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5 0

중정형 공동주택의 최적 공간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Title
중정형 공동주택의 최적 공간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Other Titles
Influencing Factors of Optimal Sense of Space in Courtyard Apartment
Author
김태욱
Alternative Author(s)
Kim, Tae Wook
Advisor(s)
황희준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중정형 공동주택에 관한 건축·도시 계획가들의 관심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인간에게 충분한 공간감을 제공하는 규모에 대한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인간은 건축물이 주변을 둘러싼 형태에 심리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과 인간의 관계에서 적절한 규모를 파악하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중정형 공동주택의 규모를 산정하는 기본계획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각-인지 이론과 인간척도의 개념에 대한 고찰로 공간감의 조작적 정의를 내리며, 인간척도와 관련이 깊은 논의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공간감을 구조화하였다. 두 가지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선행 연구의 한계점을 도출하였으며, 인간척도의 감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선정하였다. 이에 시·지각을 통한 공간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VR을 적용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공간감은 중정의 폭과 둘러싼 건물 높이의 조합으로 구축된 30개의 실험 모델을 기준하여 자신에게 적절한 규모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차 실험은 중정형 공동주택 1개 도면을 통하여 가상공간을 모델링 하였다. 공간감을 통해 인간에게 적절한 중정형 공동주택의 규모와 입면 요인(창문과 발코니)이 공간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2차 실험은 물리적 요인(필로티와 개방의 정도)이 공간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SPSS를 활용해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1차 실험의 결과로 인간에게 최적 공간감을 제공할 수 있는 중정의 폭과 이를 둘러싼 건물의 높이 비율은 존재하며, 입면요인인 창문과 발코니는 공간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차 실험의 결과를 반영한 2차 실험의 결과는 물리적요인인 필로티와 개방의 정도는 공간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물리적 요인이 적용된 면적이 높을수록 최적 공간감을 제공하는 폭과 높이의 비율은 줄어들 수 있는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1980년대부터 점진해온 인간적 척도를 갖는 규모의 논의를 재실험하기 위하여 3차원 공간에서 연속적으로 지각하는 공간감을 측정하였다. 인간이 자신의 신체와 비교해 보았을 때 적절하다고 느끼는 ‘최적 공간감’을 제공하는 중정의 폭과 건물의 높이는 현재 법규상에서 제시된 인동간격의 기준을 맞춰주는 것만으로는 충족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체의 형상이 시·지각에 지배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중정형 공동주택 계획 시 다른 요인보다 전체의 형상에 초점할 필요성이 있다.| Architects and urban planners' interest in courtyard apartment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but the scale that provides a sufficient sense of space to humans has not been identified. Humans beings are greatly influenced psychologically by the shape surrounding a build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e-design guidelines for estimating the size of courtyard apartments by identifying the appropriate siz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ildings and humans and analyzing influencing factors.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sense of space was given by considering the perception-cognition theory and the concept of human scale, and the sense of space was structured based on discussions and previous studies closely related to the human scale. Through two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were derived, and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sense of human scale were selected. Accordingly, an experimental study using VR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sense of space through visual perception. The sense of space was measured by selecting the appropriate scale for oneself based on 30 stimuli models construc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width of the courtyard and the height of the surrounding building. In the first experiment, a virtual space was modeled through one plan of a courtyard apartment. Through the sense of space, it was analyzed whether the size and elevation factors (windows and balconies) of courtyard apartment suitable for humans affect the sense of space. In addition, the second experiment was statistically verified using SPSS to analyze whether physical factors (piloties and degree of openness) affect the sense of space. As a result of the first experiment, there is a ratio between the width of the courtyard and the height of the buildings surrounding it, and the elevation factors, windows and balconies, did not affect the sense of space. The results of the second experiment, which reflectied the results of the first experiment,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factors Piloties and the degree of opening influenced the sense of space, and the ratio of width and height that provide the optimal sense of space could decrease as the area to which the physical factor is applied is higher. This study measured the sense of space perceived continuously in three-dimensional space to re-experiment discussions on a scale with a human scale that has been gradual since the 1980s. It can be seen that the width of the courtyard and the height of the building, which provide an "optimal sense of space" that humans feel appropriate compared to their own body, are not satisfied just by matching the standards for the distance between buildings presented in the current law.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shape of the whole acts dominantly on visual perception, so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shape of the whole over other factors when planning a courtyard apartment.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384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36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