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 0

LH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사례분석을 통한 실효성 확보에 관한 연구

Title
LH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사례분석을 통한 실효성 확보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ecuring Effectiveness of LH Job-Linked support Housing through Case Analysis
Author
김서진
Alternative Author(s)
Kim, Seojin
Advisor(s)
전한종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지속적인 부동상 시장의 전월세 상승에 따라 생애주기상 소득에 비해 주거비 부담이 큰 청년층을 대상으로 안정적인 주거환경과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2010년대부터 도입된 청년주거 지원 정책은 정부시책에 따라 수차례 명칭이 변경되어 현재는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사업으로 일원화되었다.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은 일반 공공임대주택과 달리 청년층(청년 창업인, 산업단지 및 중소기업 근로자)에 특화된 주거유형으로 오피스형 주택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인큐베이팅 시설 및 프로그램을 제공해주는 지원시설이 결합된 맞춤형 공공임대주택이며,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3.2천호를 공급했으며 2023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4천호 공급계획을 밝히며 본격 추진 중에 있다. 하지만 중앙정부 주도적 공급에도 불구하고 공가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정책 도입취지인 청년계층의 주거지원과 일자리창출을 위하여 개발하겠다는 주거+문화+일자리가 결합된 주거단지의 모습은 찾기 어려웠다. 또한 입주대상이 청년계층으로 특정되어 있는 반면, 주택은 기존 공공임대주택(행복주택)의 공급계층인 대학생, 사회초년생이 지원 가능한 소형평형을 준용하고 있고 부대복리시설 또한 법정 의무설치 시설만 설치하고 청년계층을 위한 특화시설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일반 공공임대주택사업과 차별성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지속가능한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정책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사업의 전반적인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기 준공된 단지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개선해야할 문제점을 도출해 실효성 확보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사업관계자들에게 청년주거지원 제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사업의 발전에 발판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 The youth housing support policy, which has been introduced since the 2010s to create a stable housing environment for young people, create jobs,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has been renamed several times in accordance with government policies and is now unified as a "job-linked support housing" project. Unlike general public rental housing, "job-linked support housing" is a customized public rental housing that creates jobs by combining office-type housing and incubating facilities and programs. From 2017 to 2021, it supplied an average of 32,000 rooms per year, and from 2023 to 2027, it is in full swing by announcing an average annual supply plan of 4,000 rooms per year. However, despite the central government-led supply, the number of empty houses is steadily increasing, and it is difficult to find a residential complex that combines housing, culture, and jobs to develop to support housing and create jobs for young people. In addition, even though the tenant class is designated as young people, the small scale of college students and beginners living in general rental apartments is applied, and additional welfare facilities are analyzed to be only legally mandatory installation facilities for young people.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overall operation status of the project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housing policy project to support sustainable job linkage, draws improvements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proposes measures to secure effectiveness. The goal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youth housing support system to business officials to pave the way for business development.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9016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51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CIVIL AND LANDSCAPE ENGINEERING(건축ㆍ토목ㆍ조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