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 0

근감소증, 비만 및 근감소성 비만에 따른 여성 노인의 신체 조성과 기능의 변화: 신경근 운동의 예방 효과

Title
근감소증, 비만 및 근감소성 비만에 따른 여성 노인의 신체 조성과 기능의 변화: 신경근 운동의 예방 효과
Other Titles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unction in Elderly Women with Sarcopenia, Obesity, and Sarcopenic Obesity : The Preventive Effect of Neuromuscular Exercise
Author
백다은
Alternative Author(s)
Daeun Ba다
Advisor(s)
김종희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근감소증, 비만 그리고 근감소성 비만에 따른 여성 노인의 신체 조성 및 기능의 변화를 분석하고, 12주간 신경근 운동 중재를 적용한 집단과 생활체육 및 통제 집단을 비교하여 신경근 운동의 예방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연구로 설계되었다. 첫 번째 연구는 총 82명의 65세 이상인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집단은 정상 집단(Normal Group, NG), 근감소증 집단(Sarcopenia Group, SG), 비만 집단(Obesity Group) 그리고 근감소성 비만 집단(Sarcopenic Obesity, SOG), 총 4개로 분류하였고 신체 조성(체중, 신장, 체지방률, 근육량)과 신체 기능(악력, Chair sit test, Time up and go, Y balance test)을 측정하였다. 또한,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두 번째 연구는 총 45명의 65세 이상인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집단은 통제 집단(Control Group, CG), 생활체육 집단(Physical Activity Group, PAG), 신경근 운동 집단(Neuromuscular Exercise Group, NEG)으로 분류하여 각각 15명씩 배정하였다. 검사는 첫 번째 연구에서 진행한 검사에 Functional movement screen(FMS)을 추가하여 진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의 결과, NG, SG, OG, SOG 간의 사지 근육량 지수(appendicular skeletal muscle index, ASMI)의 차이는 없었고 SG와 SOG는 NG와 OG 대비 신체 기능이 유의하게 낮았다(p<.05). ASMI는 악력을 제외한 신체 기능 변인과 상관관계가 없었고 YBT의 경우 신체 기능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의 결과, NEG는 체지방률 감소, ASMI 증가, 악력, YBT, FMS 총점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를 통해 신체 조성상 ASMI에서 차이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기능상 차이가 발생한다는 사실과 ASMI와 신체 기능은 비례관계가 아니라는 점, 그리고 신경근 운동의 근감소증, 비만 및 근감소성 비만에 대한 예방 효과를 확인하였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625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35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HYSICAL EDUCATION(체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