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4 0

지하층 해체 사례를 통한 해체 공법 고찰

Title
지하층 해체 사례를 통한 해체 공법 고찰
Other Titles
Construction method through the case of demolishing the basement
Author
남현욱
Advisor(s)
최창식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Since the boom of the construction market in the 1980s, many buildings, which were built at that time, are reaching a point of which their durability strength has deteriorated and demolition works are increasing. Accidents during demolition works are occurring more and more and it is time to need a safe demolition plan. Although there are related regulations and manuals of a demolition work for above-ground floors, there is no specific construction method and procedure for basements so that the structures would be in a blind spot. Therefore, this study is to categorize demolition plans depending on basement types of existing buildings and to establish demolition work procedures of each type, by collecting cases related to demolition plans for basements after Building Management Act Enactment and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1) Since 2020, the demolition-related regulations have been transferred from 「Building Act」 to 「Building Management Act」. Then,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distributed a manual for demolition plans, and based on it, local governments established specific criteria of safety management for demolition construction sites and applied them into practical implementation. (2) Most previous research only introduces demolition-related laws, suggests problems, and presents actual demolition work cas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approaches to the basement based on sufficient case studies. (3) This study collected about 150 cases of demolition plans in Seoul and it introduced 24 cases of basement demolition work cases. The demolition work procedure varied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ing structure and newly constructed structure. (4) This study categorized three types of demolition work for the basement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ing structure and newly constructed structure, which is related to a retaining wall. First, there is neither existing retaining wall nor newly constructed retaining wall (Type1) Second, there is no existing retaining wall but there is newly constructed retaining wall (Type2) Third, there is existing retaining wall and newly constructed retaining wall (Type 3) (5) In case of the Type 1, some part of the existing basement is preserved (retaining) or it is completely demolished even to the foundation. In the preservation case, although it is necessary to review its safety on the ground, there is no clear criteria on it.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completely demolish the basement, even to the foundation, so that it could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nsure stability of the ground. (6) In case of the Type 2, some problems like delaying construction schedule often occur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ing retaining wall and newly constructed retaining wall was not examined thoroughly and the demolition plans should be revised. Therefore,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ing retaining wall and newly constructed retaining wall, this study categorized the cases specifically. In case of the Type 2-1 that exterior walls of the existing basement are within the newly constructed retaining wall, newly constructed retaining wall is completed and then existing basements are demolished. When an under-ground exterior wall and a retaining wall are in distance, even if a newly constructed retaining wall is completed, it is necessary to examine safety on soil pressure of the exterior walls because soil pressure could affect the walls. In case of the Type 2-2 that exterior walls of existing basement overlap with newly constructed retaining walls, after installing temporary retaining walls in order to demolish existing external walls of the basement, basements are totally collapsed and backfilling is operated and then newly constructed retaining walls are set up. In case of the Type 2-3 that the exterior walls of the existing basement are outside the newly constructed retaining walls, the existing exterior walls, which are outside the newly constructed retaining walls, are collapsed or preserved (retaining). It is generally desirable to demolish an entire existing basement by examining conditions with adjacent buildings. (7) In case of the Type 3, since there is no prior examination on whether there are existing retaining walls or not in a demolition planning phase, there are a few cases. This study found a case of Type 3 that an expert operated technical examination by identifying existing retaining walls. When it comes to the Type 3, this study categorized cases as follows by identifying relationships between existing retaining walls and newly constructed retaining walls. In case of the Type 3-1 that existing retaining walls are within newly constructed retaining walls, the newly constructed retaining walls are conducted primarily. Since the newly constructed retaining walls could hold soil pressure, it is possible to demolish the inside structure more safely. In case of the Type 3-2 that existing retaining walls overlap with newly constructed retaining walls, after an expert examines the condition through drawings or on-site surveys, the existing retaining walls would be reused as newly constructed retaining walls or the entire basement is demolished. In case of the Type 3-3 that existing retaining walls are outside newly constructed retaining walls, some parts of existing retaining walls are preserved (retaining) or demolished completely. It is generally desirable to demolish entire existing retaining walls by examining conditions with adjacent buildings. This study suggests demolition work procedure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ype 3, but there are a few cases so that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8) This study expects that it would prevent negligent accidents by applying the basement procedure of each type (Type 1, 2, 3) into the demolition plan. (9) Currently, according to the domestic architecture administration, when a demolition work plan is presented, there is no separate classification between basements and above-ground floors, so that the demolition works have been conducted without demolition plans for basem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architecture registration records to separate and manage the demolition works of above-ground floor and basement by differentiating above-ground floor and basement for erasure. It is desirable that when submitting construction commencement reports for new construction projects, authorized people could check and review the demolition work of basement by connecting building registers on the basements. |우리나라는 1980년대 이후 건축 시장 붐이 있었던 이래로 지어졌던 건축물들은 현재 내구성이 저하되는 시점이 도래하여 신축을 위한 해체공사가 증가하고 있다. 해체공사 중 발생하는 사고는 점점 증가추세에 있으며 안전한 해체계획이 필요한 상황이다. 해체 관련 법규나 매뉴얼에서는 지상층에 대한 계획은 있으나 지하층에 대한 공사방법, 절차 등이 명확하지 않아 지하층 해체는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관리법 제정 이후 지하층 해체계획에 관한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기존 건축물의 지하구조물 유형에 따른 해체계획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해체공사 과정을 정립하고자 한다. (1) 해체관련법규는 2020년을 기점으로 「건축법」에서 「건축물관리법」으로 이전되었다. 이후 국토부의 국토안전관리원을 통해 해체 계획서 작성 매뉴얼을 배포하였고,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해체공사장 세부 안전관리 기준을 수립하여 이를 실무에 반영하고 있다. (2) 선행 연구는 해체 관련 법령 소개 및 문제점 제시, 현장에 적용된 해체 공사 사례 소개가 대부분이고, 충분한 사례를 근거로 한 지하층 해체 공사의 체계적인 접근은 없는 실정이다. (3) 서울시 해체계획 사례 150여개를 수집하여, 지하층 사례 24개를 대상으로 해체 공사를 소개하였다. 기존과 신축 지하층 관계에 따라 해체 과정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4) 지하층 해체공사 유형은 기존과 신축 흙막이 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째, 기존 흙막이가 없고 신축 흙막이가 없는 경우(Type 1) 둘째, 기존 흙막이가 없고 신축 흙막이가 있는 경우(Type 2) 셋째, 기존 흙막이가 있고 신축 흙막이가 있는 경우(Type 3) (5) Type 1은 기존 지하층 일부를 존치(사장)하거나, 기초까지 전부 해체한다. 존치하는 경우 지반의 안정성 확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에도 이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지하 구조물을 기초까지 전부 해체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지반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Type 2는 기존 지하 외벽과 신축 흙막이의 관계를 면밀히 검토하지 않아 해체 계획 재수립으로 인한 공기 연장 등의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Type 2의 경우 기존 지하 외벽과 신축 흙막이의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여 다음과 같이 세분화하였다. Type 2-1은 기존 지하 외벽이 신축 흙막이 내부에 있는 경우로서, 신축 흙막이 공사를 선수행한 후 기존 지하 구조물을 해체한다. 지하 외벽과 흙막이 간 거리가 떨어져 있을 경우 신축 흙막이 공사를 수행했다 하더라도 토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지하층 해체 계획 시 지하 외벽의 토압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Type 2-2는 기존 지하 외벽과 신축 흙막이가 중첩되는 경우로서, 기존 지하 외벽 외부에 해체를 위한 가설 흙막이를 설치한 후 지하 구조물 전부를 해체하고 되메우기한 후 신축 흙막이 공사를 수행한다. Type 2-3은 기존 지하 외벽이 신축 흙막이 외부에 있는 경우로서, 신축 흙막이 외부의 기존 지하 외벽은 해체하거나 그대로 존치(사장)한다. 인접 건물과의 영향을 조사하여 가능한 한 기존 지하 구조물 전부를 해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Type 3은 해체계획 단계에서 기존 흙막이 유무에 대한 조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사례가 적다. 조사된 Type 3 사례는 기존 흙막이를 확인하여 전문가의 기술적 검토를 수행한 경우이다. Type 3의 경우 기존 흙막이와 신축 흙막이의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여 다음과 같이 세분화하였다. Type 3-1은 기존 흙막이가 신축 흙막이 내부에 있는 경우로서, 신축 흙막이 공사를 선수행한다. 신축 흙막이가 토압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내부의 구조물을 보다 안전하게 해체할 수 있다. Type 3-2는 기존 흙막이와 신축 흙막이가 중첩되는 경우로서, 도면 및 현장조사를 통한 전문가의 검토 후 기존 흙막이를 신축 흙막이로 활용하거나 지하 구조물 전체를 해체한다. Type 3-3은 기존 흙막이가 신축 흙막이 외부에 있는 경우로서, 기존 흙막이 일부를 존치(사장)하거나 전부 해체한다. 인접 건물과의 영향을 조사하여 가능한 한 기존 흙막이를 전부 해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ype 3은 조사한 사례를 바탕으로 지하층 해체공사과정을 제안하였으나 사례가 적으므로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8) 지하층 해체계획 시 유형(Type 1, 2, 3)별 지하층 해체공사과정을 계획에 반영하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9) 현재 국내 건축 행정상 해체계획서 접수 시 지하층과 지상층을 따로 분류하지 않고 있어 지하층에 대한 해체계획이 누락된 채 해체공사가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지상층 해체와 지하층 해체를 이원화시켜 건축물대장 상 지상층 말소와 지하층 말소를 구분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는 신축 공사 착공 신고 시 지하층 건축물대장과 연동하여 지하층 해체에 대해 허가권자가 확인 및 검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560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53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CIVIL AND LANDSCAPE ENGINEERING(건축ㆍ토목ㆍ조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