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 0

타투이스트와 토탈 패션제품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사례 연구

Title
타투이스트와 토탈 패션제품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f Collaboration between Tattoo Artist and Total Fashion Product Brand
Author
이형규
Keywords
Tattoo(타투); Tattoo Artist(타투이스트); Collaboration(콜라보레이션); Total Fashion product Brand(토탈 패션제품 브랜드)
Issue Date
2022-03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8, NO. 1, Page. 367-379
Abstract
본 연구는 타투이스트와 토탈 패션제품 브랜드와의협업 제품들의 사례들을 조사하여 패션 시장에게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에 대한 예시 제공 및 타투의 예술적 가치에 대해 알리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타투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현대 타투에 대한 인식 변화, 그리고 현재 토탈 패션제품 브랜드와의콜라보레이션 제품 사례들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타투에 대한 이론적 배경 조사 후, 타투이스트들과토탈 패션제품 브랜드들의 콜라보레이션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이들을 우선 크게 의류, 액세서리 총 두 분야로 나누고, 그 안에서 세부적으로 표현방법, 소재, 적용된 타투의 종류에 대해 분류하였다. 재료는 보통패브릭, 가죽⋅인조가죽이 주된 재료였고, 제품에 타투이스트들의 일러스트를 인쇄하거나 일러스트 모양대로 자수를 놓거나 원단에 조각을 하여 제품에 입체감을 주었다. 그리고 타투이스트가 사람에게 시술하듯제품의 원단에 타투 머신으로 일러스트를 작업하여한정판으로 제품을 출시하는 경우도 있었다. 연구 결과로 첫째, 패션 분야에만 국한되지 않고 액세서리, 화장품 등 다양한 범위의 콜라보레이션 제품사례들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들어가는 타투이스트의 패턴에 특별한 의미를 담아제품의 차별성 및 특별화를 주었다. 셋째, 다양한 소재에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여 일반적인 제품과 같이 패턴을 인쇄시키거나 실제 피부와 같은 효과를 주기 위해 피부색과 유사한 원단에 프린팅을 하는 등다양한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가 향후 타투이스트들의 작품이 더 많은 대중들에게 알려져 타투에 대한 인식 개선과 타투의 예술적 가치 인정 및 다양한 콜라보레이션 제품 생산의예시를 브랜드에게 제공하는 것을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se of collaboration between tattoo artist and total fashion product brand, provide various examples of collaboration in the fashion market and tell about the artistic vaulue of tattoo. Thus, we investigated the theoretical study of tattoo, the change in current perception of tattoo, and the examples of collaboration products with total fashion product brands. After investigat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attoo, we investigated the collaboration between tattoo artist and total fashion product brand. First, we divided them into two categories: clothing and accessories, and categorized them into expressions, materials, and types of tattoo. Fabric, leather and artificial leather are the main materials, and the products are printed with tattoo artist illustrations, embroidered in the shape of illustrations, and cared into fabrics to give a three-dimensional effect. In some cases, tattoo artist illustrated the fabric of the product with a tattoo machine and released it as a limited edi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 was able to see a wide range of collaborative product cases such as accessories and cosmetics, not limited to the fashion field. Second, it gave the product discrimination and specialization with a special meaning to the pattern of tattoo artist entering the collaboration product. Third, different materials are expressed in various ways, and patterns are printed like general products, or printed on fabrics that resemble at skin color to give the same effect as actual skin. This study hopes that future tattoo artist works will provide brands with examples of increasing public awareness of tattoo, recognizing the artistic value of tattoo, and producing various collaborative products.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04927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907
ISSN
1598-6497
DOI
10.18208/ksdc.2022.28.1.36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JEWELRY & FASHION DESIGN(주얼리·패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