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 0

디자인을 활용한 아동 창의교육 연구-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Title
디자인을 활용한 아동 창의교육 연구-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Creativity Education Using Design for Children -Focused on Lower Grades Elementary School Children-
Author
노승관
Keywords
Creativity(창의); Fluency(유창성); Originality(독창성); Design Process(디자인 절차)
Issue Date
2013-03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19, NO. 1, Page. 166-175
Abstract
디자인은 ‘창의적 문제 해결의 프로세스’로 발전되어 융합에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최근아동교육의 화두로 떠오른 ‘창의’의 실천적 방안으로교육과정에 디자인을 포함시키려는 시도는 이러한 맥락에서 자연스러운 것이다. 현재 현장에서 이루어지고있는 창의교육은 영재교육의 일환처럼 다루어지고 있으며 교육의 실제적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디자인을 이용한 창의교육이 이에 대한 하나의 답을 제시할 수 있다. 디자인프로세스는 시각적인 문제해결 방법으로서 피교육자에게 즉각적인 시각적 피드백과 재미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의 어떤 요소들에 디자인적 프로세스를 적용할 수 있는지 고찰하고, 그 요소들을 활용한 창의 디자인과제를 제작하여 그 효용성을 알아보았다. 먼저 디자인과정과 창의성 교육의 관계를 고찰하고, 창의와 디자인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제시된 단서를 표현하는 능력인 유창성과 주관적으로 상상해내는 능력인 독창성의 요소를 도출해내었다. 이를바탕으로 두 개의 창의 디자인과제 유형을 제작하였다. 다음, 두 가지 유형을 바탕으로 5문항의 설문형태로 변경하여 초등학교 1∼3학년 아동 1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유창성 평가에서 두 유형 모두 유창성에서 학년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유창성을 보였다. 독창성에서는 1번 문항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독창성점수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독창성 평가점수가 더 높았다. 유창성과 독창성의 상호 수행정도에서는 낮은 유창성-낮은 독창성 4%, 높은 유창성-높은 독창성3.8%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에서는 창의교육에 디자인 프로세스를 도입함으로서 감성 위주의 미술교육에서 종합적인 창의교육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 본 연구의 한계와 유창성과 독창성의 상호작용에 대하여논의하였다.;Design, as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has expanded it`s boundary and has become an integral part in convergence. It is natural to include design in practicing creativity education which has become the focal point in children education. But, what`s practiced in the field today titled as ``creative education`` could not fulfill it`s original purpose and narrowed it`s scope as education of gifted children. Creative education integrating design could give an answer for this problem. As a visual problem solving paradigm, design process offers learner an instant feedback and fun. This article studied that what areas in creativity could be enhanced with design process and created creative design tasks based on the study and tested it`s usefulness through task test method. First, the article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process and creativity education, then identified two key elements of fluency, ability to express based on given cues, and originality, ability to express based on imagination. From various creative design theories, we created two creative design task types. Based on two task types, we created five question test, applied it to 159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first grade to third grade and analysed the test. Result showed that in fluency assessment, no grade difference was found in grades in both types and female showed better scores than male participants. In originality, scores were lowered as grade goes up in question 1 and female showed better scores than male. In fluency-originality relation, 4% showed low fluency-low originality and 3.8% showed high fluency-high originality. In conclusion, limitation of this article which tried to find possibility of total creativity education with converging design process in creativity education of children were discussed and we addressed the need of detailed study of interaction between fluency and originality in creativity education.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4276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5509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