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 0

현대 장신구의 아방가르드적 성격에 대하여- 페터 스쿠비치, 하이스 바커, 루트 페터스를 중심으로 -

Title
현대 장신구의 아방가르드적 성격에 대하여- 페터 스쿠비치, 하이스 바커, 루트 페터스를 중심으로 -
Other Titles
On the Avantgarde Feature of Modern Jewelry - Peter Skubic, Gijs Bakker & Ruudt Peters -
Author
이광선
Keywords
Peter Skubic; Gijs Bakker; Ruudt Peters; 페터 스쿠비치; 하이스 바커; 루트 페터스
Issue Date
2013-03
Publisher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Citation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 11, NO. 1, Page. 67-80
Abstract
이 논문은 현대 장신구의 아방가르드적 특성을 페터 스쿠 비치, 하이스 바커, 루트 페터스의 장신구의 분석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20세기 초에 나타난 역사적 아방가르드 운동은 그때까지 터부시된 주제와 소재, 작업방식으로 자신의 반-예 술을 탄생시킴으로써 전통의 예술을 총체적으로 부정하면서 의식의 혁명을 노린 운동이었다. 위의 세명 역시 각각 자신의 독자적인 장신구 컨셉을 통해서 기존의 장신구에 대한 아방 가드르적인 변화와 혁신을 꾀한다. 스쿠비치는 장식기능에 국한되었던 장신구를 디자이너의 심미관이 표현되는 독자적 인 예술매체로 이끌어올린다. 그가 장신구를 통해서 표현했 던 것은 바로 장신구 정체성의 전복이었다. 전통적 장신구의 착용성, 가시성, 물질성, 아름다움 등은 사진 장신구, 피부 밑 의 장신구, 바늘, 톱 장신구 등으로 표현된다. 하이스 바커는 곧바로 장신구의 정체성을 의문시하지는 않고, 장신구의 착 용성을 장신구의 본질로 여기고 있지만, 기존의 장신구 통념 으로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그림자 장신구, 프로필 장신구, 턱받이 장신구 등으로 아름답고 장식적인 기존의 장신구를 패러디하고, 특정 사회현상에 대해 아이러니컬한 비판을 가 한다. 페터스는 자신을 장신구 디자이너나 예술가가 아니라 전통의 금은세공사로서 이해하지만, 그 역시 아름다운 장식 기능을 지니고 착용자의 겉모습만을 치장해주는 기존의 장신 구에 대한 강한 반감을 표명한다. 그는 장신구에 이전과는 완 전히 다른 장식 기능을 부여한다. 그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마모되고 변질되는 소재로 만들어진 장신구로 허망함과 노화 를, 즉 착용자의 인생사를 표현한다. 뿐만 아니라 특정한 컨 셉에 따른 기획적인 장신구가 아니라 그때그때의 작업에서 우연적인 형태를 취하는 장신구를 만들어내는데, 이로써 장 신구의 형태는 극히 기형적이고 추한 형태를 띤다. 결론적으 로 위의 세명 모두는 기존의 장신구에 관한 통념을 바꾸는 장 신구를 만들어내는데, 이들의 아방가르드적이고 혁신적인 메 시지는 스쿠비치의 경우에는 장신구 정체성 자체, 바커의 경 우는 장신구 형태, 페터스의 경우는 아름다운 장식 자체의 공 격에 담겨있다. 무엇보다 부인할 수 없는 이들의 아방가르드 적인 면모는 기존의 사고에 대한 도전이다. 장신구의 형태, 그것이 전달하는 메시지, 기능성과 연관해서 부정을 통해서 이들은 터부시된 것들을 끌어들이면서, 과감한 혁명성과 혁 신성을 보여준다.;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avantgarde featture of m odern jewelry with analysis of the works of Peter Skubic, Gijs Bakker and Ruudt Peters. The historic Avantgarde in the early 20th century was a revolutionary movement of consciousness through negating the traditional bourgoi se art in whole and arousing their anti-art into practice by using the topics, materials, and techniques which had been tabooed before. The three jewelry designers mentio ned above were also trying avantgarde subversion and re novation of the existing jewelry with their own jewelry concepts. Skubic sublimates the jewelry from the decorat ive function to an art medium, in which the aesthetic idea s of the designers can be expressed. What he intends to testify with his jewelry is nothing but the subversion of the jewelry identity. The portability, visibility, materiality and beauty of the traditional jewelry are attacked with hi s photo jewelry, jewelry under the skin, needle- and saw-jewelry. Even if the identity of the jewelry is for Bakker out of the question and therefore he regards the portabilit y as the substance of the jewelry, he parodies the beautif ul and decorative traditional jewelry with his hardly imag inable shade jewelry, profile jewelry and bib jewelry, and exerts an ironic criticism on certain social phenomenon. Peters does not consider himself as a jewelry designer no r jewelry artist, but as a traditional goldsmith. Nonethele ss he clearly expresses his strong hatred against the trad itional jewelry that adorns only the exterior appearance o f the wearer with the beautiful decorative function. He gi ves the jewelry a completely different function of decorat ing. He represents with the jewelry made out of material s which can be changed and rubbed over time the vanish ment and the process of aging, namely, the life story of the wearer. Furthermore, he makes no conceptual jewelry in a consistent way of working, but those, which take ra ndom shapes by inconsistent manual working, thus have a grotesque and ugly look. To sum up, the above mention ed three jewelers produce such jewelry that undermine th e existing general concept of jewelry, and their avantgar de subversive messages are each expressed in the attack against the traditional identity of the jewelry (for Skubi c), the shapes of the jewelry (for Bakker) and the beautif ul adornment (for Peters). Above all, the avantgarde feat ure of their jewelry consists in attacking the given ideas. Through the very negation in relation to forms, message s and functionalities of jewelry and the introduction of th e hitherto taboo in the jewelry shows their jewelry a bold Revoltion und Innovation
URI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19652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810
ISSN
1738-0863
DOI
10.18852/bdak.2013.11.1.6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JEWELRY & FASHION DESIGN(주얼리·패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