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 0

한·일 한자어 접미사 「~風」의 의미적 결합관계에 관한 연구

Title
한·일 한자어 접미사 「~風」의 의미적 결합관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emantic Combination of the Suffix i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Focused on 「fu, 風」
Author
이강민
Keywords
suffix; semantic combination; 「fu; 風」; 접미사; 의미적 결합; 「풍」; 「風」
Issue Date
2014-09
Publisher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Citation
비교일본학, v. 31, Page. 191-205
Abstract
본고는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접미사 「-風」이 결합하는 연체수식구조의 용례를 통하여 후행어기 N2의 의미 분포와 접미사 「-風」의 의미 범주를 관련지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본어와 한국어의 용례를 각각 추출하여 N2의 의미 분포를 분석한 결과 「요리」「인물」「음악」항목이 양국 간 빈도 수가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세 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일부 용례를 제시하여 한국어와 일본어 속에서 「-風」이 어떠한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차이점을 지니는지 비교․대조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요리 항목에 있어서는 일본어가 한국어보다 높은 결합도를 보였으며 「-風」의 의미 범주 또한 ①양식, 분위기를 첨가하는 용법과 ②비유적인 용법 등 다양하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인물 항목에서는 일본어와 한국어가 공통적으로 「-風」이 비유의 용법으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음악 항목에서는 한국어가 일본어보다 높은 결합도를 보였으며 이는 특정 가수나 곡명에 「-風」을 붙이는 구조가 일본어에서는 드물게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아직 한국어와 일본어 사이의 「-風」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며 유사한 의미 범주를 가지고 있는 양국의 「-風」에 대한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started to contemplate the semantic categories of Chinese character suffix 「fu」 in terms of semantic combination from the adnominal modifier constructions i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Analyzing semantic categories of the following base(N2) from examples of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it was verified that there are the differences in terms of frequency of items of food, person and music between the two countries. With this three items as the cente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fu」 i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were attempted to compare. As a result, in the fields of food, the degree of combination in Japanese were higher than Korean. Also, it was determined that semantic categories of 「fu」 are shown in two different usage, ①adding the form or atmosphere, ②metaphorical expression. In the fields of person, 「fu」 is used in the usage of metaphorical expression in comm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n the fields of music, the degree of combination in Korean were higher than Japanese. This is assumed that the structures combining 「fu」 with the specific singers or title of songs are rarely appear. It has not been studied on 「fu」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t can be said that it is a meaningful attempt in terms of comparative study on 「fu」 that have the similar semantic categories.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33554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494
ISSN
2092-5328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JAPANESE STUDIES(일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