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8 0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에서의 도전적 연구개발 촉진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Title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에서의 도전적 연구개발 촉진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Author
박주이
Advisor(s)
김태윤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에서의 도전적 연구개발 촉진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로서 연구자의 도전적 연구개발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R&D 전주기 프로세스에 대한 진단과 실효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현행 국가 R&D 기획, 선정, 평가·관리·보상체계에서 도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연구자가 도전적 연구를 수행하도록 유인하려면 어떻게 연구개발 제도가 설계되고 운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목표설정, 동료평가, 리스크 관리, 인센티브를 중심으로 연구자의 동기를 고려한 제도 개선방향에 대해 분석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개발 제도가 잘 설계되었더라도 제도가 정책수혜자인 연구자의 동기를 유발하지 못한다면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심도 있는 분석을 위해 양적, 질적 분석방법을 모두 활용하는 혼합연구방법 중 Creswell의 설명적 순차설계 모델을 사용하였다. 도전적 연구개발 촉진을 위한 제도, 동기, 지속의도 간의 관계 구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전적 연구개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핵심 요소와 연구자의 동기에 대해 검토하였다. 혁신 활동은 연구자가 직면하는 제도적 문화와 인센티브 구조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목표설정, 동료평가, 리스크 관리, 인센티브의 4가지 요소를 도전적 연구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적 수단으로서 파악하고 기존 선행연구 및 이론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내 도전적 연구개발 촉진 제도의 변천과 최근 동향을 파악하고, 도전적 연구개발 촉진 제도를 통해 성과를 내고 있는 선진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전적 연구개발 촉진 메커니즘에 관한 분석 모형을 설계하였다. 다음으로 정책수혜자 그룹인 연구자를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수행하고 설문조사 및 통계분석을 통해 계량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제도를 독립변수로 동기를 매개변수, 지속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국가 R&D사업의 도전성 강화를 위해 연구자의 도전적 연구개발 수행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제도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제도가 연구자의 도전적 연구개발 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외부기관으로부터의 리스크 관리, 비금전적 보상, 목표의 난이도, 목표의 측정가능성, 동료평가의 정확성 측면에서의 제도 개선 논의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수혜자 및 정책공급자 대상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고 질적 분석을 통해 도전적 연구개발 촉진 제도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국가 R&D 제도를 기획, 선정, 평가·관리, 보상의 단계별 핵심 제도 요인 별로 세분화하여, 각 요인이 연구자의 도전적 연구개발 수행동기와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진단함으로써 실증분석 결과를 실효적인 개선방안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전적 목표설정 유도를 위하여 현재 최고 기술수준과의 비교를 통해 목표의 도전성을 검증하는 방식을 도입하고, 연구 수행 과정에서도 목표를 조정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야 한다. 둘째, 동료평가를 통해 주류 연구방법론은 벗어나는 제안은 선정되기 어려운 특성을 이해하고,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제도적 대안 조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PM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PM과 연구자의 상호작용을 통한 리스크 식별 과정에서 도전적 연구의 결과물로서 실패 데이터와 과정상의 산출물이 축적될 필요가 있다. 넷째, 도전적 연구개발 프로그램의 참여 인센티브로서 연구자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고성과에 대한 금전적·비금전적 보상을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는 목표설정, 동료평가, 리스크 관리, 인센티브로 한정함으로써 그밖에 도전적 연구개발 촉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영향변수들을 포함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도전적 연구 지원에 대한 성과 및 효과성 분석까지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데에 연구의 한계가 있으나, 국가 R&D사업에서 도전적 연구개발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원인을 밝히고 이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수단과 제도 설계를 위한 학술적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국가 연구개발사업에서의 도전적 연구개발 프로그램의 의미와 역할을 연구자의 동기와 지속의도, 제도 간의 관계 구조에서 재발견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최근 과학기술기본법 상에 도전적 연구개발 촉진 관련 조항이 신설됨에 따라 제도의 현장 착근 가능성과 개선방향에 대해 시의성 있게 논의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진다. |As a study on the mechanism for promoting challenging R&D in national R&D projects,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R&D process and suggest effective improvement plans to encourage the challenging R&D activities of researchers. In other words, it trie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challenges in current national R&D planning, selection, evaluation, management, and compensation system, and to analyze how the R&D system should be designed and operated to induce researchers to conduct challenging research.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tically identify the direction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considering the motivation of researchers, focusing on goal setting, peer evaluation, risk management, and incentives. For in-depth analysis, Creswell's explanatory sequential design model was used among mixed research methods that utiliz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Firs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four key factors―goal setting, peer evaluation, risk management, and incentives―that affect challenging R&D activities and the motivation of researchers were reviewed. Since innovation activities were influenced by the institutional culture and incentive structure faced by researchers, the four elements were identified as strategic means to promote challenging R&D. Preceding research and theories were reviewed as well. In addition, the changes and recent trends of the domestic challenging R&D promotion system were grasped, and the advanced cases that achieved results through the challenging R&D promotion system were analyzed. Based on this, an analysis model for promoting challenging R&D was designed. Next, a survey was conducted on researchers and a group of policy beneficiaries, and quantitativ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in a way that could motivate researchers to perform challenging R&D to strengthen the challenge of national R&D projects by setting motiv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continuation intention as a dependent variable. For the system to positively impact researchers' intention to continue challenging research and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discuss system improvement in terms of risk management from external institutions, non-monetary compensation, the difficulty of goals, the measurability of goals, and the accuracy of peer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olicy beneficiaries and policy provider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system improvement plans were deriv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challenging R&D promotion system. The national R&D system was subdivided into key institutional factors for each stage of planning, selection, evaluation/management, and compensation. Also, the impact of each factor on the researcher's motivation to perform challenging R&D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was analyzed. Through thi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were linked to effective improvement plan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o induce challenging goal setting, a method to verify the challenge of the goal through comparison with the current highest technological level should be introduced, and the goal should be allowed to be adjust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Seco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ifficulty of selecting proposals that deviate from mainstream research methodologies through peer review and prepare alternative institutional measure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rd, a systematic risk managemen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centering on the PM (Project Manager). In the process of risk identification through interaction between PM and researcher,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failure data and process outputs as an asset of challenging research. Fourth, as an incentive to participate in challenging R&D programs, the autonomy of researchers should be guaranteed, and monetary and non-monetary rewards for high performance should be strengthened. This study was limited to goal setting, peer evaluation, risk management, and incentives, so it did not include various influencing variables tha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motion of challenging R&D. Although there is a limit to the study in that the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the support for challenging research has not been don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failure of challenging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national R&D project and to design policy tools and systems to promote it. It gives relevance to this research as it tried to rediscover the meaning and role of challenging R&D programs in national R&D projects from the researcher's motivation, continuation inten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itutions. In addition,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discussed, timely, the practicality and implications of the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institutions, of which a new provision relevant to the promotion of challenging research and development was established.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359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43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CIENCE-TECHNOLOLY POLICY(과학기술정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