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 0

한국 언론의 중국 보도 연구

Title
한국 언론의 중국 보도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China-related reports in Korean Media :focusing on Chosun Ilbo, Hankyoreh, KBS, and JTBC from 2011 to 2020
Author
장카이
Alternative Author(s)
ZHANG KAI
Advisor(s)
왕하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천년이 넘는 민족교류사를 가진 중·한 양국은 정치·경제·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교류한 역사 또한 유구하다. “지연상근(地缘相近),인연상친(人缘相亲),문연상통(文源相通)” 이라는 표현은 한·중 양국의 긴밀한 관계를 고도로 요약한 것으로, 예로부터 한국의 언어와 문화 영역에서 중국은 가장 폭넓게 접촉한 타문화의 이미지로 자리하고 있다. 2011~2020년까지 10년간 한·중 관계는 롤러코스터처럼 밀월기·냉동기·회복기를 거쳤다. 오랜 역사 교류 과정에서 한국 사회는 중국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고, 수교 이후 한·중 관계와 국제 환경의 관점에서 중국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가 재구성됐다. 전통적인 인식과 새로운 인식 사이에 작용과 반작용의 관계가 형성되었고, 한국 사회의 중국이라는 타자의 이미지에 대해 매우 복잡한 특징을 드러내게 만들었다. 이러한 면모는 신문 매체와 언론 기사에서 복잡한 중국 이미지 프레임으로 나타난다. 오늘날은 정보기술(IT)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매스미디어가 생활 곳곳에 퍼진 시대로, 사람들의 정보 출처, 특히 해외 정보 출처의 대부분은 대중 매체에 의존하고 있다. 매스미디어는 사회를 위한 정보 환경, 특히 주류 언론의 타국 에 대한 태도는 양국 관계의 바로미터를 보여 주는 동시에 자국 시청자들에게 타국의 이미지를 심어주는 역할을 한다. 언론 대국인 한국은 언론마다 기업문화 및 정치적 성향 등에 따라 같은 사건의 뉴스 틀이 다른 경우가 많고, 중국을 보도할 때도 마찬가지다. 뉴스 생산자인 언론은 천차만별인데, 급변하는 한·중 관계에서, 한·중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돌발적인 사건에 직면했을 때, 한국 언론이 어떤 뉴스 프레임으로 중국이라는 타자의 이미지를 구축했는지, 중국의 이미지 프레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이러한 중국의 이미지 프레임이 한·중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가 이 글의 중점 연구 문제이다. 이 글은 조선일보, 한겨레, KBS, JTBC 등 4개 언론사를 중심으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총 1550편의 신문기사를 표본으로 선정해 텍스트분석법, 프레임이론분석법, 단어빈도분석법, 비교분석법 등의 연구방법을 적용해 한국 언론이 보여준 중국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구체적으로 네 가지 부분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중국 보도의 전반적인 특징 분석하였다. 이 부분은 주로 거시적 관점에서 4개 매체의 중국 보도를 요약하고 보도 수와 샘플, 주제 분포, 정보출처, 보도 경향 및 기타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중국에 대한 한국 언론의 관심도, 관심분야의 차이점, 취재 시 정보에 대한 신뢰도, 그리고 중국 관련 기사의 감정적 성향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중국 보도 의제를 분석한다. 이 부분은 1550개의 보도 샘플을 분석하기 위해 8개의 의제, 즉 정치 의제, 국제 관계 의제, 경제 및 기업 의제, 사회적 의제, 군사 의제, 문화체육 의제, 환경 기후 의제, 과학기술 및 IT 의제로 분류했다.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보도내용을 분석하고, 이들 주제에 대해 4개 언론매체가 주목하는 내용과 관련 보도내용 및 그 특징을 요약하였다. 셋째, 중국의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단어 빈도 분석법을 사용하여 8개 의제 보도의 제목을 분석하고 명사, 동사 및 형용사의 고주파어를 분류하고 특정 텍스트를 결합하여 긍정, 중립 및 부정적인 측면에서 이러한 주제의 중국 이미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에 대한 이들 매체의 이미지는 부정적인 중국 이미지를 보일 때 높은 일관성을 보이는 공통성과 차이를 보였다. 차이는 주로 보도된 감정의 차이, 신문 매체와 TV 매체의 차이, 관심 내용의 차이에서 나타났다. 넷째, 중국 이미지 프레임의 영향 요인 분석하였다. 4 개 매체가 구축한 중국 이미지의 차이점에 대해 이 부분은 동일한 중국 이미지 프레임의 영향 요인과 다른 중국 이미지 프레임의 영향 요인 두 가지 측면에서 시작하여 뉴스 프레임의 차이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기업문화와 발언권 경쟁의 두 가지 측면에서 서로 다른 보도프레임 구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국익과 이데올로기의 두 가지 측면에서 동일한 프레임 구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한국 언론이 구축한 중국 이미지 프레임은 한국 사회의 중국 이미지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심층적인 정치 문화 관념과 관련이 있는 뉴스 프레임은 시청자의 보편적 감정과 공감대를 형성하며 공감적인 프레임을 형성하며 여론을 촉진하는 동시에 한국 정부의 외교 정책 수립과 한중 관계의 발전 방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드러났다. 본문에서는 4개 매체를 대상으로 중국 이미지 프레임분석을 통해 한국 매체가 재현한 중국 이미지의 면모를 최대한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제시하여, 여론형성이 한중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줌으로써 한중 학계의 관련 연구에 필요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한중 양국의 관련 부처가 외교 정책을 수립하는데 유익한 참고 자료가 되고, 현안에 맞는 외교 정책을 수립하고, 양국 간의 문제에 있어서 실제적인 해결책을 구하며, 공동 발전을 실현하는데 기여하는 연구가 되기를 희망한다. 키워드: 한국 언론, 조선일보, 한겨레, KBS, JTBC, 중국이미지, 뉴스프레임|China and South Korea have a long history of ethnic exchanges of more than one thousand years in many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e. China has been one of the most common images of “other”in Korean media since ancient times. During the ten years from 2011 to 2020, China-South Korea relations have gone through a honeymoon period, a freezing period and a recovery period. In the process of long-term historical exchanges, Korean society has formed a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China.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a new impression of China was reconstr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China-South Korea relations and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cognition and new impression formed an action-reaction relationship, which makes Korean society's cognition of China, the other's image, present a very complex feature, which is reflected in the complex image framework of China in news reports. This paper centers on four media outlets: Chosun Ilbo, Hankyoreh, KBS, and JTBC. It uses a total of 1,550 news reports from 2011 to 2020 as samples, using text analysis, frame theory analysis, word frequency analysis, comparative analysis and other research method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image of China presented by Korean media. This paper will mainly conduct research in four parts. First, the analysis of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Chinese reports. This part mainly summarizes China reports from the four media outlets from a macro perspective and analyzes the number of reports and characteristics of report samples, topic distribution, news sources, and report tendencies. Through the analysis, we can recognize Korean media's attention to China,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areas of focus, the trust in information when collecting materials, and the emotional tendency of China-related reports. Second, the content analysis of China's reported topics. In this portion, 1,550 report samples are classified into eight topics for analysis: political issues, international relations issues, economic and business issues, social issues, military issues, cultural and sports issues, environmental climate issues, and technology and IT issues. The content analysis method is used to analyze the content of the report, the content that the four media outlets focus on under each topic, as well as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reports. Third, the analysis of China's image. This portion uses the word frequency analysis method to analyze the titles of the eight topic reports. It sorts out high-frequency words into nouns, verbs and adjectives, and combines the specific text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hina's image presented by such topics from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leve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re are both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presentation of China's image by the four media outlets. The commonality is that the four media outlets show a high degree of consistency in presenting a negative image of China. The differences are mainly reflected in the differences in reporting emotions, the differences between paper media and TV media, and the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attention. Fourth, the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to China's image framework. Since Chinese images constructed by the four media outlets are consistent, this part analyzes the main factors that led to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news frames, specifically from the aspects of corporate culture and discourse competition. It also analyzes how frame construction is affected from two aspects of national interests and ideology, and analyzes how the same frame construction is affected. This paper hopes to present a whole picture of China's image constructed by the Korean media as objectively as possible through framework analysis of the Chinese image in four media outlets, and to present the influence of public opin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order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relevant research of Chinese and Korean academic sources. We hope to provide useful reference for the relevant departments of China and South Korea to formulate foreign policies in a targeted manner, solve problem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strive to eliminate barriers and achieve common development. Key words: Korean media, Chosun Ilbo, Hankyoreh, KBS, JTBC, China image, news frame|中韩两国拥有逾千年的民族交流史,在政治、经济、文化等诸多领域的交流源远流长,“地缘相近、人缘相亲、文源相通” 高度概括了中韩两国的紧密关系,这也使得中国自古以来就是韩国语境中最常见的他者形象之一。2011年至2020年十年间,中韩关系大起大落,经历了蜜月期、冷冻期和恢复期。在长久的历史交流过程中,韩国社会已经形成了对中国的传统认知。建交以后在中韩关系以及国际大环境的视域下又重构了对中国的新印象。传统认知与新印象之间形成了作用与反作用的关系,这就使得韩国社会对中国这个他者形象的认知呈现出非常复杂的特征,在新闻报道中即体现为复杂的中国形象框架。 当今时代,信息技术飞速发展,大众传媒已遍及生活的各个角落。人们的信息来源,尤其是海外信息来源,绝大多数都依赖大众传媒。大众传媒为社会构建着信息环境,特别是主流媒体的他国报道,往往可以看做是两国关系的晴雨表,与此同时,也为本国受众塑造了他国形象。韩国是媒体大国,媒体间因企业文化及政治倾向性等差异,同一事件的新闻框架也常有不同,报道中国时也是如此。作为新闻生产方的媒体千差万别,在面对风云变幻的中韩关系时,在面对影响中韩关系的突发事件时,韩国媒体是以什么样的新闻框架来建构中国这个他者形象的,影响中国形象框架呈现的因素是什么,这样的中国形象框架如何对中韩关系产生影响,是本文重点研究的问题。 本文以《朝鲜日报》、《韩民族日报》、KBS、JTBC四家媒体为中心,选取2011年至2020年总共1550篇新闻报道为样本,运用文本分析法、框架理论分析法、词频分析法、比较分析法等研究方法,对韩国媒体呈现的中国形象进行系统分析。具体来讲,本文将主要从四个部分进行研究。 第一,中国报道的整体特征分析。该部分主要从宏观视角对四家媒体的中国报道进行概括性整理,分析报道数量以及报道样本、议题分布、消息来源、报道倾向等特征。通过分析可以看出韩国媒体对中国的关注度、重点关注领域的异同点,以及取材时对信息的信任情况、中国相关报道的情感倾向等等。 第二,中国报道议题内容分析。该部分将1550篇报道样本归为八个议题进行分析,即政治议题、国际关系议题、经济企业议题、社会议题、军事议题、文化体育议题、环境气候议题、科技IT议题。归纳出每个议题下四家媒体重点关注的子议题,选取占比前五位的子议题,运用内容分析法对报道内容进行具体分析,概括出相关议题的主要特点,进而归纳出四家媒体在各个领域重点关注的内容。 第三,中国形象分析。运用词频分析法对八个议题报道的标题进行分析,整理出名词、动词和形容词高频词,结合具体文本,从积极、中立和消极的层面分析该类议题所呈现的中国形象特征。分析结果表明,四家媒体呈现的中国形象主要是中立形象和消极形象,且既有共性也有差异,共性是四家媒体在呈现消极中国形象时体现出高度的一致性,比如非法渔船、雾霾影响和萨德报复等等;差异性则主要体现在报道情感的差异、纸媒与电视媒体的差异以及关注内容的差异上。 第四,中国形象框架的影响因素分析。针对四家媒体构建的中国形象同中存异的情况,该部分从中国形象相同框架的影响因素和不同框架的影响因素两方面入手,分析导致新闻框架异同的主要因素。具体来说,从企业文化和市场竞争两方面,分析是如何影响不同报道框架建构的,从国家利益和意识形态两方面,分析是如何影响相同框架建构的。 韩国媒体构建的中国形象框架会影响韩国社会对中国形象的认知,进而影响中韩关系的发展走向。本文希望通过对四家媒体中国形象框架的分析,将韩国媒体构建的中国形象全貌尽可能客观真实地呈现出来,将舆论对中韩关系的影响呈现出来,以期为中韩学界的相关研究提供必要的借鉴,并希冀为中韩两国相关部门制定外交政策提供有益的参考,有针对性地制定外交政策,有的放矢地解决两国间存在的问题,努力消除隔阂,实现共同发展。 关键词: 韩国媒体;《朝鲜日报》;《韩民族日报》;KBS;JTBC;中国形象;新闻框架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522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44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S](국제학대학원) > CHINESE STUDIES(중국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