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 67

식민지 근대 부르주아의 표상의 정치학, 개벽사 『별건곤』의 ‘조선의 자랑’호 연구

Title
식민지 근대 부르주아의 표상의 정치학, 개벽사 『별건곤』의 ‘조선의 자랑’호 연구
Other Titles
Politics of representation of colonial modern bourgeois, ‘The Edition of Chosun’s Pride’ in 『Byeolgeongon』
Author
차혜영
Keywords
별건곤; 조선의 자랑; 1920년대 중반; 표상의 정치학; 문화적 권리; 자치론; 보편적 근대지; 시간적 연속체; 비교와 평등; 조선산 재산목록; The mid-1920s; Byeolgeongon; Chosun’s Pride; self-government; Politics of Representation; Temporal continuum; comparison and equality; property list made in Chosun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Citation
동아시아문화연구, NO. 58, Page. 43-86
Abstract
본고는 『별건곤』 1928년 ‘조선의 자랑’호의 조선표상의 정치학에서 “근대학지를 승인하기→문화(과거)를 정당화하기→현재(미래)의 권리를 상상하기”의 문법을 갖고 있으며 이 구도 속에서 문화, 과거, 조선이 핵심적 지위를 갖고 있음을 확인했다. 구체적 담론분석을 통해 2장에서 1. 과거․조선(특수)를 ‘근대적 知(보편)’의 체계로 질서화․범주화하는 방식, 2. 외국과의 비교를 통해 자기를 경계짓는 방식, 3. 우리의 문화․역사적 정체성을 통해 재산권을 유추하는 방식, 4. 우리의 다양성의 범위와 대표성을 표상하는 담론정치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별건곤』 ‘조선의 자랑호’ 기획에서 표상된 ‘조선-공통의 우리’는, 진보하는 시간, 미래로의 시간 속에 과거-현재-미래로의 발전론적 연속체 속에 자기를 준거시키고, 과거로부터 주어진 문화적 정체성을 근대 발전론적 주체가 갖는 재산권으로 전유하는 담론전략이라고 보았다. 또한 그 발전론적 주체가 그 문화적 권리를 근거로 부재하는 국가의 주권적 정당성을 상상해내는 표상의 정치학과 동전의 양면으로 함께 갖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런 권리(재산권과 주권)의 근거는 ‘제국의 근대지․보편의 학지’임을 자신의 문화적 정당성과 자본주의적 소유권으로 해석해내는 그들의 역동적인 전유의 정치학도 살펴보았다. 이는 1920년대 이전, 즉 1차 대전 이전 문명론이나 사회진화론적인 시간 따라잡기를 통해 자기를 세계 발전의 시간표 끝자락에 두는 사고방식과도 다르고, 1930년대 이후, ‘자기’를 비자본주의 비근대적인 정신적 상징이나 이미지에 두는 단군담론, 로컬리티로서의 조선적인 것, 여성적 심상으로서의 조선적인 것과도 다른 지점을 살필 수 있었다. 그러나 역동적인 언표적 좌표계의 단절과 전환의 전략은, 동시에 1925~1928년 식민지 조선의 부르주아 민족주의 미디어 기획이라는, 구체적인 역사적 상황 속에서 또다른 정치학이 관철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1925년, 1928년 자치론이 처음 점화된 직후, 그리고 두 번째 자치론이 재점화된 직후~신간회에 참여했던 시기로서, 조선 사회 담론장에서 통일전선, 연합, 대동단결이 화두가 된 시점이다. 자치론과 『별건곤』 조선의 자랑호를 병치해서 해석한 결과, 분열의 가시화, 통합이 시대의 아젠다가 된 시점에서, 이들은 조선의 문화적 고유성과 문화적 독립성, 그리고 당대 그 시점에서 조선인이 가진 재산목록, 그리고 그 재산의 진정한 소유주로서 품성을 조선적 자랑으로 설득하는 표상의 정치학, 담론적 정치학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The 94 articles from ‘The Edition of Chosun’s Pride’ published in 1928 in 『Byeolgeongon』 have been dealt with by interpreting our real boundary through the issues: 1. Who we are (historical legitimacy and cultural uniqueness), 2. We have the right (right to equality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s), 3. What it is that we have (claim of ownership according to the right), and 4. Who our representative is. This allowed us to examine the other points, which are different from a way of thinking of putting ‘oneself’ at the edge of timetable of the world development through catching up with the time of the civilization or social darwinism before the First World War, or from the Dangun, locality, feminine imaginary of comparing ‘oneself’ to non-utility, non-capitalist, and non-modern mental symbols after in the 1930s. The ‘Joseon-we in common’ stressed out in those articles shows us a discourse strategy of comforting oneself in the time progressing and the time in the future, i.e. into the development theory continuum to the past-present-future, and of appropriating the cultural identity given from the past with the property owned by the subject of the modern development theory. At the same time, the subject of the development theory has the face and back of a coin. In other words, it is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of imaging the sovereign legitimacy of a nation (ethnic), which is absent on the ground of cultural rights. For the ground of such rights(property right and sovereignty), their dynamic appropriation of politics have been examined, which interpret ‘imperial modern knowledge’ and ‘universal academic knowledge’ as their cultural legitimacy and capitalistic ownership. However, this strategy of severance and transition of the dynamic locutionary coordinate allowed us to find out that another politics in specific historical circumstances is realized, which is the plan of bourgeois nationalist media of colonial Korea from 1925 to 1928. The period was over the time shortly after the self-government theory was ignited first in 1925 and secondly in 1928. It was the time when the topic of the united front, coalition, and mass-unity was raised in the Joseon social discourse. The analysis of the ‘self-government’ theory and of ‘The Edition of Chosun’s Pride’ in 『Byeolgeongon』 as well revealed that at the time when the contemporary split was visualized and the integration became the agenda of the times thereof, they were performing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and the discursive politics to persuade Koreans to regard the cultural uniqueness and independence of Joseon, the list of properties owned by the Koreans at that point of the contemporary, and the character as the real owners of those properties, as the pride of Joseon.
URI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190418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5194
ISSN
2383-6180
DOI
10.16959/jeachy..58.201408.4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KOREAN LANGUAGE & LITERATURE(한국언어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11926_차혜영.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