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1 0

COVID-19 상황에서 임부가 지각한 스트레스가 후속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COVID-19 상황에서 임부가 지각한 스트레스가 후속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stress perceived by pregnant women on subsequent childbirth inten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Author
박길순
Advisor(s)
이여진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e COVID-19 situation, it has been found that pregnant women are concerned about their health and their embryos’ health, and that they stress out and fear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ccording as restrictions on daily life increase due to the current prolonged COVID-19 crisis, COVID-19 clearly have negative effects on individuals’ mental health, as shown in increasing people who complain of anxiety and depression resulting from the experience of a sense of alienation, a sense of isolation, and a sense of social estrangement. Also, COVID-19 greatly heightens economic and psychological anxiety in society at large, forcing people to defer or cancel marriage and childbirth decision. Therefore, for maintaining the sustainable growth of our economy, it is necessary to step up policy response that can restore positive marriage and childbirth behaviors among young people, from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spects. Henc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vide help in overcoming the low birth rate, by grasping stress factors perceived by pregnant women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pregnant women’s general characteristics, confirming factors that influence subsequent childbirth intention, and then ultimately seeking support methods for enhancing pregnant women’s subsequent childbirth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effects of stress perceived by pregnant women in the COVID-19 situation on their subsequent childbirth intention. First, 231 pregnant women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highest level of education, employment), economic resources characteristics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individual psychological values variables (religion, marriage satisfaction, the number of children)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COVID-19 stres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ubsequent childbirth intention as a dependent variable, respectively. As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25.0.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religion, the number of children, a current plan for pregnancy, and difficulty in social distancing and anger against others among COVID-19 stress a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In the case of those with a religion, planning pregnancy in advance according to a plan for pregnancy had effects on subsequent childbirth intention, and so it was confirmed that sufficient communication with a spouse before marriage and the sharing of a view of children acted as important motivation for decision on subsequent childbirth. In addition, it was found from this study that COVID-19 stress influences subsequent childbirth intention. Specifically,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stress under the COVID-19 situation, particularly, difficulty in social distancing and anger against others was, the lower the subsequent childbirth intention was. Strict social distancing enforced by pandemic policy in the pandemic situation is probable to aggravate parents’ burden of raising children due to restriction on the use of childcare center, thereby lowering subsequent childbirth intention. In addition, anger against people failing to keep social promise for the control of the pandemic, combined with the existing anger of young people against the society, hinders the linkage of marriage,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thus it is supposed that COVID-19 stress further lowers subsequent childbirth intention. The findings fragmentarily imply that at the macro level, the pandemic policy of social distancing appropriate for pregnant women’s families and parents who raise children, all citizens’ compliance with pandemic prevention rules, and the country’s pandemic control ability may influence pregnant women’s subsequent childbirth intention. |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임부들은 자신의 건강과 태아의 건강에 대해 염려하고 COVID-19 팬데믹 상황에 대해 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두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일상생활의 제약이 커지면서, 소외감, 고립감, 사회적 단절감 경험에 따른 불안감, 우울감을 호소하는 사람이 증가하는 등 코로나는 개인의 정신건강에 확연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COVID-19의 경우 사회 전반의 경제적·심리적 불안을 크게 고조시키면서 혼인·출산 결정을 연기 혹은 취소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경제·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젊은층의 혼인·출산 행태를 긍정적으로 되돌릴 수 있도록 정책 대응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임부가 지각한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과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것이 후속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한 후, 궁극적으로 임부의 후속출산의도를 높일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저출산 극복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목적은 COVID-19 상황에서 임부가 지각한 스트레스가 후속출산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먼저, 임부의 COVID-19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후속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한다. 구체적으로 231명의 임부를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연령, 최종학력, 취업여부)와 경제적 자원 특성(월평균가구소득), 개인의 심리 가치관적 변인(종교, 결혼 만족도, 현재 자녀수)을 통제 변인으로, COVID-19 스트레스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후속출산의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t-검정(t-test)과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종교, 현재 자녀 수, 현재 임신의 계획 여부, COVID-19 스트레스 중 사회적 거리두기 어려움과 타인에 대한 분노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종교가 있는 경우, 현재 임신의 계획 여부에 따라 임신을 미리 계획했던 경우 후속출산의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결혼 전 배우자와 했던 충분한 의사소통과 자녀관에 대한 공유는 후속출산을 결정하는 중요한 동기로 작용했다. 또한 본 연구는 COVID-19 스트레스가 후속출산의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COVID-19 상황에서 심리적 스트레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어려움과 타인에 대한 분노가 높을수록 후속출산의도를 낮추었다. 감염병 유행 상황에서 감염병 정책으로 인한 엄격한 사회적 거리두기는 어린이집 이용 등의 제한과 관련하여 부모의 양육 부담을 가중시키고 이는 후속출산의도를 낮출 가능성이 있다. 또한 감염병 유행을 억제하기 위한 사회적 약속을 지키지 않는 사람들에 대한 분노는 기존의 한국 젊은 층이 갖고 있던 사회에 대한 분노와 더불어 결혼·임신·출산의 고리를 연결하지 못하게 하여 COVID-19 스트레스는 후속출산의도를 더욱 낮추는 것으로 생각된다. 거시적으로 임부 가정과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에 대한 적절한 사회적 거리두기 감염병 정책 그리고 전 국민의 감염병 예방수칙의 준수, 국가의 감염병 통제 능력은 임부의 후속출산의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단편적으로 시사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412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31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