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 0

스마트월 기반 공간디자인을 위한 영상콘텐츠 서비스 프로세스 확장 연구

Title
스마트월 기반 공간디자인을 위한 영상콘텐츠 서비스 프로세스 확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ervice Process Extension of Video Content for Smart Wall-Based Space Design
Author
김성훈
Keywords
Smart Wall; Service Process; Video Content; Experience Expansion; 스마트월; 서비스 프로세스; 영상 콘텐츠; 경험 확장
Issue Date
2022-01
Publisher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Citation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v. 78, Page. 133-142
Abstract
본 연구는 공간을 구성, 구분, 연결하는 물리적 벽면을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스마트미디어 기술과 IoT, 대형디스플레이 기술을 접목하여 사용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변화를 가져올 스마트월(Smart Wall)의 활용성 향상을 위한 영상콘텐츠 서비스 적용 방안에 대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론적 배경의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스마트월 기반공간 유형을 사용자의 접점(Point), 경로(Line), 영역(Area) 공간으로 분류하고 서비스경험 확장요인으로 상징성, 정보성, 개방성, 상호작용성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각 공간 유형과 요인에 따라 영상 콘텐츠의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 및 통계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포인트 유형에서는 상징성, 라인 유형에서는 상호작용성, 에어리어 유형에서는 정보성이 유의한 경험 확장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상징성 경험요인에서는 감성적 가치, 정보성 경험요인에서는 사회적 가치, 개방성 경험요인에서는 감정적 가치, 상호작용성 경험요인에서는 성과적 가치가 가장 유의한 지각된 가치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추후 스마트월 기반 공간의 디자인에 있어 영상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방안의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This study is about the application of video content service to improve the usability of smart wall. The smart wall will bring changes to the user's lifestyle by combining smart media technology, IoT, and large display technology. Through previous research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smart wall-based space types were classified into user's contact point, line, and area space. Factors of symbol, information, openness, and interaction were derived as expansion factors of service experience. The effect of each spatial type and factor on the perceived value of video content was analyzed through questionnaire and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in the service contact type, symbol was the main factor, and in the path type, interaction was the important factor. In the domain type, information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of experience extension. In the symbolic experience factor, emotional value came out as a significant factor, and in the information experience factor, social value appeared as a value factor. In the open experience factor, emotional value appeared as a meaningful factor, and in the interactive experience factor, performance was the most significant value factor.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as a data for a plan for design of video content service for smart wall-based space.
URI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93139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923
ISSN
1976-1562
DOI
10.25111/jcd.2022.78.0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