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 0

《廣韻》 反切 표음의 음운 자질 연구

Title
《廣韻》 反切 표음의 음운 자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Phonological Features of fanqie
Author
김진희
Alternative Author(s)
KIM JINHEE
Advisor(s)
엄익상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A Study of the Phonological Features of fanqie Zhao Yuanren (趙元任, Chao 1941: 207) early on conducted research questioning the phonological system of fanqie and proposed the 'Harmony of Initials' theory. This theory states that the initials of fanqie shangzi (反切上字) and fanqie xiazi (反切下字) harmonize, suggesting a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s of the fanqie shangzi and the fanqie xiazi.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onological features of fanqie in the Yunmu category of the Guangyun (廣韻), exploring how the fanqie shangzi and the fanqie xiazi phonologically represent the sounds of the pizhezi (被切字). The analysis of the fanqie in the Yunmu of the Guangyun revealed that, as Zhao Yuanren argued, in the majority of cases, there is a correspondence between the pizhezi, the fanqie shangzi, and the fanqie xiazi, not only in consonants but also in vowels. It was also discovered that there was a clear correspondence between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pizhezi, the fanqie shangzi, and the fanqie xiazi, with 53.6% of yangsheng rhymes (陽聲韻), 46.1% of yangsheng rhymes (陽聲韻), and 48.5% of rusheng (entering sound) rhymes (入聲韻). The fanqie shangzi and fanqie xiazi exhibit a precise and intricate relationship carefully selected as the optimal pair to represent the pronunciation of the pizhezi. In terms of consonants,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spondence of the articulators for the consonants of the pizhezi, fanqie shangzi, and fanqie xiazi as Cor, Dor, and Lab. In yinsheng rhymes, 46 out of 69 instances in the fanqei consonants matched, representing 66.6%. In yangsheng rhymes, 68 out of 104 instances in the fanqei consonants matched, accounting for 65.3%. In rusheng (entering sound) rhymes, 22 out of 35 instances in the fanqei consonants matched, corresponding to a ratio of 62.8%. Overall, 136 out of 208 instances in the fanqei consonants matched, with a percentage of 65.3%. More than half of the instances showed a similar or identical sound for the initials of the fanqie shangzi and fanqie xiazi with those of the pizhezi, creating a harmonious phonological relationship. In the analysis of vowel features based on certain condi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spondence of the rhyme categories, including 攝 (shè), 等 (děng), 呼(hū), and 聲(shēng), between the pizhezi and the fanqie shangzi and the fanqie xiazi. In yinsheng rhymes (陰聲韻), 51 out of 69 instances in the fanqei vowels matched, representing 73.9%. In yangsheng rhymes (陽聲韻), 75 out of 104 instances in the fanqei vowels matched, accounting for 72.1%. In rusheng (entering sound) rhymes (入聲韻), 25 out of 35 instances in the fanqei vowels matched, corresponding to a ratio of 71.4%. Overall, 151 out of 208 instances in the fanqei vowels matched, with a percentage of 72.5%. More than half of the instances demonstrated a harmonious phonological relationship, indicating a similar or identical sound correspondence of vowel features between the pizhezi and the fanqie shangzi or fanqie xiazi. This study attempted a new interpretation of the fanqi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hopefully expecting continued diverse research on fanqie pronunciation.|국문요지 자오 위앤런(趙元任, Chao 1941 : 207)은 일찍이 반절(反切)의 표음방식에 의문을 가지고 연구하여 ‘반절상자의 개음과 반절하자의 개음이 일치한다.’는 ‘개음조화설’을 주장했다. 반절상자와 반절하자의 개음이 조화를 이룬다는 것으로 반절상자와 반절하자 사이에는 어떤 대응 관계가 있다는 견해이다. 이에 󰡔廣韻󰡕 운목 반절 표음의 음운 자질을 연구하였다. 피절자의 음을 반절상자와 반절하자가 어떻게 표음하는 지를 이들의 음운 자질을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廣韻󰡕 운목 반절을 분석하여 확인한 결과 자오 위앤런의 주장과 같이 대부분의 반절에서 피절자와 반절상자, 반절하자의 개음이 대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피절자와 반절상자, 반절하자는 개음만이 아니라 성모와 운모 또한 대응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음성운 37개(53.6%), 양성운 48개(46.1%), 입성운 17개(48.5%)의 반절에서 피절자와 반절상자, 반절하자의 성모와 운모가 대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절상자와 반절하자는 피절자의 음을 표기하기 위해 선별된 최적의 쌍으로 정교하고 치밀한 관계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성모의 경우 피절자와 반절 상자, 반절 하자의 조음자가 Cor, Dor, Lab으로 대응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음성운의 경우 69개의 반절 중 46개 반절의 성모가 대응하는데 이는 66.6%에 해당한다. 양성운의 경우 104개의 반절 중 68개 반절의 성모가 대응하는데 이는 65.3%에 해당한다. 입성운의 경우 35개의 반절 중 22개의 반절이 대응하는데 이는 62.8%에 해당한다. 전체 208개의 반절 중 136개 반절의 성모가 대응하며, 이는 65.3%에 해당한다. 절반이 넘는 반절의 성모가 대응하는 것으로 피절자와 반절 상자, 반절 하자의 성모가 같거나 비슷한 소리로 대응하며 음의 조화를 이루었음을 확인하였다. 운모의 경우 조건에 따라 피절자와 반절 상자, 반절 하자의 攝, 等, 呼, 재구음이 대응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음성운의 경우 69개의 반절 중 51개 반절의 운모가 대응하는데 이는 73.9%에 해당한다. 양성운의 경우 양성운의 경우 104개의 반절 중 75개 반절의 운모가 대응하는데 이는 72.1%에 해당한다. 입성운의 경우 35개의 반절 중 25개 반절이 대응하는데 이는 71.4%에 해당한다. 전체 208개의 반절 중 151개 반절의 운모가 대응하며, 이는 72.5%에 해당한다. 절반이 넘는 반절의 운모가 대응하는 것으로 피절자와 반절 상자, 반절 하자의 운모가 같거나 비슷한 소리로 대응하며 음의 조화를 이루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반절 표음방식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자 노력하였다. 반절 표음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길 바라는 마음에서 연구를 시작했음을 밝히며 글을 맺는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491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34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NESE LANGUAGE & LITERATURE(중어중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