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7 0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성수지역상권의 문화소비인식 변화 분석

Title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성수지역상권의 문화소비인식 변화 분석
Other Titles
An Analyis of Cultural Consumption Perceptions in Seongsu Using Text Mining
Author
권희영
Alternative Author(s)
Kweon hei young
Advisor(s)
이명훈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역사, 산업, 물리적 이미지 등의 측면에서의 특성이 결합이 되어 독특한 분위기를 가지게 된 성수동은 MZ세대의 새로운 핫플레이스로 주목받고 있으 며 상권확장에 따라 다양한 문화소비장소와 유인요소 가지게 되었다. 본 연 구는 SNS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성수지역 상권 관련 키워드로 성수동의 문화 소비 주요 요인과 변화과정, 문화소비의 인식변화 과정을 분석한다. 분석결 과를 통해 성수동 지역 상권 유인요소를 도출하여 상권 소비자인 MZ세대의 문화적 소비요소와 현재 성수지역 상권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과정으로는 ‘성수핫플’을 키워드로 하는 2017년부터 2023년 6월 까지의 네이버블로그 데이터로 빈도분석과 TF-IDF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의 모형을 통해 성수동의 장소성과 문화소비요인 분류하고 CONCOR 분석을 진 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성수동은 2017년까지 일반적인 근린상권 음식점 중심으로 문화 소비요인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하였다.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상업적 문화소비요인이 발달하기 시작하며 이국적인 음식점과 카페를 중심으로 상권을 형성하였다. 주요 문화요소는 공장을 개조한 대림창고와 문화예술 관련 시설이며 이와 함 께 공장, 거리 이미지는 성수만의 개성있는 문화적 요소로 인식이 되었다. 2019년부터 성수동은 상업적인 확대가 이루어지며 문화소비요소가 늘어나게 되었다. 해당 시기에 복합문화시설이 문화적 요소로 등장하며 소비자들은 스 토어 내부의 이미지나 제품의 문화적 요소, 인테리어 감성을 소비함으로써 문화적인 욕구를 충족하였다. 음식점과 카페 또한 인스타 위주의 예쁘고 포 스팅하기 좋은 이미지·감성을 소비하는 공간으로 발달하게 된다. 특히 2021 년에는 개성이 강한 카페가 상업 소비공간으로 구분이 되며 카페의 이미지를 문화적 요소로 확장해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2년부터 2023년까지의 성수동은 상업적 문화요소가 다양해지며 문화적 포용성은 더욱 넓어지게 되 었다. 팝업스토어가 주요 문화소비 물리적 요소로 등장하게 되면서 소비자는 다양한 이벤트를 경험하며, 문화소비공간은 체험적인 문화를 제공받는 공간 이 되었다. 이처럼 성수동은 상권 형성초기부터 최근까지 문화소비요소 및 유인요소는 빠르게 확장되었고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갖추게 되었다. 문화를 더욱 소비 적으로 즐기는 문화가 MZ세대에게 나타남에 따라 문화소비요인은 문화소비가 빨라지는 경향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시사점으로는 첫째로, 상권 지역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문화 적 저변을 확대하는 노력과 지역의 정체성 확립이 필요하다. 성수동의 활성 화는 소수의 요인이 아닌 문화적인 선택의 폭을 확장하고 새로운 문화적 요 소, 문화적 가치를 발전시킨 결과이며 성수동은 지역 정체성과 문화를 기반 으로 문화자원의 증가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로 성수동은 점점 문화를 압축적으로 경험함에 따라 문화소비속도 가 빨라지게 되고 대기업 위주의 문화소비가 확대되면서 지역 내의 작은 공 방이나 독립 문화공간이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 균형있는 문화요인 발달을 위해 소상공인들에게 예술 프로그램 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새로운 아이디어 와 트렌드를 수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성수동 상권에서의 문화소비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요인을 분석하여 상업적 유인 요소 도출하고 문화 상권 발전 활성화 정책 및 지속적 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다만, 본 논문은 실제 매출 데이터, 유동인구 변 화 등의 실증적인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네이버블로그 데이터만을 포함하 여 전체적인 데이터를 조사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본 논문의 후속연구로 설문조사 및 현장조사를 통한 실증적인 분석과 포괄 적 범위의 데이터 활용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자료를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 주요어 : 문화소비지역, 핫플레이스, 텍스트마이닝, 문화소비, SN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336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48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TRANSPORTATION PLANNING(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