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2 0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the Effects of the Status of Having Children on Labor Income, Hours Worked, and Wage Rate - An Empirical Analysis Using CFPS

Title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the Effects of the Status of Having Children on Labor Income, Hours Worked, and Wage Rate - An Empirical Analysis Using CFPS
Author
왕자리
Advisor(s)
문춘걸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issue of gender equality is one of the critical goals pursued by human society, and the gender gap in the labor market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gender inequality. Based on the gender gap in Chinese society and the decreasing fertility rate, this paper explores the marginal effects of fertility on the labor market outcome variables of men and women using the tracking survey data of CFPS 2026-2020. Since this panel data suffers from sample selection bias, we use the Wooldridge estimation method extended by Mundlak-Chamberlain to address this issue. The study methodology has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Probit estimation is performed on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equation. We found that the status of having children, gender, age, health status, and non-educational education status significantly affect labor force participation. In the second stage, we add the IMR estimates derived in the first stage, as well as the cross-sectional terms of the IMR estimates with dummy variables for each year, as independent variables in a regression analysis model that examines the effect of fertility on labor market outcome variables, estimated together with other explanatory variables. The study found that childbearing significantly reduced labor earnings (8.3%) and wage rates (12%) for women while having no significant effect on men. The study also found regional heterogeneity in the effect of fertility on labor income for men and women, with fertility making women's labor income lower in the eastern region (21.2%). Based on the findings, this paper proposes policy recommendations that can help reduce the gender wage gap, promote gender equality and fair competition in the labor market, and achieve more inclusive and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성 평등 문제는 인간 사회가 추구하는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며 노동 시장의 성별 차이는 성 불평등의 중요한 부분이다. 중국 사회의 남녀 성별 격차와 출산율 감소를 기반으로 이 기사에서는 CFPS 2016-2018-2020의 추적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녀 존부가 남녀 노동시장의 결과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이 패널 자료에 대한 표본 선택 편의를 적절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Mundlak-Chamberlain방법을 확장한 Wooldridge 추정 방법을 사용하여 모형을 추정하였다. 추정 방법은 노동 참여에 대한 probit 모형 추정과 노동시장의 결과에 대한 pooled 모형 추정의 두 단계로 나눈다. 연구에 따르면 개인의 생식 상태, 성별, 연령, 건강 상태 및 비학력 교육 상태가 모두 노동 참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두 번째 단계에서 첫 번째 단계에서 얻은 IMR 추정치와 연도별 가상 변수의 교차 IMR 추정치를 노동 시장 결과 변수에 대한 출산의 영향을 연구하는 회귀 분석 모형에 독립 변수로 추가하여 다른 설명 변수와 함께 추정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녀존재가 여성의 노동소득(8.3%)과 임금률(12%)을 현저히 감소시켰지만 남성에게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연구에 따르면 자녀 존부는 남녀 노동 소득에 미치는 영향은 지역적 이질성이 있으며 동부지역 여성의 노동 소득을 유의하게 감소(21.2%)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성별 임금 격차를 줄이고 성 평등과 노동 시장의 공정한 경쟁을 촉진하며 보다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책 제안을 제시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375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19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CONOMICS & FINANCE(경제금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