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6 0

디바이징 씨어터의 공간과 관객의 수행성에 대한 연구

Title
디바이징 씨어터의 공간과 관객의 수행성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heatrical Space and the Audience Performativity in Devising Theatre
Author
신동동
Alternative Author(s)
SHEN TONGTONG
Advisor(s)
권용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Based on devising theatre that have been actively developing since the 21st century, this paper aims to examine a new process-oriented performing art rather than a method of conveying and interpreting unique meanings in traditional plays.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process of forming the audience's perceptual experience in these performances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audience and space. The devising theatre drew attention as a way to emphasize improvisation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audience without directing it according to the script created by the artist. Since the 20th century, performance have attracted attention for their performance that forms accidental and creative events, and co-creation has begun to demand new creative methods under the influence of performance art and contemporary social environment. However, in the 21st century, devising theatre are reinterpreted as a more open structure rather than denying the script. Since experimental plays based on these texts cannot already be explained only by the theory of postdramatic theatre, review and research are needed. Unlike traditional text-oriented plays, devising theatre that require co-creation focus more on exploring the diversity and spatial limitations of creative methods. In particular, today, when science and technology are rapidly growing, the theatre space is expanding into a virtual space as performances and media converge. Therefore, I think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new form of the devising theatre space combined with the technical method. The devising theatre space develops into a new empirical open space through spatial practice, not just a space that reproduces the play to induce sensory percep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space. The theatre space and the theatrical elements that exist in it interact to try a new creative method. This relational space goes beyond limitations and makes the audience have meaning in the process of gaining and perceiving new experiences through perception. Therefore, this proces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odern theatre space.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creation, devising theatre allow the audience to gain more experience by participating through their body and perception. Therefore, the director or writer achieves a complete energy cycle of the performance by paying attention to the audience's reactions to induce various situations in the performance. Since devising theatre start from creative sources such as various experiences and ideas of the members, the members influence th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ways of expression. Through this new creative method, the audience was liberated from the traditional role as a performance member and turned into an important dramatic element that could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play.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review the audience of the devising theatre. Devising theatre emphasize creating various possibilities of the play through exchanges between all members, including actors, writers, directors, and audiences. Members share experiences and ideas and recogni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the body's perception and behavior. Therefore, members create a new viewing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 and existence while exhibiting performance. Dramatic elements such as audiences, actors, and theatre spaces form relationships in one performance, form a community, and emphasize the creative characteristics of devising theatre. Therefore, today's performances are connected to the wider world without limitations, showing stronger vitality. Based on this, this study explores a new direction in the development of today's plays by studying a new theatrical creation method called devising theatre that emerged in the 21st century. The performance seeks various ways and constantly invites the audience to perform and strives to realize effective communication. By the 21st century, artists find their meaning through the expression of plays with themes closely related to them. Therefore, in modern plays, performances constantly stimulate the meaning and vitality of creation. In addition, the audience generates subjective meaning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ir body and other elements in the theatre spac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new spatiality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audience's body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space itself.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reative method created using space in a theatre environment that emphasizes performance, and also to examine the communication method that occurs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theatre space in the theatre space.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o help explore potential performance methods and new empirical theatre genres in the future. | 본 논문은 21세기 이후 활발히 발전하고 있는 디바이징 씨어터(Devising Theatre)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공연에서 관객들의 지각 경험이 형성되는 과정 및 관객과 공간의 상호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디바이징 씨어터는 전통 연극에서 고유한 의미를 전달하고 해석하는 방식보다는 과정 중심의 새로운 공연예술이다. 작가가 공연의 즉흥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주목을 받았다. 20세기 이후 공동 창작은 퍼포먼스 예술과 동시대 사회 환경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창작 방식을 요구하기 시작하였다. 21세기에 이르러 디바이징 씨어터는 대본을 부정하기 보다는 더욱 개방적인 구조로 재해석되고 있다. 이러한 실험적 연극은 이미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이론만으로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재검토와 연구가 필요하다. 텍스트 중심의 전통 연극과 달리 공동 창작을 요구하는 디바이징 씨어터는 창작 방식의 다양성과 공간적 한계를 탐색하는 데 더 중점을 둔다. 특히 과학기술이 급성장하는 오늘날 공연과 매체가 융합되면서 연극 공간은 가상공간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기술과 이를 활용한 시도로 결합된 디바이징 씨어터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디바이징 씨어터 공간은 관객과 공간의 감각적 인식을 유발하기 위해 단순히 연극을 재현하는 공간이 아니라 공간적 실천을 통해 새로운 경험적 열린 공간으로 발전한다. 연극 공간과 그 안에 존재하는 연극 요소들이 상호작용하여 새로운 창작 방식을 시도한다. 이러한 관계적 공간은 한계를 넘어 관객들이 지각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얻고 지각하는 과정에서 의미를 가지게 한다. 이러한 과정은 현대 연극 공간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또한, 공동 창작의 관점에서 디바이징 씨어터는 관객이 자신의 신체와 지각을 통해 참여함으로써 더 많은 체험 가능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연출가나 작가는 공연에서 다양한 상황을 유도하기 위해 관객의 반응에 주목함으로써 공연의 완전한 에너지 순환을 이뤄낸다. 디바이징 씨어터는 구성원들의 다양한 경험과 아이디어 등 창작 원천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구성원들이 각자의 표현 방식에 따라 공연에 영향을 끼친다. 이처럼 새로운 창작 방식을 통해 관객은 공연 구성원으로서의 전통적인 역할에서 해방되어 연극의 발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극적 요소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디바이징 씨어터의 관객에 대한 재검토는 의미가 있다고 본다. 디바이징 씨어터는 배우, 작가, 연출가, 관객 등 모든 구성원 간의 교류를 통해 연극의 다양한 가능성을 만들어내는 것을 중시한다. 구성원들은 수행성을 발휘하면서 행동과 현존 속에서 새로운 관람 관계를 창조한다. 관객, 배우, 연극 공간 등 극적 요소들이 하나의 공연에서 관계를 맺고 공동체를 형성하며 디바이징 씨어터의 창조적 특징을 강조한다. 그래서 오늘날 공연은 제한 없이 더 넓은 세계와 연결돼 더 강한 생명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21세기에 등장한 디바이징 씨어터라는 새로운 연극 창작 방식을 연구함으로써 오늘날 연극의 발전에 새로운 방향을 탐구한다. 21세기에 이르러 예술가들은 자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제로 연극의 표현을 통해 자신의 의미를 찾는다. 현대 연극에서 공연은 창작의 의미와 생명력을 끊임없이 자극한다. 또한 관객은 연극 공간에서 자신의 신체와 다른 요소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주체적 의미를 생성한다. 이에 공간 자체의 경계를 넘어 관객의 신체와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공간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수행성을 강조하는 연극 환경에서 공간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창작 방식에 대해 알아보고, 또한 연극 공간에서 수용자와 연극 공간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통 방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극의 잠재적 공연 방식과 새로운 경험적 연극 장르를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570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13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