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 0

한(韓) 스타일을 활용한 홈인테리어용 텍스타일 제품 디자인 사례 연구

Title
한(韓) 스타일을 활용한 홈인테리어용 텍스타일 제품 디자인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the Textile Design Product for Home Interior Applied by Han Style
Author
엄경희
Keywords
Hanstyle; Textile Design; Traditional Pattern
Issue Date
2013-10
Publisher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Citation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 13, NO. 4, Page. 903-911
Abstract
정부는 2005년 이래 문화체육관광부를 주축으로 전통문화 콘텐츠의 생활화, 산업화, 세계화를 통하여 고용 및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국가이미지를 고양하려는 목적 아래 전통문화의 핵심이면서도 자생력이 부족하여 정부 정책화가 필요한 분야로 한글, 한식, 한옥, 한복, 한지, 한국음악의 6대 부문을 선정하였다. 또한 한스타일 이미지의 목적은 우리 문화를 대표하는 국가 브랜드이미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문화를 국가정체성의 차별 요소로 활용하고자 함이며, 많은 국가 및 도시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브랜드마케팅 전략의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한스타일 이미지 사례가 나타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텍스타일 분야에서 나타난 홈인테리어 디자인 제품에 적용된 한스타일 활용 사례를 조사 연구하였다. 한스타일 이미지를 통해 세계무대에서 경쟁력 있는 홈인테리어용 텍스타일 디자인 제품으로 경제적 부가가치와 고용의 창출을 거두기를 기대하며, 우리문화의 원천인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과 저변확대로 대중문화 위주인 한류의 지속적인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Since 2005,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under Korean government selected Hangul (Korean alphabet), Hansik(Korean cusine), Hanok(Korean traditional housing), Hanbok(Korean traditional clothing), Hanji (Korean traditional handmade paper), and Koran music as the fields that are on one hand the cor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on the other hand in need of government support, in order to create jobs and added value as well as to enhance Korea"s brand image through popularization, commerci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Moreover, the purpose of Hanstyle image was to give competitive advantage to the Korea"s brand in the global market, representing Korean culture. This was to utilize culture as the differentiation factor for the country"s identity, as such is being used as one of brand marketing strategies used by world"s many other countries and cities. Hanstyle image is reflected in various areas, and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Hanstyle is applied in textile. It is expected that Hanstyle is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dded value and jobs through commercialization of the core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at would appeal to the global market, as well as to attract interest and expand the base of traditional culture to help continuously spreading the Korean Wave, which currently is mainly about pop culture.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26565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5350
ISSN
1598-2319
DOI
10.17280/jdd.2013.13.4.088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JEWELRY & FASHION DESIGN(주얼리·패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