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5 0

개정 군사법원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Title
개정 군사법원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Other Titles
A Critical Study on the Revised Military Court Act : Focusing on the investigation procedure of military death case
Author
김성훈
Advisor(s)
한상우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軍에서는 매년 약 100여건 가량의 사망사건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 중 자살사건이 60~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데, 폐쇄적인 軍 조직의 특수성 등으로 인해 자살사건은 수사 초기 단계에서부터 불신의 눈초리를 받는 상태로 시작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軍 수사기관의 수사활동은 신분적 재판권을 명시한 군사법원법과 군형법에 그 근거와 절차가 규정되어 있으며 경찰과 검찰의 수사절차, 법원의 소송 및 재판절차와 그다지 다르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軍 내 성폭력 관련 사건, 사망사건 등에 대해 軍에서 이루어지는 수사는 “피해자에 대한 보호가 미흡하고 투명성이 결여되었다.”는 등의 이유로 국민들로부터 불신과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2021년 공군에서 근무하던 여군 부사관이 스스로 삶을 마감하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일이 발생한 것을 계기로 2021년 8월 31일 군사법원법 일부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여 2022년 7월 1일부로 시행되게 되었다. 이 개정은 군사법제도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피해자의 인권보장과 사법정의의 실현이라는 헌법적 가치를 구현한다는 취지이며 주된 개정 내용은 ① 軍 성범죄 사건 ② 입대 전 범죄 ③ 軍 사망사건 관련 범죄에 대해서는 군사법원의 재판권을 제외하여 수사와 기소는 물론, 제1심에서부터 법원이 재판권을 행사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개정은 軍 사망사건 관련 범죄와 더불어 軍 성폭력 범죄의 민간 이관 조치는 그동안 지속되었던 軍 내 사망사건 처리의 불투명성을 지적한 것으로 보임과 동시에 최근 사회적 공분을 산 성범죄 피해 공군 여중사 사망사건에 대한 대응 입법이라고 보여진다. 개정 군사법원법에서는 소위 ‘3대 이관범죄’라고 칭하는 3가지 범죄에 관하여는 법원으로 하여금 관할권을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위의 범죄는 최초 수사단계에서부터 軍 수사기관이 아닌 경찰에서 처리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번 개정은 여론에 밀려 충분한 연구와 논의,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이루어지다 보니 입법기술적으로 미흡하고 이로 인하여 해석과 적용상의 혼란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법원은 군사법원 관할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성폭력 범죄, 범죄로 인한 사망사건, 입대(임관) 전 범죄에 대하여 재판권을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조문의 기술방식의 모호함으로 인하여 군사법원과 법원의 재판권의 중복 등 해석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법원은 성폭력 범죄, 범죄로 인한 사망사건, 입대(임관) 전 범죄와 그 경합범 관계에 있는 죄에 대하여 재판권을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그 경합범 관계에 있는 죄’라는 표현이 과연 상상적 경합인지, 실체적 경합인지 등에 대하여 명확한 범위설정이 없어 해석 여지에 따라 그 폭이 무제한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더불어 개정 군사법원법이 시행된 지 겨우 반년이 지나고 있는 시점이지만 벌써 실무현장에서는 개정 군사법원법 시행과 관련하여 일부 혼선이 초래되고 있다. 특히, 사망사건은 하나의 사건에 대해 軍 수사기관과 경찰이 동시에 투입되어 수사를 하고 있는데 수사의 절차와 방법이 동일한 두 수사기관이 동시에 같은 사건에 대해 수사를 하는 것은 수사인력과 예산의 이중투입으로 인한 수사인력의 효율적 활용과 균등한 배분차원에서도 문제가 될 수 있다. 軍 내에서 발생한 사망사건은 명확하게 의사의 진단이 있는 병사(病死)를 제외하고는 전건 변사사건으로 수사를 진행한다. 軍 수사기관의 모든 수사활동은 군사법원법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경찰과 비교하여 볼 때 수사의 주체가 다를 뿐 수사의 방법과 절차가 다르지 않다. 구체적인 수사의 절차와 방법에 있어서도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오히려 현장감식과 검시, 부검절차에 유가족들이 그 과정에 참여할 수 있고 유가족에 대하여 법률상담 및 자문 등의 법률적 조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국선변호인을 선정하여 주는 것은 오히려 경찰보다 軍 수사기관이 더 투명하게 수사를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번 개정과정에 이어 평시 군사법원 폐지론자들의 주장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이 되는데 우리가 망각하고 있는 것이 있다. 전 세계에서 이념 갈등으로 분단된 유일한 국가이며 외국의 상황과 달리 비무장지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한 상태로 대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고, 북한은 천안함 피격사건, 연평도 포격 도발에서부터 최근 핵무기 실험, 탄도미사일 발사 등 최근 10년간에도 크고 작은 도발을 이어 오고 있어 우리도 우크라이나-러시아처럼 언제 전시상황이 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전시에 대비한 軍의 임무는 사전에 모든 상황을 예측할 수 없음은 물론이거니와 사후에 여유를 가지고 준비할 수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니다. 군사법 정의의 실현만이 목적이라면 법원으로도 충분히 그 목적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그렇다면 군사법원이 특별법원으로서 존재할 이유가 없다. 軍 조직의 특성을 고려한 군기강 확립과 공명정대한 사법정의의 실현은 상호 대립되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으나 어느 한 측면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우리의 안보상황과 더불어 전투력의 극대화를 실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고려하여 양 측면의 조화점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군사법조직은 엄격한 삼권분립을 원칙으로 하는 민간 통치기구와는 존재의 목적과 임무가 상이하므로 군사법제도의 개혁은 위와 같은 전제 아래 장병들의 침해된 인권의 회복뿐만 아니라 軍에서의 인간적인 삶의 보장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In the military, about 100 cases related to death occur every year and suicide cases account for 60%-70% among them. Due to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that is closed organization, a lot of suicide cases were investigated even at the beginning stage under a distrust condition. Investigation of military investigation agencies are stipulated in the Military Court Act and Military Criminal Act, and it is similar to the investigation process of police and prosecutors and litigation and trial procedures of courts. Nonetheless, the public have distrusted and criticized military investigation cases such as sexual violence and death cases since “they are insufficient for victim protection and lack of transparency”. In particular, after a female non-commissioned officer working in the Air Force selected an extreme choice to kill herself in 2021, a partial revision to the Military Court Act passed a plenary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it was implemented from July 1st in 2022.   The revision is to restore trust of the public to the military legal system and to realize constitutional values of securing human rights of victims and judicial justice. The main revision is that ① military sexual crime cases,② crimes before enlistment, ③ crimes of military death cases are transferred to the court from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to the first trial except for jurisdiction of military court. This revision seems that crimes related to the death cases and sexual crimes in the military are transferred to the court to point out opacity of handling death cases in the military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legislation in response to the death case of a female sergeant in the Air Force who was a victim of sexual crimes, which raised recently public outrage. The revised Military Court Act recognizes jurisdiction of the courts over the three crimes, which is called ‘three transferred crimes’. In addition, it is stipulated that not the military investigation agency but the police covers these crimes from the initial investigation stage, and this revision is not legally descriptively sufficient and it is possible to raise confusion in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since this revision was carried out without sufficient research, discussion, and review due to the urgent public opinion.  Although the act shows stipulation that “the court has jurisdiction over sexual violence crimes, death cases caused by crimes, and crimes before enlistment (commission) even though the case is under the jurisdiction of a military court”, ambiguity of its descriptive way brings interpretation confusion such as duplication of jurisdiction between military courts and the courts. In addition, the act has stipulation that “the court has jurisdiction over crimes of sexual violence, death cases caused by crimes, crimes before enlistment (commission), and crimes related to such crimes,”but phrase that “crimes related to such crimes” was not set in specific range in which it is in ideal concurrence or essential concurrence so that the phrase could cover almost infinite cases depending on interpretative intention. Plus, even it has been only half a year since the revision of the Military Court Act was enacted, but there is a lot of confusion in actual fields related to the revised Military Court Act. In particular, in one case of death, the military investigation agency and the police are involved simultaneously with the same procedure and method. It would be a problem in terms of low efficiency and equal distribution of human resources because of double input of investment manpower and budget. Every death case in the military is investigated as an unreasonable death, except death from disease. All investigation activities of military investigation agencies occur based on the Military Court Act, and it is the same as the investigation procedure and method with the police, and only the investigation subject is different. In particular, the investigation procedure and methods are same or similar, and it seems that even the military investigation agency is more transparent than the police because bereaved family can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on-the-spot forensic, autopsy, and autopsy procedures and the agency provides the bereaved family a public defender who can provide legal assistance and legal counseling.   After this revision, it could be expected that advocates who argue to abolish military courts during peacetime become more active, but there is something we must not forget. Korea is the only nation in the world, which is divided due to ideological conflicts, and unlike other countries, it confronts each other centering Demilitarized Zone. North Korea has continued provocations over the past 10 years such as the Cheonan sank incident, t, Bombardment of Yeonpyeong, nuclear weapons test, and ballistic missile launch. Like Ukraine and Russia, it is not sure when wartime will occur. The military cannot expect and prepare every condition for wartime in their mission and even it is impossible to prepare something in a relaxed manner after war starts.   If its purpose is only to realize military justice, the court is able to sufficiently realize the purpose so that a military court does not have to exist as a special court. The establishment of military discipline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and realization of fair judicial justice could be considered as mutually opposed concepts, but it would be very important to find a harmonious point between the two sides b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that can maximize combat power along with our security situation, rather than emphasizing only one aspect. The military judicial organizations have different purposes and mission with civil governments based on separation of the three powers, so that based on the premise it is necessary for the revision of the military legal system to acquire not only restoring infringed human rights but also securing human life.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266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21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LEGAL AFFAIRS(법무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