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 0

키오스크의 타일구조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공사 무인안내 시스템 중심으로 -

Title
키오스크의 타일구조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공사 무인안내 시스템 중심으로 -
Other Titles
A Research On Tile-Structured Interface of Kiosk -Focused on Korea Tourism Organization Unmanned Guiding System-
Author
김성훈
Keywords
Kiosk(키오스크); Interface(인터페이스); Tile Structure (타일구조); Usability(사용성)
Issue Date
2013-03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19, NO. 1, Page. 429-436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키오스크의 인터페이스가 넒은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공통성이나 범용성을 지닐 수 있는 가이드라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xbox360,Windows Phone, Windows 8 사례를 통해 타일 구조인터페이스 특징이 키오스크에서 적합한지를 연구하고타일구조로 되어 있는 한국관광공사 무인안내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규칙적인 인터페이스 요소는 확장성이 뛰어나며 정보인지에 기여 할 수 있었고 콘텐츠의 추가나삭제가 용이하며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서 다양하게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선택 영역을 크게 활용 할 수 있어 주목성과가독성이 매우 높았는데 이것은 키오스크의 목적에긍정적이며 콘텐츠 성격에 따라 타일 안에 다양한 시각적 요소를 효과적으로 표현 할 수 있다. 셋째, 터치스크린이 제공하는 조작방법(상하스크롤,좌우 스크롤, 터치, 드래그)이 타일구조에서는 용이하였으며 특히 스마트 폰에 익숙해진 사용자들에게는매우 친숙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타일의 크기에 비해 실행 전 사전 정보를제공하지 못하는 점과 터치스크린에 익숙하지 않은사용자들에게 인터페이스 조작방법에 대한 안내가 부족한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키오스크의 용도, 스크린의 화면크기, 사용대상, 설치 장소 등 여러 가지 환경적인 요인을 분류해 특징에 따른 타일구조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분석은 본 연구에서는 충분히 다루지 못하였고 결론을 통해 타일구조 인터페이스가 키오스크에 가장 적합하다고 할수 없지만 앞으로 대중화된 키오스크에서 사용성에대한 근거와 표준제시를 위한 연구가 많이 필요 할것이며 본 연구도 관련분야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있을 것이라 사료된다.;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xbox360, Windows Phone, Windows 8 to figure out if the characteristics of tile-structured interface is appropriate for kiosk as there is need of guideline with community or generality for applying the interface to broader area. The results of analysis on tile-structured interface of kiosk (unmanned guide system of Korea Tourism Organization are as follows. Firstly, regular interface is very expandable, can contribute to catching information and, makes it easy to delete or add contents and can be arr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level of importance of the information. Secondly, the selected area can be utilized to large extent therefore the levels of attractiveness and legibility are very high. This aspect gives positive influence on kiosk and visual elements can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feature of the content. Third, the controls of touch screen (up-down scroll, left-right scrolls, touch, drag) has been found to be appropriate for the tile-structured interface and this is very friendly especially for smart phone users. However, it cannot provide information in advance as much as the size and the guide on touch screen is not enough for the ones who are not accustomed to the method. The usability of tile-structured interface has not been dealt enough in this research taking into account environmental elements including usage of kiosk, screen size, user and installation place. Further, the tile-structured kiosk may not be the best option for kiosk but there needs to be further research on usability of kiosk, evidence and standard need to be suggested. Finally, this research would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4278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957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