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6 0

코워킹스페이스 이용자 특성에 따른 공간 구성요소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 연구

Title
코워킹스페이스 이용자 특성에 따른 공간 구성요소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pac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working Space Users
Author
장세빈
Alternative Author(s)
Jang, Se Bin
Advisor(s)
장순각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 new economic paradigm seeking shared value emerged, and the supply and demand of co-working spaces increased. However, most of the projects aim to solve the problem of vacancy in the building, and it has a lot of characteristics as a simple "space sharing offi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efficient spatial components by grasping what space is prioritized for each user characteristic through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patial components according to user characteristics. However, when the results for each job group are derived, duplicate result values are generated, so the study was conducted by grouping user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hrough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previous studies and case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co-working space users and space components were conducted, and based on this, a questionnaire was form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17 large co-working space users established in Gangnam-gu, Seoul. After that,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patial components by user group were analyzed through IPA analysis. As a result of co-working space IPA analysis, Group A is as follows. The first quadrant's 'Private Office', 'Smart Workstation', 'Reception & Lobby', 'Open Space' and 'Rest Space' should be fully satisfied with the current situation and maintained to be sustainable in the future. The "multi-office", "seminar room & meeting room", "phone booth", and "outdoor space" in the second quadrant should be improved first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The "storage space (locker)," "additional support space," "multi-purpose room," "hobby space," and "F&B space" in the third quadrant need improvement in the long run, but they can be judged with low priority. It can be judged that the "virtual office" and "OA room" in the fourth quadrant need to avoid excessive efforts and think about the current efforts. Group B is as follows. Private office, multi-office, smart workstation, seminar room & meeting room, and reception & lobby in the first quadrant should be fully satisfied with the current situation and maintained to be sustainable in the future. The 'additional support space' and 'rest space' in the second quadrant should be improved first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Phone booths, storage spaces (lockers), open spaces, multi-purpose rooms, hobby spaces, F&B spaces, and outdoor spaces in the third quadrant need to be improved in the long run, but they can be judged with low priorities. It can be judged that the "virtual office" and "OA room" in the fourth quadrant need to avoid excessive efforts and think about the current efforts. Group C is as follows. Private Office, Multi-Office, Smart Workstation, Seminar Room & Meeting Room, and Rest Area in the first quadrant should be fully satisfied with the current situation and maintained to be sustainable in the future. The 'Reception & Lobby', 'OA Room', 'Phone Booth', and 'F&B Space' in the second quadrant should be improved first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The "virtual office," "storage space (locker)," "open space," "multi-purpose room," "hobby space," and "outdoor space" in the third quadrant need improvement in the long run, but they can be judged with low priority. It can be judged that the "additional support space" in the fourth quadrant needs to avoid excessive efforts and think about the current efforts. Through the results of the IPA analysis, the following can be discussed. First, groups A, B, and C all have hig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work space, so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space so that it is sustainable.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co-working space that values collaboration and exchange, movement, interior, and various support elements are invested in an open workplace, so it is judged that the work environment or support elements of 'separated work space' should be provided the same. Second, most of the spaces where the community occurs have low importance and satisfaction, so it is necessary to put it in a low priority. However, since the community is a key factor in the co-working spac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adjust it appropriately with other factors. Third, it is necessary to invest in a space that needs priority improvement by reducing the investment cost of the space that is being over-invested.|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공유가치를 추구하는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이 등장하면서 코워킹스페이스의 공급과 수요는 증가하였다. 하지만 빌딩의 공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업이 대부분이며, 단순 '공간 공유 오피스'라는 성격을 많이 띠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용자 특성에 따른 공간 구성요소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을 통해 이용자 특성별로 우선시하는 공간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효율적인 공간 구성요소를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하지만 각 직군별 결과를 도출하면 중복된 결과가 도출되기에 선행연구를 통해 비슷한 특성을 가진 이용자끼리 그룹화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코워킹스페이스 이용자 특성과 공간 구성 요소에 대한 선행연구와 사례조사를 진행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구성된 설문지는 서울 강남구 중심으로 설립된 대형 코워킹스페이스 이용자 1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후 IPA 분석으로 이용자 그룹별 공간 구성요소 중요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코워킹스페이스 IPA 분석결과 그룹 A는 다음과 같다. 1사분면의 ‘프라이빗 오피스’, ‘스마트워크스테이션’, ‘리셉션&로비’, ‘오픈스페이스’, ‘휴게공간’은 현 상황에 충분히 만족하여 앞으로도 지속 가능하도록 유지해야 한다. 2사분면의 ‘멀티오피스’, ‘세미나룸&미팅룸’, ‘폰 부스’, ‘옥외공간’은 우선적으로 개선하여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한다. 3사분면의 ‘수납공간(락커)’, ‘부가 지원 공간’, ‘다목적실’, ‘취미공간’, ‘F&B공간’은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개선이 필요하나 우선순위가 낮고 판단할 수 있다. 4사분면의 ‘가상오피스’, ‘OA실’은 과잉노력을 지양하며 현 노력에 대해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그룹 B는 다음과 같다. 1사분면의 ‘프라이빗 오피스’, ‘멀티오피스’, ‘스마트워크스테이션’, ‘세미나룸&미팅룸’, ‘리셉션&로비’는 현 상황에 충분히 만족하여 앞으로도 지속 가능하도록 유지해야 한다. 2사분면의 ‘부가 지원 공간’, ‘휴게공간’은 우선적으로 개선하여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한다. 3사분면의 ‘폰 부스’, ‘수납공간(락커)’, ‘오픈스페이스’, ‘다목적실’, ‘취미공간’, ‘F&B공간’, ‘옥외공간’은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개선이 필요하나 우선순위가 낮고 판단할 수 있다. 4사분면의 ‘가상오피스’, ‘OA실’은 과잉노력을 지양하며 현 노력에 대해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그룹 C는 다음과 같다. 1사분면의 ‘프라이빗 오피스’, ‘멀티오피스’, ‘스마트워크스테이션’, ‘세미나룸&미팅룸’, ‘휴게공간’은 현 상황에 충분히 만족하여 앞으로도 지속 가능하도록 유지해야 된다. 2사분면의 ‘리셉션&로비’, ‘OA실’, ‘폰 부스’, ‘F&B공간’은 우선적으로 개선하여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된다. 3사분면의 ‘가상오피스’, ‘수납공간(락커)’, ‘오픈스페이스’, ‘다목적실’, ‘취미공간’, ‘옥외공간’은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개선이 필요하나 우선순위가 낮고 판단할 수 있다. 4사분면의 ‘부가 지원 공간’은 과잉노력을 지양하며 현 노력에 대해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IPA 분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논의할 수 있다. 첫째, 그룹 A, B, C 모두 업무공간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해당 공간이 지속 가능하도록 유지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협업과 교류를 중요시하는 코워킹스페이스 특성상 동선, 인테리어, 다양한 지원요소들은 개방형 업무공간을 중심으로 투자가 많이 되어있으므로 '분리형 업무공간'과 '개방형 업무공간'의 업무환경 또는 지원요소들은 동일하게 제공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둘째, 커뮤니티가 발생되는 공간은 대부분 중요도 및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저우선 순위에 둘 필요가 있다. 하지만 커뮤니티는 코워킹스페이스의 핵심 요인이므로 타 요인과 적절하게 완급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과잉 투자되고 있는 공간에 대한 투자 비용을 줄여 우선적 개선이 필요한 공간에 투자할 필요가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404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19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