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4 0

조기 발병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행위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조기 발병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행위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Factors Influencing Health Behavior Adherence of Patients with Premature Coronary Artery Disease
Author
조성래
Alternative Author(s)
CHO SEONG RAE
Advisor(s)
이여진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심혈관건강을 해치는 건강습관과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의 조기 발병으로 인하여 관상동맥질환의 발병 연령이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조기 발병 관상동맥질환자는 질병을 악화시키는 위험요인을 수정함으로써 심근경색과 같은 생명에 위협을 주는 부정적 심장사건을 예방할 수 있으나 이들의 건강행위이행은 미흡하며, 이와 관련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기 발병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행위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연구이다. 이를 통하여 조기 발병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행위이행의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앞으로의 간호 중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서울 소재 1개 상급종합병원에 내원한 관상동맥질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강정보이해능력 정도는 4점 만점에 평균 3.18±0.31점, 건강전문가의 자율성지지 정도는 7점 만점에 평균 5.64±0.83점, 건강행위이행 정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66±0.41점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행위이행의 차이는 성별(t= -3.62, p<.001), 연령(F=6.89, p=.001), 남자연령(t=4.43, p=.014), 직업유무(t=-2.29. p=0.23)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행위이행의 차이는 질병경과기간(t=-4.37, p<.001), 동반질환 유무(t=3.36, p<.001), 음주(t= -2.58, p=.011), 흡연(t= -4.78,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건강행위이행은 건강정보이해능력(r=.48, p<.001), 건강전문가의 자율성지지(r=.26,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건강행위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조기 발병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행위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정보이해능력(β=0.36, p<.001), 성별(β=-0.16, p=0.39), 질병경과기간(β=0.17, p=.016), 동반질환 유무였고(β=-0.17, p=.011),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정보이해능력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남성, 진단받은 지 1년 미만, 직업을 가지고 있는 조기 발병 관상동맥질환자는 건강행위이행 정도가 매우 낮았고 건강행위이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따라서 이 대상자를 건강행위이행 취약집단으로 분류하고 대상자 특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조기 발병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행위이행에 건강정보이해능력이 가장 강력한 영향요인이므로 건강정보이해능력의 긍정적 영향을 건강전문가(의사,간호사)가 인식하여야 하고, 조기 발병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수준을 고려하여 평이한 용어를 사용하는 설명과 교육이 제공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 조기 발병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행위이행에 건강전문가의 자율성지지는 영향요인이 아니었으므로 자율성지지 보다는 대상자가 직면한 위험요인을 수정하기 위한 전문인력과의 적극적인 연결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핵심어: 조기 발병 관상동맥질환, 건강행위이행,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전문가의 자율성지지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509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44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대학원) > DEPARTMENT OF CLINICAL NURSING(임상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