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 0

대중교통 전광판의 효율적인 인포그래픽 개선을 위한 연구 -지하철ㆍ버스 승강장을 중심으로-

Title
대중교통 전광판의 효율적인 인포그래픽 개선을 위한 연구 -지하철ㆍ버스 승강장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Efficient Infographic Improvement of Electronic Display Board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Focused on the Bus and Subway Plattform-
Author
송지성
Keywords
Electronic Display Board; Public Transportation; Infographic; 전광판; 대중교통; 인포그래픽
Issue Date
2012-09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18, NO. 3, Page. 252-261
Abstract
현대의 대도시는 높은 인구밀집도와 유가상승으로인해, 승객들의 이동을 신속하게 처리하는 버스ㆍ지하철에 대한 의존도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으며, 버스나지하철 이용 시 원활한 정보제공을 위해 승강장에 있는 전광판1)을 통하여 도착안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중교통 전광판의 인포그래픽 개선을위한 논문으로서 대중교통 전광판의 인포그래픽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대중교통 전광판의 인포그래픽중에서도 버스와 지하철 승강장을 중심으로 전광판을분석하였다. 인포그래픽의 이론적 고찰과 버스와 지하철 승강장 전광판의 인포그래픽 현황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살펴보고, 버스와 지하철의 전광판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례 연구에 있어 주요 내용은 전광판 인포그래픽의 시각구성요소 중 서체, 색상, 레이아웃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지하철과 버스의 승강장 전광판의비교 분석을 통해 인포그래픽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대중교통 전광판의 인포그래픽에 관련한 연구논문 및 단행본, 관련기관인 서울도시철도와 서울메트로, 버스정보시스템의 자료를 바탕으로 활용하였다. 최근 스마트폰, 태플릿 PC 등의 보급화가 급속도로확산되면서 버스ㆍ지하철에 대한 각종 운행 정보들을스마트 기기를 통해 얻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버스ㆍ지하철 전광판으로 표현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던 부가적인 정보들까지 제공되고 있지만 스마트 기기에서정보를 얻지 못하는 이용자들은 여전히 승강장 전광판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대중교통 전광판의 인포그래픽 개선을 위한 연구로서 대중교통 전광판의 인포그래픽의 현황을 살펴보고 지하철과 버스승강장을 중심으로 전광판을 비교분석해 봄으로서 대중교통 전광판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지하철과 버스 전광판의 인포그래픽을 비교분석해본 결과 각 시도별ㆍ공사별 운영체제가 다르기 때문에 전광판의 도착 안내 정보의 시각적 요소들은 통일성 없이 제공되고 있다. 지하철 전광판의 경우 광고의빈번한 노출로 인하여 이용자들은 열차의 도착 안내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받지 못하고 있으며, 각 지역별, 호선별 사용되고 있는 서체 및 서체 크기, 색상,레이아웃이 제 각각 다르게 표시되고 있어 이용자들에게 혼선만 일으킬 뿐 정확한 정보 제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중교통 승강장 전광판의 정보는 남녀노소 누구나 이해하기 쉽고,정확한 정보가 제공 되어야 하며, 가독성과 통일성을고려한 정보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Due to the high-density population in major urban cities today, more and more people are starting to rely on the bus and subway systems for prompt transportation service to and from work. Bus and subway stations are now providing Arrival Information through Destination Equipment posted in bus and subway station platform for passengers. This research paper is about the improvements of info-graphic in public transportation billboards. I focused on analyzing the billboards of public transportations such as bus and subway. I approached the info-graphic problem through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info-graphic and analysis of the bus and subway platform billboards. Case studies include theses following contents: typography, color and layout. I drew the info-graphic improvements by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latform of the subway and bus billboards. For my own research method, I referred back to other research studies done on Info-graphics, such as books, data from Seoul Metro, Bus information system, and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Recently, the rapidly increasing popularity of portable intelligen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has made it much easier to obtain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bus and subway systems. While such electronic products have made it much easier to access the supplemental information, the people who do not have access to such devices had no choice but to check the departure times in an old fashion way. The following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iveness of the info-graphics displayed at various bus stops and the subway platforms and extract the problems that it has, in terms how effective it is at serving the public eye, then find out ways to improve and fixate such issu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displays on the electronic info-graphics were ineffective due to the fact that the information was not carried out in a public-friendly way. First of all, the fac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ways each platform, within the different areas, displayed their information was a huge error. The information that was carried out had no sense of uniformity and on top of that issue, the different platforms and bus stops used their own size, color, font, as well as the order of information and only caused a mass confusion amongst the public eye. The conclusion to our study is that the info-graphics, meant to inform the public eye, should be designed in such a way that every person could easily absorb the information effectively and within a short amount of time.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4266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882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