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 0

패션 이미지의 시각적 평가에 관한 연구-1950년대 할리우드 여배우를 중심으로-

Title
패션 이미지의 시각적 평가에 관한 연구-1950년대 할리우드 여배우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isual Evaluation of Fashion Images -Based on Hollywood Actress’ in the 1950s-
Author
이영재
Keywords
Actress(여배우); Fashion Image(패션 이미지); Visual Evaluation(시각적 평가); Fashion Style(패션 스타일)
Issue Date
2014-09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0, NO. 3, Page. 493-506
Abstract
본 연구는 1950년대 할리우드 여배우들의 이미지를정성적인 방법과 정량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패션스타일의 시각적 평가를 통한 객관적 결과를 도출하는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관련 단행본 고찰을 통한 정성적 연구와통계처리에 의한 정량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대상인 여배우들은 1950년대 영화에 나타난 할리우드 여배우들의 패션 스타일과 이미지 컷을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이들의 선정방법은 의류학과 디자인관련 전문인집단에서 선정된 응답자들에게 자유기술식으로 답하게한 후 제일 빈도가 높게 나타난 엘리자베스 테일러(Elizabeth Taylor), 마릴린 먼로(Marilyn Monroe), 그레이스 켈리(Grace Kelly), 오드리 헵번(Audrey Hepburn)4명으로 정하였다. 여배우 별로 각 각 20개씩 총 80장의 이미지 사진을 자극물로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자유연상법에 따라 형용사를 수집하여 총 20쌍의 형용사 쌍을 의미미분척도의 기준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패키지 (package)를 사용하여 주성분분석방법과 베리맥스(Varimax) 회전을 이용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즉, 여배우들에 부여된 변화요인에따른 패션스타일 이미지의 시각적 평가를 분석하기위하여 요인분석결과 얻어진 각 요인점수로 형용사쌍에 대한 일원변량분석과 쉐페(Scheffẻ)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요인점수가 높을수록 요인1은 부드럽고 여성적인 경향, 요인2는 화려하고 과장되고 풍성한 경향, 요인 3은 어리고 귀엽고 활동적인경향, 요인4는 매력있고 좋아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요인 1은 그레이스 켈리, 요인 2는 엘리자베스 테일러, 요인 3은 오드리 헵번, 요인 4는 마릴린 먼로 이다. 그 결과로 얻은 5개의 요인이전체 변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66.2%이며 이중에서경연성 요인, 현시성 요인이 공통변량의 67.9%를 차지함으로서 여배우 이미지의 의미공간 내에서 중요한차원임을 나타냈다. 정성적인 연구로 얻었던 각 여배우들의 이미지가 주관적이고 감성적이었던 반면 시각적 평가에 따른 정량적인 분석 결과 이전보다 객관적이고 다양한 요인들을 찾을 수 있어 과학적인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This study draws the objective results for visualimages of Hollywood actress’ fashion styles in the 1950sthroug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Various books are examined qualitatively, andstatistical process is performed quantitatively forHollywood actress’ fashion styles and image cutsappeared in the 1950s films. A group of students indepartment of fashion design answer to freely note, and,with high frequency of response, Elizabeth Taylor,Marilyn Monroe, Grace Kelly, and Audrey Hepburn arefinally chosen. Total 80 of image pictures(20 for each)are proposed. According to free association test, total20 pairs of adjectives are finally collected, and are downa survey to semantic deferential scale. Principalcomponent analysis method using SAS package andfactor-analyzing method using varimax rotation are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visual evaluation offashion style images according to change factorsassigned to actres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Scheffe test are performed for pairs of adjectives byfactor grades obtained from factor analyzing method. As a result, in higher factor grade, factor 1(GraceKelly) tends to be soft and feminine, factor 2(ElizabethTaylor) tends to be fancy, exaggerated and plentiful,factor 3(Audrey Hepburn) tends to be immature, cuteand active, and factor 4(Marilyn Monroe) tends to becharming and amorous. 5 of all change factors are66.2%, competition and showing of 5 change factors are67.9%. This shows that the semantic space is importantto Hollywood actress in the 1950s. Futhermore, a resultis obtained that the quantitative analysis could producescientific results giving more objective and variousfactors, while qualitative analysis could produce moresubjective and emotional factors.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1957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5319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JEWELRY & FASHION DESIGN(주얼리·패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