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6 0

인식론적 관점에서 중국의 위 미디어 지식 공유 분석

Title
인식론적 관점에서 중국의 위 미디어 지식 공유 분석
Other Titles
Analyzing the knowledge sharing of Chinese we-media from an epistemological perspective:——Take bilibili video website as an example
Author
왕개
Alternative Author(s)
WANG KAI
Advisor(s)
WANG FEI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인식론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중국의 위 미디어(自媒體)지식 공유 행위를 분석한다. 현재, 신기술의 발전이 지식에 대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특히 위 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해 인간의 지식 공유 방식이 혁명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발전은 지식 활동에 매우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위 미디어 지식 공유의 전망은 매우 기대할 만하다. 그러나, 위 미디어를 통해 지식을 공유하는 이러한 새로운 지식 공유 방식에 대한 학계의 전반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인식론적 측면에서 전체적인 위 미디어 지식 공유 행위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는 새로운 시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biliibili 동영상 사이트를 사례로 삼아, 인식론적 시각에서 지식 획득, 지식 출처, 지식 조절과 영향, 지식 판단이라는 4가지 시각을 바탕으로 중국의 위 미디어에서의 지식 공유를 요약 및 분석하여, 중국 위 미디어의 지식 공유의 특징과 장단점, 영향 및 기존 문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는 이후 연구자들에게 유익한 이론적 참고와 사고 자료를 제공하며, 인류 사회의 지식 공유 패턴에 대한 혁신과 돌파를 돕는 데 도움이 된다. 본 논문은 인식론적 시각에서 위 미디어 지식 공유가 지식 획득, 지식 출처, 지식 조절 및 영향, 지식 판단 등의 4가지 관점에서 연구했다. 이를 위해관찰법, 문헌 연구법 및 비교 연구법을 통해 전통적인 지식 획득 방식과 위 미디어 지식 획득 방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계급성, 내용 및 목적 등의 측면에서 전통적인 지식 획득과 위 미디어 지식 획득의 특징 및 장단점을 탐구했다. 또한, 본 논문은 위 미디어 지식 공유의 출처를 탐구하며, 지식 공유 매개, 지식 공유 환경 및 지식 공유 참여 주체의 변화로 인해 위 미디어 지식 공유가 촉진되었다는 사실을 밝힌다. 또한 이 논문은 위 미디어가 지식 공유에 미치는 영향과 한계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지식 판단의 관점에서, ‘오웰 문제’에 대한 위 미디어의 대응 전략을 분석 및 탐구했다. 연구 결과, 전통적인 구술 및 독서와 비교하여 디지털 방식의 위 미디어는 다양성과 편의성이 더욱 강조한다는 것이 나타났다. 전통적인 지식 획득 방법은 계급적 특징이 두드러지며, 고전적 문헌에 대한 중요성과 실용주의적 특징을 강조한다. 위 미디어를 통해 지식을 획득하는 경우, 지식 획득의 계급적 특징이 사라지고, 지식 획득의 내용이 다양하며, 목적이 광범위해졋다. 또한, 위 미디어를 통해 지식을 공유하는 것은 대중적인 계층을 주요 대상으로 하며, 다양한 콘텐츠, 쉬운 탐색, 개방적인 환경, 무료 사용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지식의 질, 정보 혼란, 피상적인 독서 현상, 가짜 정보 등의 한계도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지식 공유 매개와 수단도 변화되어 책과 교육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전환되었으며, 지식 공유 환경도 전통적으로 폐쇄적인 물질 세계에서 디지털 네트워크 세계로 전환되었다. 동시에, 위 미디어의 지식 공유는 지식 공유의 대중화를 촉진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통적인 지식 공유 방식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유일한 방식은 아니다. 지식 공유 권력의 분산은 일반 대중들이 지식 공유에 더 많은 참여 기회와 플랫폼을 가지게 만들어주었다. 또한, 공통의 취미를 가진 사람들은 모여서 서로 교류하고 문화권을 형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정보 과부하, 정보 격리망, 위 미디어 지식에 대한 맹목적인 신뢰 등과 같은 ‘오웰 문제’에 직면하며, 정보 문해력을 향상하고 위 미디어의 장점을 발견하고 활용하며, 위 미디어의 한계를 인식하고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를 통해 지식 공유 활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촉진하고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545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18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NESE COMMERCE & AREA STUDIES(중국지역통상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