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4 0

지역자산 기반 마을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Title
지역자산 기반 마을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mmunity Revitalization Plan Based on Local Assets
Author
문미경
Advisor(s)
김종걸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Recently, as interest in responding to local extinction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has increased, local community development based on regional capabilities is drawing attention, away from the existing top-down method or civil complaint-solving method. This study focused on the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ABDC) approach, and studied the possibility of regional revitalization by mapping assets held by the region, establishing relationships between assets, and strengthening local community capabilities. The government is attempting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by promoting regional revitalization projects such as rural revitalization projects, new deal projects, and new vitality projects, or financial support projects such as local extinction response funds. In particular, trial and error are repeated due to a lack of research on the analysis, organization, and system construction of local assets, regional characteristics, subjects, and local values that the community aims for. This study began with consideration about what conditions are needed to revitalize sustainable village communities in the region. Through case studies and analysis of village communities in Gyeongsangnam-do, which have used intangible local assets, including increasingly lost types of physical assets such as Terraced Rice Paddies, the conditions of activation in each village community were examined. Based on the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 theory, a process to discover and utilize local assets that can induce community cohesion was developed and analyzed as research questions such as leadership and trust to form relationships between assets, utilization of local bases, community capacity building. For the study, three cases of community operation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set in the study using Terraced Rice Paddies, a topographical characteristic of Gyeongnam, and in-depth interviews with community members and officials were conducted to study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community revitalization. Based on a five-step study of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 theory, theories on the concept and map of assets,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s between assets, strengthening community members' capabilities, and establishing visions and plans were studied, and a research model was presented based on the theory. In previous studies, the concept, value, and support system of Terraced Rice Paddies were analyzed, and the case of the Japanese Ohyama Terraced Rice Paddies Community was analyzed and studi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revitalizing the agricultural-based village community in Asia, focusing on the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 theory. The general status, regional asset checklist and guidance, characteristics and use cases of each local asset were studied for three village communities in Namhae-gun Donggo Dongrak Cooperative, Haman-gun Ara Seedry Community Farming Association, and Sancheong-gun Hwangmaegol Life Saving Farming Association.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analysis,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supplementing and differentiating the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 theory in this study. In order to revitalize the local asset-based village community, first, it was recognized that the process of selecting local assets that could be the center of the community was necessary by identifying the specificity or conditions of the communit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sset, such as the value, sustainability, and use of the business model,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be a means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other assets, create differentiated added value, and identify community capabilities. Second, it proposes establishing a reliable organization that can utilize local assets, forming leadership that leads the organization, and establishing a base for community activities. Even if valuable local assets exist, the value of local assets cannot be properly utilized without reliable local organizations and leaders who use them to present the vision and goals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leader's community organization, the talents of union members were discover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munity could be activated through a potential asset recognition process. In particular, communities with organizational power based on valuable assets and human talents in the region that disappear and disappear, such as Terraced Rice Paddies, can increase the possibility of using local assets through consignment management and oper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revitalize the village community, it was confirmed that a base space where union members can gather geographically within walking distance is needed. There was a space in each village community where you could feel intimacy and belonging, where you could share small daily lives of community members, exchange farming information, and discuss village work together. Through this space, community members recognized that it was possible to accumulate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belonging, and participation, and that it was necessary to form a base to share the vision, goals, and values of the community. Third, tangible and intangible local assets are the central point of community members,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ommunity can be activated by discovering assets that can provide a happy experience that members are interested in and like and satisfy their needs. This is because members' happy experiences with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can further increase the value of the asset by maintain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asset, linking it with other assets, and considering ways to maintain and preserve the asset. Through the happy experiences of members, it was analyzed that local assets can be recognized as unique assets that reflect their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identity. Fourth, it confirmed the need to establish satisfactory economic compensation or an economic virtuous cycle system based on community activities. The three village communities operate a business model based on local assets to provide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compensation, such as direct economic compensation for union members or conversion of union investment. In order to streamline economic benefits, the three villages continue to be community by utilizing social economic structures such as cooperatives and village companies. It was confirmed that it contributes to regional revitalization by solving community problems and supporting economic compensation to union members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as a local economic entity. It was confirmed that community members were passive in leaving the community or participating in community activities if they were not compensated for the input of labor or efforts. Finally, it is the granting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and the formation of networks so that community members can be proud of the community to which I belong to. Community members' pride and pride in the community can be the basis for gaining confidence and forming a network in external activities. By interacting and cooperating with other communities through their community participation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ipation of community activities can be increased by compar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community to which I belong and contribute to community revitalization through responsibility and belonging. To revitalize the resilient and resilient village community ecosystem,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existing ABCD theory to guide the deployment and management of physical local assets. Through community asset linkage, community leadership and trust.|최근 지방소멸 대응과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기존의 탑 다운방식이나 민원해결형의 지역발전방식에서 벗어나 지역이 가진 역량에 기반한 지역공동체 발전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산기반공동체발전(ABDC: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이론 접근방식에 주목하여 지역이 가지고 있는 자산들을 지도화하고 자산들간의 관계 구축, 지역공동체 역량강화를 통한 지역 활성화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정부에서는 농어촌활성화사업, 뉴딜사업, 신활력사업 등 지역활성화사업이나 지방소멸대응기금 등의 재정지원사업 추진을 통해 균형적 지역발전을 시도하고 있으나 지역공동체에 대한 이해나 역량을 간과하고 과정보다 성과 중심의 평가로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지역공동체가 정착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공동체가 지향하는 지역자산, 지역특성, 주체, 지역가치 등에 대한 분석과 조직화, 체계 구축 등에 대한 연구 부족으로 시행착오가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역에서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가 활성화되기 위해 어떤 조건이 필요한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점점 소실되어 가는 다랑논과 같은 유형의 물리적 자산을 포함하여 무형의 지역자산을 활용해 온 경남지역의 마을공동체 사례 연구 및 분석을 통해 각 마을공동체에 작동하고 있는 활성화의 조건들을 살펴보았다. 자산기반공동체발전이론을 기반으로 공동체의 결집을 유도할 수 있는 지역자산을 발굴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각 자산들간의 관계 형성을 위한 리더십과 신뢰, 지역거점 활용, 공동체 역량강화의 방식, 공동체의 지속성 유지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의 구축 및 경제적 보상, 선순환 체계의 구축, 외부 네트워크 연계 등을 연구의 질문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남의 지형적 특성인 다랑논을 활용하여 공동체를 운영하고 있는 3곳의 사례를 연구에서 설정한 기준에 따라 선정하였고, 공동체 조합원 및 관계자들의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공동체 활성화에 필요한 조건을 연구하였다. 이론고찰을 위해 자산기반공동체발전이론의 5단계 연구를 기반으로 자산의 개념과 지도화, 자산들 간의 관계 구축, 공동체 구성원의 역량강화, 비전 및 계획의 수립 등에 대한 이론을 연구하였고 이론에 근거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다랑논의 개념, 가치, 지원제도를 분석하고 아시아지역의 대표적인 농업기반 마을공동체 활성화 사례로 일본 오야마 다랑논공동체사례를 자산기반공동체발전이론을 중심으로 분석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기준에 적합한 남해군 동고동락협동조합, 함안군 아라씨앗드리공동체영농조합, 산청군 황매골생명살림영농조합 3곳의 마을공동체를 대상으로 자산기반공동체발전이론을 적용하여 일반현황, 지역자산 체크리스트 및 지도화, 각 지역자산의 특성 및 활용사례를 연구하였고, 마을공동체의 형성 및 지역이 당면한 문제, 공동체 역량강화를 위해 정보공유 및 거점의 활용, 공동체의 비전과 계획 수립 및 비즈니스 모델의 운영방식, 외부 네트워크 활용을 중심으로 문헌정보 및 심층인터뷰를 통해 공동체 사례를 연구 분석하였다. 사례 연구 분석의 결과, 본 연구에서는 자산기반공동체발전이론을 보완하고 차별화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지역자산 기반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첫째, 공동체의 특수성이나 여건 파악을 통해 공동체의 구심점이 될 수 있는 지역자산을 선정하고, 현황 파악, 자산 지도화 프로세스가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지역자산의 가치, 지속가능성, 비즈니스 모델의 활용 등 자산의 특성에 따라 다른 자산과 관계를 구축하고, 차별화된 부가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공동체의 역량을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지역자산 체크리스트 작성, 지역자산 지도화(asset mapping), 다른 자산과의 연계를 통해 지역자산 활용의 우선순위 결정, 효율적 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둘째, 지역자산을 활용할 수 있는 신뢰있는 조직 구축, 조직을 이끄는 리더십의 형성, 공동체 활동거점 구축을 제안한다. 가치있는 지역자산이 존재한다 해도 자산을 활용하여 공동체의 비전과 목표를 제시하는 신뢰할 수 있는 지역조직과 리더가 없다면 지역자산의 가치가 제대로 활용될 수 없다. 리더의 공동체 조직화를 통해 조합원의 재능을 발굴하고 잠재적인 자산 인식과정을 통해 공동체 활성화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다랑논과 같이 소멸되고 사라져가는 지역의 가치있는 자산 및 인적 재능에 기반하여 조직력을 갖춘 공동체가 위탁관리 및 운영을 통해 지역자산의 활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지리적으로 걸어서 닿을 만한 곳에 조합원들이 모일 수 있는 거점공간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공동체 구성원들의 사소한 일상을 나누고 농사정보도 교환하며 마을일도 함께 의논할 수 있는, 친밀감과 소속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 마을공동체마다 존재했다. 이 공간을 통해 공동체 조합원들은 신뢰, 소속감, 참여 등 사회적 자본축적이 가능했으며, 공동체의 비전과 목표, 가치관을 공유하는 거점 형성이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셋째, 유무형의 지역자산은 공동체 구성원들의 구심점으로 구성원들이 관심을 가지고 좋아하며 욕구충족이 가능한 행복한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자산 발굴을 통해 공동체가 활성화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성원들의 유무형의 자산에 대한 행복한 경험이 그 자산에 대한 지속성을 유지시키고 다른 자산과 연계하며, 자산의 유지와 보전을 위한 방법을 고민하여 자산의 가치를 더 높여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구성원의 행복한 경험을 통해 지역자산은 그 지역적 특성과 공동체의 정체성을 반영하는 독특한 자산으로 인식될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넷째, 공동체 활동에 기반한 만족할 만한 경제적 보상이나 경제적 선순환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세 개의 마을공동체는 지역자산에 기반한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하여 조합원의 직접적 경제적 보상 또는 조합 출자금 전환 등 직간접적인 경제적 보상이 이루어지고 있다. 세 마을은 경제적 이익의 효율화를 위해 협동조합이나 마을기업 등 사회적경제 구조를 활용하여 공동체성을 지속해 나가고 있다.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며, 지역 경제주체로서 공동체 활동을 통해 조합원에게 경제적 보상을 지원함으로써 지역활성화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공동체 조합원들은 노동력의 투입이나 노력한 댓가만큼 보상이 되지 않을 경우, 공동체를 탈퇴하거나 공동체 활동 참여에 소극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공동체 구성원들이 내가 속한 공동체를 자랑스러워 할 수 있도록 역할과 책임의 부여 및 네트워크 형성이다. 공동체 구성원들의 공동체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는 외부 활동에 있어서 자신감을 갖게 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 소속되어 있는 공동체 참여활동을 통해 다른 공동체와 교류하고 협력함으로써 내가 속한 공동체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공동체 활동의 참여를 높일 수 있고 책임감과 소속감을 통해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회복력과 탄력성이 있는 마을공동체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기존 ABCD이론을 보완하여 물리적 지역자산의 배치와 관리를 위한 지도화가 필요하며, 공동체 자산 연계를 통해 공동체의 리더십과 신뢰를 구축하여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고, 공동체의 역량을 강화하고 정보의 공유를 위한 거점공간을 구축하며, 공동체의 비전과 목표 수립을 통해 공동체 자산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 사회적경제 운영방식을 도입하여 안정적인 경제적 보상체계를 구축하고, 외부 자원 및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공동체 구성원들의 소속감과 자부심을 높여 나감으로써 지역공동체 활성화 및 지역발전을 견인해 나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763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61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S](국제학대학원) > GLOBAL SOCIAL ECONOMY(글로벌사회적경제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