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3 0

가족 돌봄 청년의 실태분석과 지원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가족 돌봄 청년의 실태분석과 지원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Support System for Young Carer
Author
박현열
Alternative Author(s)
Park, hyun yeoul
Advisor(s)
이석환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upport system and policy preparation for this by analyzing the reality and problems of 'family caring youth', which is rapidly increasing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we review our country's cases, and through them, we synthesize the tasks currently given to our society, compare and review them with foreign cases, and develop the necessity of preparing Korea's 'family caring youth'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of support systems. Suggestions were made. In this study, precedent research on family caring young people was first conducted through a domestic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accordingly, the current status of 'family caring young people' and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upport system were presented to fi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is purpose, the actual conditions, support systems, and cases of foreign family caring young people in relation to family caring young people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current laws and support systems in Korea were analyzed, and problems caus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s were analyzed. Finally, a summary and polic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young people who care for families in Korea. Although the problem of young people taking care of family is currently increasing as the low birth rate and population aging become serious, first, the social awareness of the problem is rather low. Second, there is currently no proper child support system. Third, economic support is not properly implemented due to legal and institutional blind spots. Fourth, there is no academic support system that considers the support of young people. Fifth, at the limit of the employment support system, caring young people living in the age of 100 are in a very harsh reality and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following should be impro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family care youth. first. The problem of young people caring for their families is related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As the problem of low birth rate and population aging becomes more serious, the number of young people who care for their families and their personal burdens will increas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and to address these factors gradually together over a long period of time. Second, a clear definition of the concept and legal basis for domestic family caring young people should be prepared. The criteria for the above items must be accurately accumulated, but there will be no confusion by each local government or institution, and even the invisible family care youths will be clearly counted prior to the nationwide survey. If this part is not properly implemented and the family care youth support policy is implemented, there will be many blind spots in the support system Third, it is necessary to collect the national status of young people who care for family members in Korea. The priority is to accurately count the number of young people caring for family members in Korea, and for this, active cooperation by each institution and local government is necessary.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recounting the types of each family care youth in each local government, a practical support system for each type of family care youth is needed. Fourth, cooperation and connection systems are needed for each national institution and local government. Each local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 are actively interested in the system to discover and support young people who care for their families, and a system is needed to connect, share, and centrally control it. In addition, a 'platform' is formed around these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so that young people caring for family members can easily access information and in areas where support is needed, links between institutions can be easily established so that a smooth support system can be accumulated. Fifth, practical support suitable for the circumstances of young people caring for their families should be provided. Support for facilities that can reduce the burden of caring for young people who care for their families or run a national support program for supporting them, and increase the number of experts and civil servants who can professionally support them. I have to go out. In the case of basic livelihood recipients, the second highest class, an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it can be said that it is reasonable to set detailed restrictions on the support system, but restrictions that do not consider various situations create blind spots in the law reducing effectiveness and appropriateness. there is a situation More practical laws and institutional regulations are needed. In addition, an academic support system, such as a support program for acquiring a license, that can do this simultaneously, should b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support problems and economic environment faced by young people taking care of their families. Lastly, the social perception of 'family caring youth' should be improved as a whole. Our society's view of caring young people does not end with the recognition of 'It's a pity, the young people in question are filial children, filial daughters, etc.' do. These young people want pan-national policy support for their environment. The future of Korea is the youth. For the healthy future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problem of ‘young people caring for the family’ must be actively addressed and resolved|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현재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가족 돌봄 청년’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지원제도와 정책 마련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사례를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현재 우리 사회에 주어진 과업들을 종합하여 외국의 사례와 비교·검토하고 우리나라 ‘가족 돌봄 청년’ 정책 마련의 필요성과 지원제도의 제도적 보완 등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 관련 문헌 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가족 돌봄 청년에 대한 연구를 실시 하였으며, 이에 따라 현재 나타나고 있는 ‘가족 돌봄 청년’의 실태와 현 지원제도의 한계 등을 제시하여 개선방안을 찾기 위해 가족 돌봄 청년과 관련한 외국의 가족 돌봄 청년 실태와 지원제도,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현행법, 지원제도를 분석하였으며, 제도의 시행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우리나라 가족 돌봄 청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대한 요약 및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가족 돌봄 청년 문제는 현재 저출산과 고령화가 심각해짐에 따라 현재 증가하고 있는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첫째, 사회적 문제의식이 다소 낮다는 점. 둘째, 마땅한 부양 지원제도가 현재로서는 없다는점. 셋째, 법적·제도적 사각지대로 인한 경제적 지원이 제대로 시행되고있지 않다는 점. 넷째, 청년들의 부양 문제를 고려한 학업 지원제도가 없다는 점. 다섯째, 취업 지원제도의 한계점에서 현재 100세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돌봄 청년들이 너무나도 가혹한 현실과 환경에 처해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 현재 가족 돌봄 청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것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가족 돌봄 청년의 문제는 저출산과 고령화와 연관되어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의 문제가 심각해질수록 가족 돌봄 청년의 수와 개인 부담은 더욱 증가하게 될 것이다. 저출산 고령화의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들을 장기간 점차적으로 더불어 같이 해결해 나가야 한다. 둘째, 국내 가족 돌봄 청년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위 사항들의 기준이 정확히 적립되야지만 각 지자체별, 기관별 혼란스러운 부분이 없을 것이고 전국 현황조사에 앞서 보이지 않는 가족 돌봄 청년들까지 명확하게 집계될 것이다. 이러한 부분이 제대로 되지 않고 가족 돌봄 청년 지원정책을 시행한다면 지원제도의 사각지대가 많아질 것이다. 셋째, 국내 가족 돌봄 청년들에 대한 전국적인 현황 집계가 필요하다. 가족 돌봄 청년들의 숫자가 국내에 정확히 어느 정도 인지 집계되는 것이 우선이며 이를 위해서 각 기관별, 지자체별 적극적인 연계가 필요하다. 또한, 지자체별 각 가족 돌봄 청년들의 유형들을 세부적으로 재집계하여 결과를 토대로 가족 돌봄 청년에 대한 유형별 실질적인 지원제도가 필요하다. 넷째, 각 국가 기관별, 지자체별 협력, 연계 체계가 필요하다. 가족 돌봄 청년을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한 제도에 각 지자체별, 공공기관이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연계하여 공유하고 이를 중앙 통제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또한 이러한 부분을 중심으로 ‘플랫폼’을 구성하여 가족 돌봄 청년들이 쉽게 정보를 접할 수 있고 지원이 필요한 부분에 있어서는 쉽게 기관별 연계가 이루어져 원활한 지원체계가 적립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가족 돌봄 청년들의 상황에 맞는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가족 돌봄 청년들의 부양 부담감을 줄여 줄 수 있는 시설 지원이나 범국가적인 부양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이를 전문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전문가 및 담당 공무원을 늘려 나가야 한다.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국민건강보험법의 경우 지원제도에 대한 세부적인 제한 규정을 두는 것은 합리적이라 할 수 있으나, 여러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제한 규정은 법의 사각지대를 발생시켜 효과성과 적절성을 저하 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좀 더 실질적인 법·제도 규정이 필요하다. 또한, 가족 돌봄 청년들이 처한 부양 문제나 경제적인 환경을 고려하여 이를 병행 할 수 있는 자격증 취득 지원 프로그램 등 학업 지원제도가 마련 되야 한다. 끝으로, ‘가족 돌봄 청년’의 대한 사회적 인식이 전체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돌봄 청년을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모습은 ‘안타깝다, 해당 청년들은 효자다, 효녀다 등’의 바라보는 인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위 문제가 최근에 증가하고 있는 사항임을 인지하고 우리 사회의 위기임을 자각해야 한다. 해당 청년들은 본인들이 처한 환경에 대해 범국가적인 정책지원을 원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미래는 청년들이다. 대한민국의 건전한 미래를 위해서 ‘가족 돌봄 청년’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관심 가지고 해결해 나가야 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191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22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PUBLIC ADMINISTRATION(행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