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 0

박경리의 '토지'에 나타난 숭고미

Title
박경리의 '토지'에 나타난 숭고미
Other Titles
The Sublime in Park Kyoung-Ni's 『Toji』
Author
이재복
Keywords
숭고; 생명사상; 반생명; 가족이데올로기; 불연기연; 동학; Sublime; Thought of life; Anti-life; Family ideology; Bul-yeon-gi-yeon; Donghak
Issue Date
2013-12
Publisher
우리말글학회
Citation
우리말글, NO. 59, Page. 363-396
Abstract
박경리의 《토지》는 숭고미의 한 경지를 보여준다. 이 소설의 숭고미의 토대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작가의 ‘생명사상’이다. 이 생명사상은 윤씨 부인, 서희, 용이, 구천이, 별당아씨, 월선이 등 소설의 주인공들의 의식과 무의식의 심층에 자리하면서 이들의 태도와 행위를 결정한다. 작가의 인간과 세계 이해의 중심에 생명이 존재하면서 그것은 다른 가치, 이를테면 혈연과 체면을 중시하는 가문 이데올로기, 변화와 생성이 부재한 수구적 보수주의, 개인 중심의 이기주의, 인간에 대한 냉소와 환멸로 가득한 허무주의 등과 같은 반생명적인 것에 저항하고 그것을 해체한다. 소설 속 주인공들을 통해 표현되는 생명의 서사는 ‘토지’ 혹은 ‘땅’이라는 질료가 잘 말해주고 있듯이 그것은 ‘빛과 어둠’, ‘웃음과 눈물’, ‘한숨과 환호’, ‘천상과 지상’, ‘이승과 저승’, ‘환상과 현실’, ‘주관과 객관’, ‘주체와 타자’를 아우르는 ‘그늘’의 세계에 닿아 있다. 이것은 작가가 세계를 이분법적이고 변증법적인 논리를 통해 이해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넘어 동학의 불연기연의 논리라든가 불교의 상생과 상극 같은 우리의 사유 체계 안에서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토지》 전편을 압도하는 숭고함은 생명, 그늘, 한, 신명, 삭힘과 같은 논리 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것은 이 소설의 깊이, 넓이 그리고 높이를 더해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소설 미학의 독창적이고 숭고한 경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해석은 《토지》를 지나치게 서구의 이론, 특히 서구의 역사주의적이고 리얼리즘적인 서사론에 입각해 이해하고 판단하는 것에 대한 비판과 반성의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위대한 소설은 그 안에 웅숭깊은 사상을 담지하고 있으며, 이런 점에서 《토지》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생명사상은 근대 이후 전통에 대한 허약성과 전망에 대한 부재라는 우리 소설의 문제점과 한계를 넘어 설 수 있는 어떤 희망적인 대안을 담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소설《토지》가 표상하는 과거의 전통과 현재 그리고 미래의 전망으로서의 서사는 그것이 생명 혹은 생명사상을 토대로 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와 의미를 더해준다. 이 사실은 《토지》를 이루는 각각의 생명의 주체들이 새로운 발견과 탐색의 대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토지》에 대한 연구는 바로 이렇게 각각의 생명의 주체들과 그것이 어우러져 이루는 전체 생명 간의 관계와 그 의미에 대한 발견과 탐색으로부터 출발해 야 할 것이다.;Park Kyoung-Ni"s 『Toji』shows a state of the sublime beauty. What works as a foundation of the sublime in this novel is the writer"s ‘thought of life’. As the thought of life lies in characters" deep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such as Mrs. Yoon, Seohee, Yongi, Gucheoni, Byeoldang Asi, and Wolson, it decides their attitude and behavior. As the life exists in the center of the writer"s thought about human and world, it resists and deconstruct anti-life, such as family ideology, blood and honor-oriented, conservatism without change and creation, individual-centered egoism, and nihilism filled with cold smile and disillusion about human. As the materials, ‘Toji’, and ‘the earth’ explain enough well, the narrative about a life expressed by the characters in the novel reaches a world of ‘shadow’. The world encompasses ‘light and darkness’, ‘laugh and tears’, ‘sigh, and hurrah’, ‘the heaven and the earth’, ‘this life and the other life’, ‘fantasy and actuality’,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and ‘the subject and the object’. It is not because the writer understands the world with dichotomous and dialectical logic, but she is beyond it. She thinks everything in oriental thinking system such as a paradoxical logic ‘Bul-yeon-gi-yeon’ in Donghak, and coexistence and incompatibility in Buddhism.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33097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624
ISSN
1229-9200
DOI
10.18628/urimal.59..201312.36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KOREAN LANGUAGE & LITERATURE(한국언어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