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4 0

지방정부의 감정노동 보호제도 확산

Title
지방정부의 감정노동 보호제도 확산
Other Titles
Expansion of Emotional Labor Protection System in Local Government
Author
오지은
Alternative Author(s)
OH, Ji Eun
Advisor(s)
이석환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has a purpose to confirm whether a policy, which focuses on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system in basic local governments, spreads as well and to verify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olicy spread. This study set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policy, which was analyzed, as institutionalized cases under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Ordinance. This study set a data period from 2016 when the ordinance was first enacted to 2022. This study confirmed the policy expansion through charts and graphs of cumulative adoption rate of the ordinance. It verified factors to influence policy expansion by dividing them in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is study tried to verify whether local governments are influenced by inherent attributes of social factor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factors, and political factors or they are influenced by external attributes of which upper local governments enact the ordinance or the other local governments enact the ordinance, when they introduce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ordinance. As an analysis method, this study used Event History Analysis (EHA), which is widely utilized in policy expansion research, and it set three research models that are internal determinant factor model, a regional expansion model, and a national expansion model and then it analyzed influential factors.   This study, using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had major analysis results as follows. Since the graph of cumulative adoption rate of each local government introducing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ordinance showed S shape, this study could verify it is a policy expansion phenomenon. As a result of analyzing influential factors of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ordinance, the political factor is a significantly positive (+) factor to influence enact of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ordinance among internal factors, which is a size of population that is the number of people, indicating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which is one of the political ideology of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facto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factors, the financial independence ratio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 effect. When it comes to female population ratio as a social factor, this study expected that the more female population is the higher possibility of enacting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ordinance, but as a result of analysis, it has partially statistically negative (-) effects. In terms of the external factors, they all have sta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that the ordinance enact of the upper local governments, which is set as a vertical element, the ordinance enact of the other basic local governments in the same province, and the nationwide proportion of ordinance enact, which are set as horizontal elements. In addition, 16 provincial local governments out of 17 local governments set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ordinance. In each province unit, the average proportion of enacting the ordinance reaches about 55%. Therefore, it could be verified that introduction of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ordinance is more hugely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s than the possibility of introduction by internal factors.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vered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policy, which has not been frequently researched in prior research and is needed to be researched. Second, this study helps to improve institutional recognition of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policy and interests in emotional labor. Third,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on nationwide basic local governments that prior research dealing with policy expansion has not covered. Fourth, it is highly possible to introduce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policy due to external elements. In terms of the internal factors, this study could find that it is highly possible to introduce the policy as the political ideology of heads of local governments is more progressive and size of local governments is larger. In other words, expansion of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policy could be highly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s like political situations, and the possibility is relatively low to introduce the policy depending on policy consumers.  However, limitations of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regarding significance together simultaneously, and it is possible to consider follow-up research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necessity of the policy through detailed review on policy consumers, which is an influential factor to expansion of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ordina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on the realization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policy along with identifying influential factors of the policy expansion. It could be expected that studies would verify effects of the policy on individuals and corporations by dividing it into public and private sectors or studies could review effectiveness of the policy depending on policy implementation methods and period.  Keyword : Emotional labor, Emotional labor protection system, Policy diffusion, Event History 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기초 지방정부의 감정노동 보호 정책을 대상으로 정책확산 여부를 확인하고 정책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이 되는 감정노동 보호 정책은 감정노동 보호 조례로서 제도화된 경우로 하였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조례가 최초로 제정된 2016년부터 2022년까지로 설정하였다. 정책확산 여부는 조례의 누적 도입률에 대한 도표와 그래프를 통해 확인하였고, 정책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내부요인과 외부요인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지방정부가 감정노동 보호 조례를 도입함에 있어 사회적 요인, 행․재정적 요인, 정치적 요인이라는 고유한 속성에 영향을 받아 채택하는지 상위 지방정부의 조례 제정 여부, 타 지방정부의 조례 제정 여부 등 외부요인의 영향을 받아 정책을 채택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은 정책확산 연구에서 널리 활용되는 이산시간 사건사분석(Event History Analysis, EHA)을 활용하였고 내부결정요인 모형, 지역확산 모형, 전국확산 모형이라는 세 가지 연구 모형을 설정하여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계량적 방법을 활용한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정노동 보호 조례를 도입한 각 기초 지방정부의 누적 도입률에 대한 그래프는 S자 형태를 나타내고 있기에 정책확산 현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감정노동 보호 조례 확산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내부요인 중 감정노동 보호 조례 제정에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친 변수는 정치적 요인으로서 단체장의 정치 성향과 행․재정적 요인 중 하나인 지방정부 역량을 나타내는 인구수 즉 인구 규모이다. 반면 행․재정적 요인에서 지방정부의 재정자주도의 경우 유의미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요인으로서 여성인구 비율은 여성인구가 많을수록 감정노동 보호 조례 제정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일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외부요인에서 수직적 요인으로 설정한 상위 광역 지방정부의 조례 제정 여부, 수평적 요인으로 설정한 동일 광역 지역 내 기초 지방정부의 조례 제정 비중, 전국 기초 지방정부에서 조례를 제정한 비중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광역 지방정부 17곳 중 16곳이 감정노동 보호 조례를 제정하였고 각 광역 단위별 평균 조례 제정률은 약 55%에 이른다. 결과적으로 감정노동 보호 정책은 내부요인에 의한 도입 가능성보다 상대적으로 외부 요인으로 인한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종합적인 분석 결과에 따른 연구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감정연구에서 자주 다루지 않았고 앞으로 연구가 필요한 감정노동 보호 정책에 관한 연구인 점이다. 둘째, 감정노동 보호 정책에 대한 제도적 이해를 높이고 감정노동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었다. 셋째, 정책확산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자주 다루어지지 않은 전국의 기초 지방정부를 대상으로 계량적 분석을 진행한 연구라는 점이다. 넷째, 감정노동 보호 정책은 외부 요인으로 인한 도입 확률이 높다는 점이다. 추가적으로 내부요인 중 단체장의 정치 성향이 진보적이고 인구 규모가 큰 지방정부일수록 도입 가능성이 크다는 결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감정노동 보호 정책의 확산은 정치 상황 등 외부 환경적 조건으로 인한 영향을 크게 받으며, 정책수요자에 의한 도입 영항력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본 연구의 의의는 연구의 한계점을 고려해야 하며,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를 검토할 수 있다. 첫째, 감정노동 보호 조례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특히 정책수요자 집단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를 통해 정책 필요성에 대해 제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책확산에 대한 영향요인을 밝히는 데에서 나아가 감정노동 보호 정책의 실효성과 효과성에 관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개인과 기업에 미치는 정책의 영향 정도를 검증하거나 정책 실행 방식과 시행 기간에 따른 효과성을 검토하는 연구를 기대해볼 수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202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22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PUBLIC ADMINISTRATION(행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