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 0

강수 예측을 위한 干支와 降水 사례 연구

Title
강수 예측을 위한 干支와 降水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Rainfall and Recession for Precipitation Prediction
Author
이상훈
Alternative Author(s)
Lee, SangHoon
Advisor(s)
박정해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지구에 생존하는 우리는 물(水)을 기본으로 하여 다양한 식량을 얻고 있다. 조상들은 천문을 관찰하며, 농사 시기에 맞추어 하늘에서 비가 내리기를 바라였고, 일자별로 날씨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본 논문은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농서인『색경(穡經)』과『산림경제』,『임원경제지』등에 기록된 기상 예측과 기상청 자료를 비교분석을 하였고, 조선 시대의 기록된 농서의 관측자료와 현대의 기상자료를 비교하여 농서의 기록자료가 현대 기상자료와 일치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농서에는 특정 일자를 기준으로 60갑자의 배치에 따른 중·장기 기상을 예측하였는바, 당시의 예측 방법에 접근하는 가설에 의한 간지 계산법을 개발하였다. 가설 간지 계산법은 木, 火, 土, 金, 水, 五行을 음양으로 구분하여 숫자를 적용하는데 水 1·6, 木 3·8, 火 2·7, 金 4·9, 土 5·10으로 적용되면 계산의 폭이 크게 되어 음양 이진법을 적용한다. 음양 이진법은 선천수(1,2,3,4,5)와 후천수(6,7,8,9,10)의 계산에서 오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주역』에서는‘陽을 ―, 陰을 ­­’으로 구분하여 해석하고 있다. 단순하게 보이는 선으로 ‘陽을 의미하는 이어진 선을 ― 양효(陽爻)’라 하고, ‘陰을 의미하는 끊어진 선 두개는 ­­음효(陰爻)’라 한다. 양효와 음효의 음양 구분을 아라비아 숫자 0 과 1 으로 변환하여 가설 간지 계산법에 적용한다. 농서에는 모내기 시기인 음력 4월~5월의 기상을 예측하는 4가지 10개 항목으로 중·장기 기상을 예측하였고, 농서에서의 기상 예측은 언제부터 언제까지의 시기를 정하지는 못하였지만, 농사 시기(양력 5월~9월)에 가뭄과 수해 예측의 정확도가 높았다. 2022년 강수 기록으로 농서 4가지 10개 항목을 비교하면 가뭄 항목 4개, 수해 항목 3개, 공통 3개 항목이다. 이를 강수 기록과 비교하면 『색경』 음력 4월 20일 가뭄 적중이다. 『색경』 음력 5월 망종∙하지, 음력 5월 1일~3일에서 망종 강수 기록으로 홍수 적중이다. 『산림경제』음력 4월 2일~3일 맑은 날씨로 가뭄을 예상하였다. 『임원경제지』「위선지」의 입하와 단오는 立夏는 맑음으로 가뭄 적중이고, 端午는 맑음으로 수해 적중이다. 조선 시대와 현대의 240년의 기상자료를 60년 단위 순환 갑자에 의한 강수량을 비교와 120년 강수 기록을 기준으로 60갑자에 의한 천간 天干 병·정(火) 와 임·계(水) 地支 사·오·미(火)와 해·자·축(水) 에 해당하는 년도별 강수량을 비교하였다. 제1순환 갑자(1782~1841년)와 제2순환 갑자(1842~1901년)는 1,600~1,700mm 대의 강수량을 나타낸다. 제3순환 갑자(1902~1961년)와 제4순환 갑자(1962~2021년)는 1,300mm 대의 강수량을 나타낸다. 2022년 壬寅년은 제5순환 갑자 60년을 시작하는 年으로 다양한 강수량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제4순환 갑자의 강수 변동은 1782~1902년의 제1순환~제2순환 갑자 시대의 강수량으로 변해가는 모습을 보이는데, 강수량의 변화가 순환 갑자에 의한 변화인지 지구온난화 영향인지는 관찰을 해야 한다. 농서에서는 특정 일자의 기상 상황의 기록을 기준으로 중·장기 기상을 예측하였다면, 음양오행과 60갑자에 의한 간지 계산법을 응용하면, 중·장기 기상 예측이 가능하며, 많은 연구를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274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41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CONVERGENCE[E](융합산업대학원) > DEPARTMENT OF ORIENTAL CULTURE(동양문화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