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2 0

사회성과보상사업(SIB) 정책 도입 경로에 대한 한국과 영국의 비교 연구 :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Title
사회성과보상사업(SIB) 정책 도입 경로에 대한 한국과 영국의 비교 연구 :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Author
박꽃보라
Advisor(s)
김성수, 윤성원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사회성과보상사업(SIB: Social Impact Bond)은 정부와 민간 간 계약을 통해 사회 서비스를 공급하는 것으로, 계약 시 목표로 설정한 사회적 성과를 달성한 경우에만 정부가 민간 투자자에게 비용을 지불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최근 한국은 정부 지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민 수요를 반영하여 사회서비스 투자는 줄일 수 없는 상황에 처해있다. 이러한 딜레마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사회성과보상사업(SIB)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한국의 상황은 어떨까. 한국에도 이미 SIB가 2016년에 도입되어 현재까지 총 5건의 SIB 활용사례가 있다. 12년 동안 89건의 SIB 사업을 시행한 영국이나 한국보다 도입은 늦었지만 이미 17건의 사례를 축적한 일본과 비교할 때 한국에서 SIB가 활성화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SIB가 한국이 처한 긴축재정 필요성과 정부지출 증가 압력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확산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부족한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가정한다. OECD 보고서 등을 보면 SIB 확산에 있어 정부의 지원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한국의 경우 SIB를 직접 지원하는 정책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을 제도의 산물이라 보며, 왜 SIB 정책이 확산되지 않는지 분석하기 위해 제도적 맥락을 살필 것이다. 특히 제도의 ‘변화’에 주목하여 왜 한국에서는 SIB 정책이 도입되고 확산되는 변화를 이루지 못했는지에 대해 ‘통합적 관점’을 활용해 구조, 제도, 행위자별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분석의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 영국 정책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영국과 달리 한국은 SIB 정책 수립에 유리한 구조적 충격에도 불구하고 기존 복지제도의 성격, 개별기업 지원 위주의 사회적 금융 정책 등 제도적 제약과 그 제약을 타개하지 못한 행위자 요인에 의해 SIB 정책 수립에 다다르지 못했음을 도출하고자 한다.| The Social Impact Bond (SIB) is a supply of social services through a contract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It is characterized by the government paying the private investor only when the social performance set as the target at the time of the contract is achieved. Despite the recent increase in government expenditure, Korea is in a situation where it is unable to reduce social service investment to reflect national demand. As one of the ways to overcome this dilemma situation, SIB can be considered. If so, how is the situation in Korea? In Korea, SIB was already introduced in 2016, and so far there have been a total of 5 cases of using SIB. Considering the case of the UK, which implemented 89 SIB projects over 12 years, and the case of Japan, which introduced 17 SIB project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SIB has been activated in Korea. Why is the SIB seldom spread, even though it can be a useful tool to overcome the need for fiscal austerity and the pressure to increase government spending in Korea?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e lack of government policy support is the main cause. OECD reports emphasize that government support is very important for the spread of SIBs, but in Korea, there are few policies that directly support SIBs. In this study, the policy is seen as a product of the institution, and the institutional context will be examined to analyze why the SIB policy is not spreading. In particular, paying attention to the ‘change’ of the system, I will analyze why the SIB policy has not been introduced and spread in Korea by structure, institution, and actor using an ‘integrated perspective’.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analysis,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UK polic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at Korea, unlike the UK, had structural shocks favorable to SIB policy establishment, despite institutional constraints such as the nature of the existing welfare system and social finance policies focused on supporting individual companies, and the factor of the actor who failed to break through the constraint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329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22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CIVIL SOCIETY(시민사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