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 0

도심지내 건설공사의 RISK 해결을 위한 BIM 적용 개선방안 연구

Title
도심지내 건설공사의 RISK 해결을 위한 BIM 적용 개선방안 연구
Other Titles
A reseach on the BIM application improvement plan to solve the risk of construction work in the urban area
Author
이혜주
Alternative Author(s)
Lee, Hye Ju
Advisor(s)
전한종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택지개발계획 수립 및 대규모 아파트건설공사 시행에 한계가 있어 부동산 정책 방향 또한 공공주도 3080+와 같은 도심복합개발 등 도심지내 공사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에 따른 건설공사의 다양화, 복합화, 공사난이도에 따라 효율적인 공사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도심지내 공사에서 발생이 예상되는 RISK 등 건설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 및 통합이 가능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이하, BIM)의 역할이 중요하다. 또한, BIM기술 정착을 위해 국내 공공공사의 의무적용 확대를 위한 로드맵 수립 등 지속가능하게 적용하고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을 기하고 있으며, 공공에서 발주되는 도심지내 건설공사의 RISK 등 건설관리를 위해 BIM 적용이 증가 할 것임을 시사한다. 현재 BIM 기술을 통하여 기본설계에서 실시설계의 연계로 설계의 정합성, 사업관리 측면에서의 사업 검토, 물량산출, 오류검토 등이 가능하다. 공공에서의 BIM활용을 통하여 기술의 안정적 정착이 될 수 있도록 현재 다양한 기술의 장점을 환류 중에 있으며, 시공단계에서의 건설관리에 다양한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이러한 장점과 활용 증대가 될 것임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실무자(전무가) 면담을 통하여 인식, 체감 효과에 대해 조사해본 결과 적용수준이 초기 단계에서 발전한 사항이 없고, 기본적인 사항에 대한 지침만 수립되어 있어 기술 정착을 위한 지침제공, 목적에 맞는 교육 등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존 연구동향은 BIM초기 단계는 설계단계에 대한 적용, 설계업무에 대한 효율화에 대한 연구결과가 있었으며 이후 시공단계 및 유지관리단계에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제시 되었다. 현 시점에서는 건설사업관리 전반의 단계의 BIM 적용이 실무사례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더 나아가 도심지내 RISK 저감을 위해 필요요소가 무엇인지 연구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수립하는 것에 대한 측면이 본 연구의 주를 이루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내 공사에서 사업관리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AS-BUILT의 지속가능한 기술로써 연계하여 건설기술의 정보화 관리 및 건설 진흥 등 지속가능한 기술 환경을 구축하는 것에 기여하고자 하여 도심지내 건설공사의 RISK를 저감을 위한 개선방안으로 업무 체크리스트를 개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과정 및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계별(설계, 시공, 유지관리) 및 건설사업관리 부문의 BIM적용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도심지내 건설공사 정의 및 한국토지주택공사의 도심지내(서울권) 건설공사 현황을 분석하고, 정부 정책 및 공공건설분야의 도심지내 건설공사 등 문헌조사를 통해 BIM 적용 동향을 파악한다. LH의 사업의 BIM 적용 입찰 안내서 등 프로세스 고찰하고, 선행연구 분석 및 문헌조사를 통하여 도입된 BIM의 특징 및 동향을 파악한다. 둘째, 공공(LH)에서 발주한 도심지내 건설공사의 계약상 BIM 관련 요구사항(입찰안내서) 등을 토대로 사례지구의 수행계획 및 BIM 적용 결과를 분석하여 활용정도를 파악하여 소결한다. 셋째, 실무자(전문가)의 면담을 통해 도심지내 건설공사의 효율적인 RISK 관리 및 저감을 위한 BIM의 필요요소를 분석 및 도출하고 분석하고, 면담 결과를 통한 기술 적용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넷째,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해 향후 연구 될 BIM 논문에 적극 활용 될 수 있도록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한다. 본 연구에서 체크리스트는 향후 공공공사에 도심지내 건설에서 합리적인 방향성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는데 의의가 있다. 해당 결과를 통해 BIM 적용수준을 향상 시킬 것으로 기대를 한다. 한편, 본 연구는 도심지내 공사로 한정지었기 때문에, 이외 공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규모 아파트 건설공사 이외 다가구 주택 등 매입임대아파트 공공리모델링 사업을 위한 건물 별 용도 및 특성에 맞는 적용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Recently, due to limitations in establishing a housing site development plan and implementing large-scale apartment construction, the direction of real estate policy is also increasing, such as urban complex development such as the public-led 3080+. Accordingly, it is the time when efficient construction management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diversification, complexity, and difficulty of construction work. The role of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hereinafter, BIM), which can efficiently manage and integrate construction information such as RISK that is expected to occur in downtown construction, is important. In addition, for the settlement of BIM technology, efforts are being made to apply and expand it sustainably, such as establishing a roadmap for expanding the mandatory application of domestic public works. It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BIM will increase for construction management such as risk of construction projects in downtown areas ordered by the public. Through the current BIM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onsistency of design, project review in terms of project management, quantity calculation, and error review by linking basic design to detailed design. Currently, the merits of various technologies are being refluxed so that the technology can be stably settled through the use of BIM in the public sector, and there are high expectations that various effects will appear in construction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stage. Despite these advantages and the expected increase in utiliza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cognition and experience effects through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executive directors), the level of application has not developed at the initial stage, Only basic guidelines have been established, so now is the time to provide guidelines for technology settling and training tailored to the purpose. As for the existing research trends, in the initial stage of BIM, there were research results on application to the design stage and efficiency of design work, and plans for revitalization in the construction stage and maintenance stage were suggested afterwards. At this point, we are researching how the application of BIM in the overall construction management stage is being used in practical cases, and furthermore, what are the necessary elements for risk reduction in downtown areas, The aspect of establishing an improvement plan that can utilize this was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Therefore, in this study, sustainable technology environment such as informatization manage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d construction promotion by linking with sustainable technology of AS-BUILT in the project management stage, construction stage, and completion stage in downtown construction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a work checklist for BIM improvement measures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checklis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reasonable direction in downtown construction in future public works. It is expected that the level of BIM application will be improved through the result. On the other hand, since this study was limited to construction in the downtown area, it is considered that additional research on other constructions is needed. In addition to large-scale apartment construction,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seek application plans suitable for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building for the public remodeling project for purchased rental apartments such as multi-family housing.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995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56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CIVIL AND LANDSCAPE ENGINEERING(건축ㆍ토목ㆍ조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