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0

직장인의 사회불안과 이직의도의 관계

Title
직장인의 사회불안과 이직의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Workers :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Job Self-Efficacy
Author
임정민
Advisor(s)
장유진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직장인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 심리적 요인에 대한 것으로, 사회적 상황에서 타인의 평가에 두려움을 느끼는 사회불안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직무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장인 24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SPSS 26.0과 Hayes(2013)의 SPSS PROCESS Macro 4.1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불안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마음챙김은 사회불안과 이직의도를 부분 매개하였다. 이 결과는 사회불안이 높아지면 마음챙김이 낮아지고 이로인해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사회불안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효능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직무효능감은 사회불안과 이직의도를 완전 매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불안과 이직의도의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사회불안이 직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결과는 사회불안이 높아지면 직무효능감이 낮아지고 이로인해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사회불안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직무효능감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마음챙김과 직무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는 높은 사회불안이 마음챙김을 낮추고 그 결과는 다시 직무효능감을 낮추어 결론적으로 이직의도가 증가하는 메커니즘을 실증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불안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연결 짓는 심리적 기제들을 확인함으로써 사회불안으로 인하여 이직의도가 높아진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마음챙김과 직무효능감에 개입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 Among the many factors that influence workers'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focuses on psychological factors to research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job self-efficacy on the impacts of social anxiety, which is a fear of the assessment of others in a social situation, on turnover inten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with 249 workers and analyzed collected data with SPSS 26.0 and Hayes(2013)'s SPSS PROCESS Macro 4.1.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indful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anxiety and turnover intention and partially mediated them, which means that higher social anxiety leads to lower mindfulness, which in turn leads to higher turnover intention. Secondly, job self-efficac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turnover intention and fully mediated them. Specifically, the route of social anxiety and turnover intention was significant, and social anxiety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job self-efficacy, which in turn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igher social anxiety leads to lower job self-efficacy, which then leads to higher turnover intention. Finally, mindfulness and job self-efficacy were put sequent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turnover intention to examine their mediating effects. Mindfulness and job self-efficac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m. These findings empirically demonstrate a mechanism of higher social anxiety lowering mindfulness, which in turn lowers job self-efficacy and eventually increases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to connect social anxiety and turnover intention and indicates that an intervention into the mindfulness and job self-efficacy of workers with higher turnover intention due to their higher social anxiety could be effective,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Finally, the study discussed its limitations and made proposals for a follow-up study. Keywords: workers, social anxiety, mindfulness, job self-efficacy, turnover intention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799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39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S](상담심리대학원) > HUMANITIES & SOCIAL SCIENCE(인문사회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