화유형을 분류하여 특화도서관의 공간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세부적인 전략적 요소를 도출하여 연구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사례의 범위를 전국으로 확대하고 특화도서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보다 신뢰성이 높은 데이터를 통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해외사례와의 도서관의 특성화 활용방안을 비교 분석하면 특화유형에 따른 세부적인 도서관 발전 방향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스페이스 브랜딩의 전략적 요소를 적용한 특화도서관 연구를 통해 특화도서관의 정체성을 구축하고 지역사회와의 연결을 강화하여 앞으로의 특화도서관의 발전 방향성을 제시하는 의미 있는 연구결과가 도출되기를 기대한다.|As the library environment has recently changed, there is a demand for libraries that provide more professional and differentiated specialized information and services. Accordingly, interest from users and the government increased, and a project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libraries, differentiated community-type libraries according to specialized topics, was promoted. However, the operation of specialized libraries is still progressing passively and there is a lack of clear development plans, so a branding strategy is needed to strengthen the identity of specialized libraries and promote space revitalization. Space branding has emerged as one of the branding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library's brand, and research on specialized libraries through space branding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the library's identity and improving user experie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in space by deriving strategic elements of space branding and suggesting improvement measures for specialized libraries and development directions that lead to revitalization of space through case analysis of specialized libraries. In this study, the types of specialized libraries were classified into art design, natural environment, literary history, and social life.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strategic elements of space branding were extracted into five categories: "Visual Elements," "Experiential Elements," "Relational Elements," "Symbolic Elements," and "Information Elements." After that,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hecklist,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at 12 specialized library case sit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strategic elements of space bran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the specialized types of specialized libraries were classified into art design, natural environment, literary history, and social life. The art design type library refers to a library that provides services through materials and art programs under the theme of art such as music, art, design, webtoon, composition, and video. The library of the natural environment type refers to a library that provides program services using external spaces such as books and information on nature and the environment, such as ecology, flowers, environment, life science, agriculture, and nature-friendly. The library of the literary history type means a library that provides local history, local materials, and services under the theme of literature and history, such as poetry, philosophy, history, and local materials. Lastly, the library of the social life type means a library that provides materials and life program services under the theme of society, education, and life, such as village materials, childcare, oriental medicine, and education.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specialized libraries depending on the specialized types of art design, natural environment, literary history, and social life. In the art design type, a space was formed around art-related information provision and exhibition spaces, emphasizing symbolic visual elements that express specialized identity.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a design strategy centered on visual elements using art images, works, distinctive furniture, and emphasized primary colors is needed. In the natural environment specialized type, compared to other types due to nature-friendliness and ecological type characteristics, experience spaces linked to external spaces were activa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natural environment types, a strategy that focuses on experiential elements using plant objects, ecological gardens, eco-books, etc., and a strategy that focuses on visual elements that create a nature-friendly atmosphere using blue colors and wood finishes expressing nature are needed. In the literary history type, the main purpose was to provide information on literary data, and information containing the identity of the space was provided by utilizing symbolic elements such as image boards, literary stationary boards, and historical symbols. In contrast, it was found that a strategy focusing on symbolic elements that emphasize literary phrases using contrasting colors and lighting and information elements that provide various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is needed. Specialized libraries in social life types reflect the mos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communication spaces through education and exchanges between users centered on local residents were the main spaces. Accordingly, a strategy focusing on relational factors is needed to promote exchanges between various age groups and local residents by operating customized contents and various programs related to regions according to age groups. Third, in this study,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specialized library was classified into a specialized information space and a specialized experience space, and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ly. In the case of a specialized information space, it was composed of a specialized data room and a reading room that provided books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ecialized topic, so information and visual elements appeared well, but overall, the relational element was insufficient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exchange space between users. As a way to increase the relational elements of space,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ommunity space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inside the reading room and the archives, or to plan a user-customized exchange space by dividing the reading room according to the user. In addition, the specialized experience space consists of an experience space where communication and exchange are possible for the specialized topic and a program space according to the specialized type, so experiential and relational elements appeared well, but the symbolic elements that could recognize the specialized identity were insufficient. As a way to represent the identity of the space, it is necessary to plan elements that may be reminiscent of the specialized topic at the entrance of the exterior to increase people's accessibility, and to apply a visual design based on the specialized type in the internal space. Fourth, the space branding strategic elements of specialized libraries were extracted as 'visual elements', 'experiential elements', and 'relational elements'. Among the five elements, 'experiential elements' were the best. In terms of experiential elements, various programs and contents were operated based on specialized topics, and it was found that the voluntary participation rate of users was high in cases where the user base was expanded or clearly classified. In addition, the case where new programs were continuously planned and operated every month made the next program predictable and induced the activation of the experience spac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period between the programs was not constant. Therefore, the specialized library should plan program spaces to provide differentiated experiences to users into detailed spaces such as exhibition-oriented participation spaces, experience spaces linked to external spaces, and communication spaces centered on education and user exchanges according to specialized topics. Fifth, among the strategic elements of space branding in specialized libraries, the most insufficient element was found to be a symbolic element. In terms of symbolic elements of specialized libraries, the importance of space direction was emphasized through cognitive elements that can be reminiscent of specialized topics. In most cases, distinctive designs and symbols were arranged in the internal space to emphasize the specialization topic, bu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ack of elements to recognize the specialization topic at the entrance of the external space. In addition, in some cases, the specialization elements of the space were not sufficiently revealed and the arrangement was unclear. Therefore, a design that can recognize the identity of the specialized library by using symbols or placing elements that can be reminiscent of the specialization theme in the exterior façade of the space should be planned. In the internal space, a differentiated strategy is needed to attract users' attention by arranging specialization elements according to specialization topics such as symbolic sculptures, objects, and media displays in the central space of each roo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ly unique colors and finishing materials that match the specialization theme to the walls, floors, ceilings, and furniture of the core space of the specialized library.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 strategy to induce the activation of the competitive space of the specialized library by deriving the strategic elements of space branding. It is significant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by classifying four types of specialization and deriving detailed strategic elements tha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specialized library. In the follow-up study, the scope of cases should be expanded nationwide and a survey should be conducted on users of specialized libraries to conduct research through more reliable data. In addition, if we compare and analyze the library's specialization utilization plan with overseas cases, we will be able to present detailed library developmen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specialization type in more detail. Through specialized library research applying the strategic elements of such space branding, it is expected that meaningful research results suggesting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specialized libraries in the future will be derived b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specialized libraries and strengthening connections with local communitie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489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63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